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 인재 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삼성꿈장학재단 교육소외 학생 교육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소희(Sohee Kim),김영롱(Younglong Kim)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 지속도전, 능동학습, 진로개척, 사회기여 –의 응답 패턴에 따라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의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2020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핵심 인재 역량의 응답 패턴에 따라 4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별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류된 잠재집단 유형에 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포부, 경제상황, 거주지역, 가정구조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차상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교육포부의 경우, 교육 포부가 높은 학생일수록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상황 변수에서는, 기초수급대상에 속하는 학생들이 일반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으며, 중소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대도시에 사는 학생과 비교했을 때, 중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새터민, 시설, 조손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중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응답 양상에 따라 산출된 각각의 잠재집단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의 계발 및 보급 뿐 아니라, 다각도의 관점에서 교육 소외 학생들의 핵심 인재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according to core competency – sustainable challenge, active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ponses for sub-scales of core competency, an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investigated. For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20 learning center project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was used to conduc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rst, four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patterns on core competency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Seco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for each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program satisfaction, educational aspiration, economic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family 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atent group classification. For progra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econd competency group. For educational aspiration, th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 the student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In the case of economic situation, the students, basic pension 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low-income group. In addition, student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living in large cities. Finally, students in groups, living with single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facilities, or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than students living in a typic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potential group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ore competency. For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the core capac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 KCI등재

        중등학교 역사수업에 적용된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강지혜(Kang, Jihye),김영롱(Kim, Youngl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In order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Flipped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ir class satisfaction of Flipped Learning in a middle-school history class. 259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The participants were ninth grade students from a school located in Kyeonggi-do,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both watching videos as a pre-activity and their ease of accessibility. However, the amount of content and the length of each video was not perceived positively. Participants think around ten minutes is enough for each video. Secondly,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constant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even in advance, was considered as a positive factor through pre-activity.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pre-activity and while-activity needed to be strengthened through short class lectures or specific examples. Lastly, while-activities in class encouraged learners to be active participants; and it also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s, and between peers. Also, a more specific guideline of activities and roles for team members was needed for improving the cla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udy proposed an elaborated instruc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역사수업에 적용된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여 플립드 러닝의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2015-1학기, 경기도 소재 A 중학교 역사 교사의 기존 수업방식과 플립드 러닝 수업을 모두 경험한 3학년 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사전학습 활동에 제시된 사전 동영상의 내용구성이나 접근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들은 사전 동영상을 통해 개별적으로 심화 및 반복학습이 가능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업 중에 교사의 미니강의나 사례 등을 제공하여 사전학습과 수업 중 활동을 연계하여 유기적인 학습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본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 중에 진행하였던 다양한 활동이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교사-학생, 학생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고 보았으며, 교사가 팀 활동에 대한 방향이나 팀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안내할 경우 보다 더 효과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