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이식 환자에서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의 변화

        김여경(Yeo Kyeoung Kim),이연경(Youn Kyoung Lee),이균상(Kyun Sang Lee),조민석(Min Seok Cho),정택균(Taek Kyun Jeong),박병석(Byoung Seok Park),정균호(Gyun Ho Jeong),마성권(Seong Kwon Ma),김수완(Soo Wan Kim),김남호(Nam Ho Kim),최기철(Ki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3

        배경 : 신이식 후에 발생하는 심혈관계 질환은 이식신의 손실과 함께 환자 사망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고령 및 흡연 등이 있으며, 또한 급성 거부반응의 유무, 좌심실 비대, C-reactive protein 등 염증 반응과 함께 고호모시스틴 혈증 등이 보고되고 있다. 호모시스틴은 신장 사구체를 통하여 배설되는 아미노산으로 말기 신질환 및 신이식 환자에서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생각되고 있으나, 신이식 후 호모시스틴 농도의 변화 및 엽산과 비타민 보충 요법 등의 치료 효과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신질환 환자들에서 신이식을 시행한 후 고호모시스틴 혈증의 발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대조군 21명, 만성 신부전으로 최소 2개월 이상 치료 중인 환자 중 만성 신부전 보존 치료군 37명과 신이식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와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고호모시스틴혈증(정상대조군의 95백분위수 14.54 μmol/L 이상)의 유병율은 정상 대조군, 만성 신부전 보존 치료군과 신이식 환자군에서 각각 4.8%, 83.8%, 45.8%였다. 신이식 환자군 중 고호모시스틴 혈증은 정상 신기능군(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남: 1.2 mg/dL, 여: 1.1 mg/dL 이하)과 비정상 신기능군에서는 각각 18.8%, 59.4%였다. 신이식 환자군(16.38±6.48 μmol/L)에서의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는 정상 대조군(8.80±2.07 μmol/L)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만성신부전 보존 치료군(24.68±9.01 μmol/L)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 또한 신이식 환자들 중 혈청 크레아티닌 정상군(12.02±3.68 μmol/L)에서 비정상군(18.57±6.51 μmol/L)에서의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 다중 회귀 분석상 신이식 환자들에서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 인자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이었으며, 전혈 사이클로스포린 농도나 비타민 및 엽산 보충 요법의 유무와는 무관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신이식 환자의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는 정상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보존 치료 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와 비교시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였다. 또한 이러한 혈청 호모시스틴 농도의 감소가 신이식 환자에서의 심혈관 질환 발생의 감소에 기여할 것인지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Cardiovascular disease (CV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is a major cause of both graft loss and patient death in kidney transplant recipeints. There are several well known risk factors of CVD,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diabetes melitus, old age and smoking. Non-classic risk factors are acute rejection episode, LVH, C-reactive protein and hyperhomocysteinemia. Homocysteine is an amino acid filtered through the glomerulus and hyperhomocysteinemia is considered as a risk factor of CVD in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nd kidney transplant patients. So homocysteine lowering trials, such as folic acid and vitamine supplement therapy, are being made. We evaluated the prevelance and determinants of hyperhomocysteinemia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 We measured serum total homocysteine concentration (tHcy) and its determinants in 21 normal persons, 37 chronic renal failure (CRF) patients with conservative treatment (predialysis) and 48 kidney transplant patients. Results :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was 4.8%, 83.8% and 45.8% among normal persons, predialysis and kidney tranplant patients, respectively. Among th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preve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was 18.8% in normal renal function (serum creatitine concentration male: below 1.2 mg/dL, female: below 1.1 mg/dL) group and 59.4% in abnormal renal function group. The tHcy values in kidney transplant patient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predialysis patients (16.38±6.48 μmol/L vs. 24.68±9.01 μmol/L, p<0.01), but higher than those in normal persons (16.38±6.48 μmol/L vs. 8.80±2.07 μmol/L, p<0.01). Among th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tHcy values in normal creatinine grou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abnormal creatinine group (12.02±3.68 μmol/L vs. 18.57±6.51 μmol/L, p<0.01). Using mul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showed increased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is a major determinant of tHcy concentration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and hyperhomocysteinemia is not correlated with whole blood trough level of cyclosporin (mean 126.26±62.19 ng/mL, range: 26∼322 ng/mL) or vitamines supplement therapy.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serum homocysteine value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were higher than in normal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RF patients with conservative treatment. The major determinant for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s a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Korean J Med 63:306-313, 2002)

      • KCI등재후보

        연속식활성오니법 , 반연속식활성오니법 , 진탕배양법에 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생분해도

        이민호,백대우,이정래,김여경 ( Min Ho Lee,Dae Woo Baek,Jeong Rae Lee,Yeo Kyu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3 생태와 환경 Vol.26 No.2

        The biodegradabilities of sodium laurel sulfate(SLS), sodium lauryl ether sulfate(SLES), sodium alpha olefin sulfonate(AOS), and sodium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LAS) were determined by shake culture tests, semicontinuous activated sludge(SCAS) test, and continuous activated sludge(CAS) test specified in KS, JIS, ASTM and OECD, respectively. The relative rates of biodegradation, estimated by methylene blue active substance loss, were in the order of SLS> SLES> AOS> LAS. All surfactants were biodegradable,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these surfactants are easily degraded in sewage treatment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