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행복과학과 행복철학

        김요한(Kim, Jo-Han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의 정의와 관련해서 행복을 마음의 상태로 보는 입장과 가치있는 것으로 보는 두가지 접근이 존재한다. 마음의 상태로서 행복은 행복 과학의 대상이고 가치있는 삶으로서 행복은 행복 철학의 대상이다. 최근 긍정심리학의 발달로 행복과학이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통해서 행복감을 극대화시키는 다양한 실험적인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행복 과학의 몇가지 근본 입장들속에서 행복이 단순하게 행복감에만 머물러있지 있지 않고 가치문제들에 대한 심사숙고가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행복 철학과 행복과학의 상호 관련성을 이 논문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논의를 통해서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행복지수의 측정과 관련해서 행복 개념을 설정하는데 행복 철학이 기여할 수 있다. 행복 지수의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그 근사치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삶의 만족으로 이론으로 접근하는가 또는 정서 상태로 이론으로 접근하는 가에 따라 그 값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이 행복하다는 행복과학의 경험적 주장도 행복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라는 행복의 본성에 관한 행복 철학의 접근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행복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지침이 행복지수의 기준에 대한 행복 과학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행복의 원천으로서 경제적인 이익과 관련해서 행복 철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돈은 삶의 만족 이론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서 이론에서는 미약한 영향을 갖는다. 이는 돈의 역할이 어떤 종류의 사회에 사는가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행복의 원천으로서 돈의 긍정적 기여와 부정적 기여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사회를 꿈꾸고 실현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사회 정치철학적 논의는 행복과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What is happiness? There are two ways of approaches in terms of definition of happiness: a state of mind or valuable thing. While happiness as a state of mind is the object of science of happiness, happiness as a valuable thing is the object of philosophy of happiness. Recently thanks to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is strengthening happy experiences of ordinary people by means of methodology of natural science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at investigations of happiness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should include value problems in the fundamental themes of science of happiness, not simply remaining on how to increase pleasant emotions of ordinary life. So we have to find interrelation between science of happiness and philosophy of happiness. We can draw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plays a great role in measurement of happines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accurate hedonometer, because amount of happiness is variable if different concepts of happiness are available. In some cases theory of life satisfaction is used but in other time affect-based theory is used. Also the empirical claim of science of happiness that most people are happy depends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hilosophy of happiness which determine the nature of happiness. So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happiness should be starting point of science of happiness in terms of measurement of happiness. Secondly, philosophy of happiness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source of happiness in relation to economical interest. Money has hard impact in the theory of life satisfaction, while soft impact in the affect-based theory. That"s why the role of money is subject to change in terms of what kind of society we live on. So positive or negative contribution of money as source of happiness depends on what kind of society we aim to accomplish. Some discussions of social-political philosophy would give a great influence to those of the science of happiness.

      • KCI등재

        특집논문 : <철학과 교육> ; 플라톤의 수사학적 교육방법론의 철학적 의미 -『소크라테스의 변론』, 『팔라메데스 변론』, 『고르기아스』를 중심으로-

        김요한 ( Jo Hann Kim ),박규철 ( Park Kyu Chul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고르기아스의 『팔라메데스의 변론』 및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론』와 『고르기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리스 사회에서 교육매체로써 수사학적 교육방법론이 지닌 철학적 의미와 한계를 고찰하면서 그 현대적 척용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 고르기아스 수사학에 대해 플라톤이 가지고 있던 이중적인 생각을 밝히고자 주력하였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의 삶과 철학을 옹호하고 그것을 아테네인들에게 선전하기 위해, 당대 아테네인듈에게는 인기 있었던 고르기아스의 작품과 그의 수사학을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차용하였다. 이는 플라톤이 고르기아스와 연속하는 특징이다. 그런데도 그는 고르기아스와 불연속 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플라톤은 도덕, 필연, 진리 개념의 측면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이 고르기아스의 철학과 차별화됨을 강조한다. 즉 플라톤은 도덕에 근거해 필연적 진리를 지향하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도덕과 무관한 채 개연적 설득의 기술만을 강조하는 고르기아스의 수사학과는 본질적으로 차별화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플라톤의 수사학적 교육방범론은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플라톤이 논적 고르기아스가 지닌 수사학적 교육방법론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차용하는 것은 그가 가진 ``학문적 포용성`` 이다. 그리고 그가 고르기아스의 철학과 차별화되는 자신만의 고유한 철학을 구성해내는 것은 그가 가진 ``학문적 독창성``이다. 이처럼 플라톤은 교육 분야 에서 학문적 포용정과 독창성의 동시에 강조한 사람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그의 이러한 중용적 태도는 오늘날의 한국 교양 교육이 수용하고 발전시켜야 할 사안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문학 : 선택의 기로에 선 사람들 -독일문학에 나타난 갈림길 모티프

