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유형과 영아기 보육선택*

        김유이(Yuee Kim),홍경준(Hong Kyung-zo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0 No.3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유형과 영아기 보육유형 선택간의 관계를 종단자료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아동패널의 1-10년차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집단중심추세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중심추세분석 결과 여성의 출산 후 노동시장 참여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경력단절형 , 경력단절 후 재진입형 . 지속참여형 이다. 경력단절 후 재진입형 의 경우 출산 후 노동시장을 이탈하였다가 3~4차 년도를 기준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유형과 보육선택간의 관계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분석 결과 노동시장 참여유형에 따라 보육선택에 차이를 보였다. 지속참여형 은 경력단절형 에 비해 기관보육, 개인대리보육을 더 선호하였고, 경력단절 후 재진입형 의 경우 경력단절형 과 비교하여 직접보육보다는 기관보육을 더 선호하였다. 분석시기인 3차 년도에 경력단절형 과 경력단절 후 재진입형 의 노동시간이 유사한 점으로 미뤄볼 때 보육선택은 단순히 선택 시기의 노동시장 참여여부로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인식도 함께 고려됨을 알 수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비추어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an’s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the choice of child care type of early childhood through longitudinal data.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st-10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rder to derive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Research Question 1, this study used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To confirm Study Question 2,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woman’s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after childbirth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ach group classifi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status is ‘career interruption type’, ‘career interruption and reentry typ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Second, as a result of a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child care type of early childhood,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 care options according to pattern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prefers institutional and personal child care compared to the ‘career interruption type’, and the ‘career interruption and reentry type’ prefers institutional child care rather than direct child care compared to the ‘career interruption type’. In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he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의빈(Lee Eui Bhin),권서영(Gwon Seo Yeong),김유이(Kim Yuee),임수지(Lim Su J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과잉간섭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의 초4 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964개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경향을 살펴보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수들 간 관계의 방향성과 다중공선성 문제 여부를 대략적으로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모 과잉간섭과 우울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순차적인 매개효과 또한 유의미했다. 이는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사회적 위축, 부정적 교우관계를 각각 통하여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는 고등학생 자녀의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정적인 교우관계 정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차례로 우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1,964 cases, taken from the 7th wave data(high school 1st year) of KCYPS 2010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Parental over-intrusive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depression.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depression via the sequence of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