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 퇴적물 중 PCBs 농도분포 및 발생원 해석

        김영호(Rong Hu Jin),오정근(Jung Keun Oh),김종국(Jong Guk Kim),김경수(Kyoung Soo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1

        하천 퇴적물 중 PCBs 농도수준 파악과 발생원 추정을 위해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21개 지점을 선정하고 지점당 3개씩 총 63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퇴적물 표층에서 검출된 DL-PCBs 농도분포는 3.0~6,600(평균440) pg/g-dry의 범위였고 TEQ값은 <LOQ~3.0(평균 0.34) pgTEQ/g-dry의 범위였다. 추가적으로, 고농도로 검출된 지점에 대해 발생원을 추정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을 상, 중 및 하류로 구분하고 각 유역 별 고농도 지점을 중심으로 상류 1지점, 중류 2지점, 하류 2지점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PCBs의 농도는 3.9~60 ng/g-dry였다. 오염원을 해석하기 위하여 전이성체 분석 데이터의 이성체별, 동족체별 농도분포 패턴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동족체별 이성체 패턴이 혼합된 제품의 동족체별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수계 표층 퇴적물의 발생원을 추적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전이성체 분석한 시료를 해석한 결과 군집분석에서는 PCBs 제품에 영향을 받는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특히 Aroclor 1254와 1260 제품에 주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 결과에서도 PCBs의 제품의 특성이 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chlorinated byphenyls (PCBs) sources and concentration level in sediment, total 63 sediment samples with three-time sampling at one site were measured at 21 sites in Nakdong River. As a result of analysis, total concentrations and toxic equivalent (TEQ) concentration of Dioxin-like PCBs were ranged from 3.0 to 6,600 pg/g-dry with a mean value of 440 pg/g-dry and <LOQ to 3.0 pgTEQ/g-dry with a mean value of 0.34 pgTEQ/g-dry, respectively. In addition, 5 sampling sites detected high concentration level were selected in order to examine PCBs sources and total 209 congeners were analyzed. The subject sites were 1 site at the upper stream, 2 sites at the middle stream, and 2 sites at the down stream. The concentration level of total PCBs was ranged from 3.9 to 60 ng/g-dry. In order to comprehend pollution sources, data analysis using isomers and congeners patterns was conducted. The isomer patterns in each homologue showed similar between sediment and PCB products. In addition,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PCBs sources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sediment samples were classified as one group that influenced by PCBs produ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especially influenced by Aroclor 1254 and 1260 product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samples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PCBs products.

      • KCI등재후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레이트 중 석면 무해화처리 연구

        김영호 ( Rong-hu Jin ),김종국 ( Jong-guk Kim ),윤길도 ( Gil-do Yun ),송병주 ( Byung-joo S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향후 대량으로 발생하게 될 석면 함유 폐슬레이트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고형화나매립과 같은 방법들에 비해 석면의 유해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신속하고 대량 처리가 가능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석면 무해화 처리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슬레이트를 대상으로 2.45 GHz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500℃, 600℃, 700℃, 800℃ 및 900℃에서 석면의 무해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LM, SEM/EDS 및 XRD 분석 결과, 700℃ 이상에서 석면이 모두 무해화 되었으며 석면 본래의 섬유 결정구조가 사라졌고 다른 미세한 입자들로 바뀌어 섬유질이 재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XRD 패턴 분석 결과 700℃에서는 백석면의 피크는 모두 사라지고 calcite, calcium-silicate및 SiO2만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calcite 성분이 주를 이루었다. 마이크로파 처리 후 슬레이트 중 중금속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현행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의 중금속의 함량 기준을 만족하고 있어 재활용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valuating the possibilities of the treatment of ACS(Asbestos-containing slate) using microwave to overcome the existing problems such as the limit of landfill capacity and safe treatment of AC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various temperature(500℃, 600℃, 700℃, 800℃, and 900℃) using 2.45 GHz microwave aiming at ACS. Asbestos was destructed and the original fiber structure of Asbestos disappeared and the re-crystallization occurred at the temperature over 700℃.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using the analysis of PLM (polarized light microscope), SEM/EDS(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and XRD(X-ray dif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peaks of chrysotile disappeared and calcite, calcium-silicate, and SiO2 remained at the temperature over 700℃ through the analysis of XRD pattern. The change of heavy metal contents in the samples was not found an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in the samples that Asbestos was destructed were below than the criteria on recycling of was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