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존, 속도, 변화의 관점으로 고찰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언택트, 뉴노멀

        김영목(Kim Youngmok),김성규(Kim Seong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코로나19 펜데믹은 새로운 문명사적 일대 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거대 변화의 양상을 공존, 속도, 변화의 관점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가장 큰 변화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언택트’(untact)와 ‘뉴노멀’(new normal) 문화의 등장이다. 언택트와 뉴노멀이 앞당겨 가져온 미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거부감을 불식시키고 ‘메타버스’(meta-verse)처럼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가상 세계의 등장을 알린다. 이처럼 코로나19는 우리로 하여금 4차 산업 혁명을 조금 더앞당기도록 강제함과 동시에 전 세계가 합심해서 거대 위기를 극복해나가는 초유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했다. 코로나19는 새로운 일상과 상식을 가져왔으며, 인간으로 하여금 새로운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했다. 이제는 코로나19 이전의 방식으로는 우리가 속한 세계와 문화를 바라볼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세계와 문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가 포스트 코로나의 시대, 언택트와 뉴노멀이 만드는 새로운 환경에서 ‘적자’(適者)로 살아남을 수 있다. The pandemic of COVID-19 have made a huge change to our civilization which have not seenbefore. In this paper, we divide the change in three categories as coexistence, velocity andtransformation in advance, and research each category very specifically. In the era of PostCorona, the biggest change is our life style into ‘untact’ and ‘new normal’ that can get rid of thebarrier between online and offline. Untact and new normal will bring us 4th industrial revolutionin earlier than we guessed. It also brings the ‘meta-verse’ environment where people do theireveryday jobs in virtual world just like in real world. COVID-19 have made people accept 4thindustrial revolution and gave them such a terrific experience of enduring and overcoming withall the people of the world. COVID-19 has brought the whole new kind of common sense, and ithas changed people’s view into entirely different ways. From now on, we will never go back tothe life and culture of before COVID-19. People who are the most adaptable can survive in thisera of Post Corona when untact and new normal becomes in common.

      • KCI등재

        메타버스를 위한 철학과 교육

        최원재(Wonjae Choi),김영목(Youngmok K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메타버스는 가상세계를 표방하는 대표적인 개념으로 코로나로 촉발된 비대면 사회 활동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특히 교육계에서 환영받았는데 그 용어에서 오는 모호함으로 인해 사람들은 혼란을 겪기도 했다. 대면 생활이 조금씩 재개되는 현시점에서는 메타버스의 인기도 한풀 꺾이기 시작했고, 지금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진정한 가상현실인지에 관해 물음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이는 메타버스에 관해 철학적 고민 없이 사용법부터 익히기에 바빴던 지난 2년여의 결과이기도 하다. 앞으로 메타버스가 교육의 큰 축이 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가상현실 구현에 있어 교육 철학적 전제가 선행되어야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육이 정당성을 확보하고 목적과 활용 사이에 균형 잡힌 교과 과정이 구체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하이데거, 메를로 퐁티, 혜강 최한기의 철학적 방법을 소개한다. 이 세 철학자의 존재론적 접근에서 보면 실제와 가상은 다름이 아닌 하나이며 양자 간의 ‘포개짐’이 더욱 개선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함을 알 수 있다. Metaverse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the virtual world, and it was especially prominent in non-face-to-face social activities triggered by Corona. The metaverse platform was especially welcomed in the education world, but the ambiguity of the term confused people. At this point, when face-to-face life resumes, the popularity of the metaverse has begun to wane, and some people have questioned whether the current metaverse platforms are a true virtual reality. This is also the result of the past two years of being busy learning how to use the metaverse without considering philosophical concerns. There is no doubt that the metaverse will become a major axis of education in the future. However, educational philosophical premise must be preceded in the realization of virtual reality, based on which, technology education can be justified and a balanced curriculum between purpose and application can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roduces the philosophical methods of Heidegger, Merleau-Ponty, and Han-ki Choi. From the ontological approach of these three philosophers, it can be seen that the real and the virtual are virtually one, and the ‘overlapping’ between the two creates a more improved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이중도덕의 희생자로서의 여성 - 입센의 알빙 부인, 헤다 가블러 및 헤벨의 클라라

        김영목 ( Kim¸ Young-mok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1 독일언어문학 Vol.- No.92