        김요한 ( Jo Hann Kim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3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28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Motiv ``Scheideweg`` und dessen Funktionen und Typen zu analysieren. Unter Motiv kann man das kleinste Element der Erzahlung als ein erzahlerischer Baustein verstehen. Eigentlich ist der Begriff der Musik entlehnt, in der das Motiv die kleinste nachweisbare, charakteristische, melodische Einheit und deren Variation in einem musikalischen Stuck bezeichnet. In diesem Sinne hat das Motiv 3 typische Merkmale: Wiederholbarkeit, Stetigkeit, Verbindbarkeit. Und durch diese Merkmale kann das Motiv schematiesiert werden. Das Motiv ``Scheideweg`` hat mit dem Handlungstyp des Menschens ``Wahlen`` zu tun. Deswegen beleutet das Motiv die Verhaltensweisen der Entscheidung, vergegenwartigt echte Alternativen der Handelns in Bildfugungen des geraden und krummen Weges, gibt dem Geschehen Richtung und deutet kommende Ereignisse voraus. Es erscheint außerordentlich haufig im Zusammenhang mit thematischen Gestaltungen unterschiedlicher Formen wie Selbstverwirklichung, Daseinsprufung, die Entscheidung zwischen den Alternativen von Gut und Bose, Recht und Unrecht oder Leben und Tod usw. In diesem Aufsatz werden die Funktionen und Typen des Motives <Scheideweg> und der Prozess der Entstehung der Stories mit dem Beispiel des Stucks Die Burger von Calais von Georg Kaiser analysiert. In diesem Stuck ist das Motiv ``Scheideweg`` als der Weg zur Daseinsprufung und die Alternative zwischen Leben und Tod strukturiert.

      • KCI등재

        플라톤의 수치심에 관한 연구

        김요한 ( Jo Han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5 No.-

        수치심은 명백하게 청중(audience)의 개념을 언급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청중은 실제적으로 행위자를 바라보고 있는 청중이다. 일반적으로 x는 x의 행동들을 목격하고 있는 청중 y 앞에서 수치심을 느끼며 또한 청중 y가 x에 대해서 말하거나 생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반응은 단순하게 외적인 자극들(stimuli)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 또는 비난에 대한 단순한 공포라고 말할 수 없다. 수치심은 x 속에 내재화된 요소가 x의 상황을 수치스러운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상황으로 범주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그리고 x가 공공적인 조사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통해서 유발되는 x 자신에 대한 부정적 판단 속에서 발견된다. 연구자는 기본적으로 수치심이 단순하게 타인들의 외적 제재에 대한 공포와 연관시키기 보다는 내재화된 이상에 대한 자기 반성적 고찰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플라톤의 작품들에서 언급된 수치심 개념이 이와 같은 내재화된 이상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함의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수치심이 플라톤의 영혼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연구자는 수치심과 기개의 관계, 기개와 이성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플라톤의 수치심 개념이 도덕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외적/내적 제재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양심의 개념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For many, a distinction between shame and guilt is a given. Guilt relies on the internal sanctions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science, one``s own disapproval of oneself, and shame is caused by fear of external sanctions, specifically the disapproval of others. It is clear that shame bears a frequent, and some would say an essent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an audience. One feels shame before those who witness one``s actions, and focuses on what the members of that audience may say or think of one. Even this kind of response, however, is not a simple fear of disapproval or a straight forward response to purely external stimuli. The internalized component is to be found both in the categorization of one``s own situation as one which can be viewed as shameful and in the negative judgement of oneself that is caused by the sense of being under public scrutiny. In this article I examine Plato``s concept of shame in his works. The issue is no longer whether shame can be a response to interna1 sanctions rooted in a form of conscience, but whether Plato realized that it could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 on the views of the nature of shame which emerge from the works of the great philosophe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its role in his psychology. its connection with their conceptions of moral excellence, their views regarding its reference to external or internal sanctions, and the possible role of shame in any conception of conscience they may posses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aidos와 time 개념 분석

