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So Youn Kim),전종설(Jong Serl Chun),강현아(Hyun Ah Kang),노충래(Choong Rai Nho),우석진(Seok Jin Woo),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복지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에서 426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부모와의 정기적 만남을 통해 친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이를 통한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biological parents and their self-esteem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The mediating effects of a caregiver and peer attachment in this relationship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used the first year data from the Korea Panel Data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426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biological parents had no direct effects on self-esteem.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and self-esteem was fully mediated by both caregiv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ions are provided to increase self-esteem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by having regular visits of biological parents and thus improving parent, caregiver, and peer attachments.

      • 복림이: 고령자들의 복지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카카오톡 기반 챗봇 디자인 컨셉 제안

        한우정(Ujeong Han),유영재(Youngjae Yoo),박소연(Sohyun Park),김소연(Youn-ah Kang),강연아(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 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수요에 발맞춰 노인복지 예산을 증대하고 신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복지를 위한 투자 비용 대비 국민의 복지체감도와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에는 복지 서비스 전달 체계의 부족이 꼽힌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카카오톡 챗봇 기반 복지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카카오톡에서 고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챗봇의 대화 방식을 디자인하였다. 본 서비스를 통해 고령자의 복지 정보접근성을 보장하고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