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성 DMB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김승시(Kim, Seung-shi),문연희(Moon, Younhee),최지호(Choi, Jiho)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위성 DMB 서비스의 수용이 아닌 수용 이후 지속적 이용의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위성 DMB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에 관한 결정요인으로 만족, 특유자산, 그리고 이용정도가 고려되었다. 위성 DMB를 이용하고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위성 DMB 서비스에 대한 만족, 시간 및 노력 특유자산, 그리고 경제적 특유자산은 위성 DMB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이용정도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및 실문적 시사점이 논의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satellite DMB service use, focusing not to adopt new technology service such as the satellite DMB service but to continuously use in post-adoption. Using a data collected from 366 respondents through questionnaire, research model is tested. Results show that service satisfaction and transaction-specific asset such as time, learning effort, and economic cost have an impact on use of the satellite DMB service but usage amount has no effect on it. Finally,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패밀리 룩을 통한 제품 실체성 지각과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김승시(Kim, Seung Shi),한상린(Han, Sang-Lin),이성근(Yi, Seong Keun),이성훈(Lee, Sung Ho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3

        제품의 디자인 아이덴티티(design identity)는 소비자의 제품 지각과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들에서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패밀리 룩(family look) 전략을 적용하고 있다. 일부 선행연구들은 디자인 패밀리 룩 전략이 소비자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형성한다고 밝혔지만, 그러한 효과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디자인 전략에 있어 왜 패밀리 룩 전략이 효과가 있는가를 다루었으며, 나아가 패밀리 룩 전 략을 어떤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 룩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실체성(entitativity)과 의인화(anthropomorphism)의 개념을 적용하였으 며, 패밀리 룩 전략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 자동차 디자인의 패밀리 룩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밀리 룩적인 특성은 소비자의 실체성 지각을 증가시키고, 그 실체성 지각을 통해 소비자는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둘째, 자동차의 패밀리 룩 디자인에 의인화 정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더욱 우호적 태도를 형성하였다. 셋째, 자동차 패밀리 룩 디자인에서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음료수 병 디자인의 패밀리 룩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패밀리 룩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써 실체성과 의인화 개념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초기의 연구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Endowing identity to the product design becomes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the brand from its competitors. To build a design identity, various companies have used family look design for some decades in spite of the insufficient evidence of the effect. Some studies showed family look would make an affirmative attitude toward brand, but they did not find out why it work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need, the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titativity as a mechanism of the family look design effect in the automotive industry. Second, as a way of reinforcing the effect of family look design, the concept of anthropomorphism was considered according to prior studies which showed that anthropomorphism could make a positive effect to the brand. Third, we investigated whether family look design strategy can be expanded to other product categories such as experienced good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mily look design increased the perception of entitativity, and the perception of entit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brand in the car industry. Second, family look design with anthropomorphism made more positive attitude than family look design without anthropomorphism. Third, the generalization of family look design to commodity such as beverage product did not show as expected.

      • KCI등재

        소셜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사용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상린(Han, Sang-Lin),김준성(Kim, Jun Seong),이방형(Lee, Bang-Hyung),김승시(Kim, Seung-Si),이성훈(Lee, Sung-Hoo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7

        소셜커머스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2000년대 초반에 생성되었으나 최근 들어 성공적인 소셜커머스 활용과 그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그것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슈화되었다. 새로운 유통채널인 소셜커머스에 대해 분석적으로 접근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자 하는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socialcommercetoday.com의 경우가 그 한 예로써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소셜커머스를 이해하고 어떻게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토론하고 탐구하는 온라인상의 모임이다. 이러한 시도는 기업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못하는 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행동의도-구전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개념을 소셜커머스에 적용하여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의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로 인해 형성된 태도가 사용의도와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선행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기존의 소비자행동 연구와 몇몇 백서(white paper)에서 개념적으로 제시한 신뢰, 효용, 재미, 가격, 추천, 위험이라는 6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하였다. 소셜커머스는 크게 공동구매 방식, 기존 웹과 연계하는 방식, SNS에 직접 입점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인 공동구매 방식을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살펴보았던 6가지 요인들이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가격만을 장점으로 내세우던 모습에서 벗어나 더 많은 것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형성된 태도는 정보탐색을 위한 소셜커머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최종적으로 구매를 위한 소셜커머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정보탐색을 위해 소셜커머스를 사용하는 것이 소셜커머스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구매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정보탐색을 위한 소셜커머스 사용의도 모두 구전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적인 구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태도형성과 사용의도 형성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소셜커머스에 관한 깊이 있는 학문적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있는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공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generated new marketing channels like Internet or recent social network service. From late 1990s, Internet has rapidly advanced and got into our lives and, it made a powerful marketing channel. E-commerce, which is using Internet to purchase products and pay the cost, emerged and has organized, and it attracts many people and makes them participate in the channel. The Internet has evolved more and more. Moreover, it has played a role of a bridge among people and as a result, social commercewhich is a newmarketing channel has been generated . The basic concept of social commerce was told in early 2000s, but social commerce has been popular and made a issue nowaday because of many successful results of using social commerce. Many people are trying to analyze the new channel and attempt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plan. One of the examples is socialcommercetoday.com which is an online community for understanding social commerce and discussing the way to improve it. Tendencies like that has shown in many companies, but it is hard to see in academic researches. In that reason, the aimof this research is to study social commerce through attitude-behavior(intention)-WOM(intention) construc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field and academic field.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onsumers' attitude on social commerce, and then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attitude on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WOM.We take six factors - trust, utility, fun, price, referral, risk - from some conceptual white papers because there isn't antecedent reseach about social commerce attitude. There are three types of social commerce those are Group purchasing, Connecting with existing web pages, and Opening a store in SNS. Among them, we conduct this study with Group purchasing which is well known and the most popular type in Korea. We found some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is study. First of all, the six factors generate consumers' attitude on social commerce. It means that managers need to considermany things than only price. Second, the generated attitude effects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searching information, and final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purchasing goods. In sum,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searching information has a key mediating role to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purchasing goods. Finally, social commerce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searching information influence the word-of-mouth. In other words, managers may manage positive WOM by concerning over social commerce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searching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