        김요한 ( Jo Han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일반적으로 명예는 자아 관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감정이고 타인들과의 접촉에 의해서 영향을 받거나 생겨난다. 따라서 가치와 사회 형식이 바뀔지라도 명예의 본질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자신 대 타인이라는 구도는 변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고대 그리스의 자아 개념이 명예개념을 통해서 형성되었으며 자아의 감정은 명예의 담지자로서 자아와 이와 연관된 타인들의 위상에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그러나 명예 개념은 개인적 명성, 즉 자신의 위상 또는 업적들에 관한 타인들에 예상된 비준이라는 개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명예는 자기 자신의 명예뿐만 아니라 오히려 타인들의 명예들도 아울러 고려해야 한다. 지나친 자기과시는 타인들의 명예를 침해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자신의 명예도 실추하게 된다. 이런 명예의 상대적 효과 때문에 명예는 단지 자기 자신의 명성만을 고려하기 보다는 명성이 추구되는 과정 속에 드러나는 타인과의 관계와 연관된 적절함(예, 절제, 고귀함, 추함)이라는 개념과 상호 관련되어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연구자가 밝히고자 하는 바는 자기 자신의 명예 관념 속에는 타인들의 의견들로부터 독립된 내재화된 자아상(internalized self-image)과 명예욕구가 담겨져 있다는 점이다. 개인의 명예는 근본적으로 그 개인의 내적 자아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 단계에서 자신의 눈에 비친 자아상을 제외하고 어떤 외적 평판에 연연하지 않는다. 따라서 명예 규약은 자신이 탁월성을 실제로 소유하려는 개인적인 결심을 요구하는 것이지 자신이 그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남들에게 과시해야 한다는 점을 함의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연구자는 명예 개념이 개인의 내재화된 표준들을 형성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명예와 연관된 가치들에 대한 논의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속에 많이 담겨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명예가 일종의 양심이란 형태에 근거한 내적 제제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우선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속에 나타난 명예/불명예의 본성과 특별히 『영혼론』에서 그것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도덕적인 탁월성과 연관될 수 있으며 또한 어떻게 외적 내적 제재로서 양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o attain the goal of complete excellence may be rare or impossible achievement, but it is an ideal which Aristotle is able to construct on the basis of the categories of evaluation which he found in ordinary moral discourse, and it is an ideal in whose construction he is remarkably successful in combining a system based on a natural teleology of man with an account which saves most of the phenomena of common belief. We should thus see in his overall approach to aidos, and to what maybe made of aidos in the good man, a recognition of the central thesis of this work, that aidos is not solely dependent of the judgements of others, that it can spring from a form of conscience based on internalized moral standards, and that it can express a concern for the intrinsic character of one`s actions. In this matter, Aristotle is in agreement with Plato. Plato seems the most optimistic that such a concern may be possible for a wide cross-section of society, but since the conclusions of all must be drawn from their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 of the motivation of their fellow Greeks, their ethical theories, though different, converge in offering evidence to contradict the generalizations of the shame-culture theorists.

      • KCI등재
      • KCI등재

        자유의지와 자유의지 환상 -개인적 자유의지와 사회적 자유의지-

        김요한 ( Kim Jo-han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자유의지란 존재하는가? 자유의지가 존재한다면 어디에 존재하는가? 리벳의 실험으로 촉발된 자유의지 존재 유무 논쟁은 철학과 법학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했다. 자유의지는 나의 의식이 단순히 무의식적인 뇌의 반응을 통고받아서 마치 내가 자유의식을 행사한다는 착각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철학적인 책임개념과 법학의 형사 처벌에 대한 근거를 붕괴시키게 된다. 실험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자유의지가 없음에도 왜 우리는 자유의지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되는 것일까? 연구자는 이를 개인적인 자유의지와 사회적 자유의지를 구분할 때 답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인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지만 사회적 자유의지는 존재한다. 내가 손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다는 개인적 자유의지는 포기할 수 있지만 공동체안의 책임과 처벌에 대한 사회적 자유 의지는 분명하게 존재한다. 연구자는 이를 현상학적 생활세계로 설명한다. 우리는 주관적 세계, 객관적 세계,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가 병행되고 있는 삶을 살고 있다. 생활세계를 구성하는 인권, 평화, 권리, 기업, 국가와 같은 개념들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물리적인 삶과 주관적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자유의지도 사회적 요소로서 이와 같은 생활세계를 구성하는 기초 요소로서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Does free-will exist? Where does free-will exist? The controversy around about the existence of free-will that was triggered by the experiment of B. Libet posed a serious challenge to philosophy and law. The claim that free-will is merely an illusion by which one’s consciousness is simply informed of the unconscious brain response and that one only seems to exercise conscious actions destroys the notion of philosophical responsibility and criminal punishment of law. But why do we experience free-will so vividly, even if we are not physically free from our brain reactions? I think an answer will arise when we distinguish between free-will and social free-will. There is no personal free-will, but there is social free-will. I can give up my personal free-will inasmuch as I can raise my hands freely, but there is clearly a sense of social free-will for accountability and punishment in the community. I would like to call this the phenomenological life world (Lebenswelt). We live a life in which the subjective world, the objective world, and the mutually subjective life world coexist. Concepts such as human rights, peace, rights, business, and the nation that make up the living world do not exist physically, but they have a direct impact on physical and subjective life. If so, it can be argued that free-will exists as a basic element that constitutes such a living world as a social e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