        이 논문은 헤벨과 입센의 여주인공들을 통해 이중도덕의 희생자로서의 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헤벨의 『마리아 막달레나』에서 클라라의 희생과 가족구성원의 몰이해의 근저에는 심리적 ‘테러’의 사회적 압력을 초래한 인습적 도덕의 부도덕성이라는 전도된 도덕관이 자리하고 있다. 입센의 『유령』에서 알빙 부인에게 위장된 결혼생활을 강요하고 결국 뜻하지 않은 아들의 불행과 더불어 그녀의 내적 몰락을 초래시킨 것 역시 시민사회의 구속적 인습과 편협한 도덕통념에 다름 아니다. 알빙 부인도 사회적으로 ‘바른’ 여성적 행위의 사회적 ‘이상’에 따라 강요된 여성적 의무를 수행하지만, 인내를 통한 수동적 행위가 운명으로서의 젠더라는 필연성에 의해 규정되는 클라라와 달리 그녀에겐 자유로운 결정의 ‘짐’이 부과되어 있다. 『헤다 가블러』에서 입센은 아버지의 명예통념이 죽음을 넘어 여주인공의 삶에 얼마나 강하게 각인되어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헤다 또한 가부장적 시민사회에서 도덕적 스캔들에 대한 두려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그녀는 동시에 ‘남성적’ 무기로 행한 시민적 도덕규범에 대한 비정상적 위반을 통해 자유와 권력을 갈망하는 개체로서 사회로부터 강요된 기존 여성역할을 벗어난다. 이로써 헤다에게는 ‘여성성’에 대한 일반화된 도덕관념과 도구화된 역할에 대한 저항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다. In diesem Beitrag wird am Beispiel von Fr. Hebbels Maria Magdalena und H. Ibsens Gespenster und Hedda Gabler untersucht, inwiefern das Problem der Frau als Opfer der Doppelmoral dargestellt wird. In Maria Magdalena ist Klaras Schicksal nichts weiter als die Beschreibung der doppelten Moral, unter der die Frau leben und sterben muss, wenn sie deren Richtlinien übertritt. Im Vordergrund steht die Funktionalisierung der Tochter als Objekt des familiären Reputationswertes. Hier wird der Vater als dem ‘moralischen’ Druck der Umwelt unterworfener Rollenkonformist gesehen. An Klaras Selbstmord ist die verkehrte Moral schuldig, die die christliche Vergebung aus ihrem Vokabular gestrichen hat. Das Problem der Frau, die durch die gesellschaftlichen Umstände in eine unglückliche Ehe gezwungen wird, liegt auch in Gespenster vor. Frau Alving wird am Ende bestraft von dem Schicksal, das ihr Sohn erdulden musste. Hinter ihrem inneren Untergang steht die menschenfeindliche Enge der bürgerlichen Doppelmoral, unter der die herrschende Konvenienzehe ständig gerechtfertigt wird. Die Angst vor dem Skandal ist der Grund zur tragischen Auflösung von Heddas Ehe in Hedda Gabler. Auch Hedda ist eine in Not geratene Frauenfigur, die keinen anderen Ausweg sieht, als sich das Leben zu nehmen. Aber mit der ‘abnormalen’ Verletzung des bürgerlichen Sittenkodex, die Hedda mit einer ‘männlichen’ Waffe begangen hat, entzieht sich sie, das Individuum mit dem Drang nach Freiheit und Macht, der weiblichen Rollenidentität als Frau und Mutter.

      • KCI등재

        역사드라마에 나타난 역사이미지의 구성 - 『헤르만전투』를 중심으로 -

        김영목 ( Kim¸ Young-mok ) 한국헤세학회 2020 헤세연구 Vol.44 No.-

        본고는 클라이스트와 그라베가 쓴 역사에 ‘관한’ 드라마 『헤르만전투』에서 역사이미지의 구성작업을 다룬다. 클라이스트의 텍스트는 ‘역사적’ 지식과 ‘민족적’ 지식의 대립에서 개인의 영웅성으로 고정된 기존 역사이미지에서 벗어난 하나의 역사탐색이다. 여기서 전통수립의 행위들은 헤르만 개인이 아니라 민족성에서 보존된다. 이점에서 헤르만은 자신의 역사이미지를 역사책이 아니라 독일인들의 신체에 ‘쓰고’ 있다. 그라베의 극에선 사건변두리의 에피소드들에서 문자로 전승된 공식적 역사이미지의 저편에서 짧은 순간 역사의 흔적들이 나타난다. 에피소드들은 종래 역사이미지로 저장된 집단적 지식과 개인적 경험의 틈새를 드러낸다. 이 틈새를 통해 탐색될 수 있는 것은 ‘역사’에 새겨졌던 목소리와 역사이미지 이면에 있는 신체들이며 이것들의 고유성을 통해 이미지나 목소리로는 전해질 수 없는 경험이 얻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상 속에 일어나는 역사탐색, 문자 이면에 일어났던 것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미지의 역사탐색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심미적 드라마텍스트의 구조를 통해 역사이미지에서 ‘구멍’이 다시 채워질 수 있다. Diese Arbeit beschäfitigt sich mit der dramatischen Konstruktionsarbeit von Geschichtsbildern in Kleists und Grabbes Die Hermannsschlacht. Im Gegensatz zu historischem Wissen ist Kleists Text ein Drama über Geschichte selbst - als Suche nach einer Geschichte, die nicht zum Spielball des überlieferten, offiziellen Geschichtsbildes wird, das auf das Heldentum des Individuums fixiert ist. Seine Akte der Traditionsstiftung knüpfen nie an Hermann an, sondern werden im Charakter des Volkes tradiert. So schreibt Hermann sein Geschichtsbild nicht in Geschichtsbücher, sondern in die Körper der Deutschen. In Grabbes Text sind es hingegen die Episoden am Rande des Geschehens, in denen in kurzen Momenten Spuren einer Geschichte auftauchen, die jenseits des offiziellen Geschichtsbildes der schriftlichen Überlieferung liegt. In diesen Episoden zeigt sich der Riss zwischen gespeichertem kollektivem Wissen und individuellen Erfahrungen. Hinter den Stimmen, die sich der Geschichte eingeprägt haben, auch hinter ihren Bildern, sucht dieser Riss die Körper, denen eine Erfahrung eigen ist, die weder Stimme noch Bild zu vermitteln vermag. Hier geht es um die Suche nach einer unbekannten Geschichte, die in der lebendigen Imagination möglich ist. So kann die Lücke im Bild der Geschichte durch die Konstruktion des ästhetischen Dramentextes wieder gefüll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