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UVB에 유도된 HR-1 mice의 피부손상에 대한 광보호 효과

        김정희(Joung-Hee Kim),김종국(Jong Guk Kim),김선건(Sun-Gun Kim),정승일(Seung-IL Jeong),장민정(Min-Jung Jang),김길수(Kil-Soo Kim),김극준(Keuk-Jun Kim),곽승준(Seung-Jun Kwack)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포도수확 후 버려지는 가지를 이용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에 함유된 polyphenol류 중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의 함량을 분석하고, UVB로 유도된 HR-1 mice의 손상된 피부에 대한 피부 보습, 피부 증식 억제, 항염증 등의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식품,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도전정가지에서 polyphenol 성분을 80% EtOH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20℃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GPSE의 유효성분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UVB를 실험동물에 조사하였고, GPSE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TEWL assay, 피부조직의 H&E staining 및 COX-2 단백 발현 측정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적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 등을 실시하였다. 포도전정가지 시료 53 kg에서 EtOH 분획 추출물 2.34 kg을 추출하여 4.42%의 수율 결과를 얻었다. 유효성분 분석 결과, procyanidin B3, 0.28 mg/g, rutin 12.81 mg/g, quercetin 0.51 mg/g 및 kaempferol 8.24 mg/g로 나타났다. TEWL assay 결과 대조군과 비교,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이 도포된 그룹(농도 2,000 mg/kg~125 mg/kg)에서 모두 보습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GPSE의 피부증식억제를 통한 광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epidermis에는 GPSE 농도 2,000mg/kg의 농도에서 suncream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p<0.05), dermis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GPSE 농도 2,000 mg/kg~125 mg/kg 모든 농도에서 UVB 조사한 그룹 두께 800 μm와 비교하여 suncream 도포군이 580 μm, GPSE 2,000 mg/kg~125 mg/kg 모든 농도에서 600 μm이하로 나타나 UVB에 의해 손상된 HR-1 mice의 피부증식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GPSE가 UVB에 의해 손상된 HR-1 mice 피부에 항염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OX-2 단백발현을 보기위해 immunohistochemical stain한 결과 UVB를 조사한 대조군에 비해 GPSE를 도포한 그룹 모두에서 항염증 효과를 보였지만, GPSE의 농도 1,000 mg/kg에서는 suncream 22%보다 낮은 8%에서 COX-2의 단백발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염증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GPSE 내 rutin, kaempferol, quercetin, procyanidin B3와 같은 유효성 페놀성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GPSE는 보습효과, 피부증식억제효과, 염증발현억제효과 및 자외선 손상에 의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GPSE는 피부보호 효과의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 물질로서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등의 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ntents of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 known to ha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among the polyphenol type contained in the 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 utilizing grape stems being discarded after harvest, measure the effects on the skin moisture, inhibition of skin cell proliferation, anti-inflammatory on the damaged skin of a HR-1 mice induced with UVB,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functional cosmetic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photoprotection effects through the skin proliferation control through of GPSE showed similar result to suncream was achieved at the GPSE concentration of 2,000 mg/kg on the epidermis (p<0.05). The results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ll groups applied with GPS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VB, but at the GPSE concentration of 1,000 mg/kg, a lower COX-2 protein expression at 8%, lower than the 22% of suncream, was observed to achieve an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active polyphenol type, such as rutin, kaempferol, querocetin and procyanidin B3, within the GPSE, and GPSE has improvement effects on moisturizing effects, skin proliferation control effect, inflammatory control effect and improvement effects on the skin barrier function through UV ray damage. GPSE is a functional ingredient with a potential for skin protection effects, and has high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 and functional cosmetics.

      • KCI등재

        Inhibitory Effect of Scopoletin Isolated from Sorbus commixta on TNF-α-Induced Inflammation in Human Vascular Endothelial EA.hy926 Cells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Suppression

        Hye Ryung Kang(강혜령),Hyo Jung Kim(김효정),Bomi Kim(김보미),Sun-Gun Kim(김선건),Jai-Hyun So(소재현),Soo Jeong Cho(조수정),Hyun Sook Kwon(권현숙)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4

        마가목은 한방에서 기침, 천식, 기관지 질환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sorbus commixta) 수피의 chloroform 분획물로부터 3종의 triterpenoid 화합물과 1종의 coumarin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MS와 1D-, 2D-NMR분석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lupeol, β-sitosterol, ursolic acid와 scopoletin으로 구조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은 마가목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Scopoletin은 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물질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합물이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혈관 염증 억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에서 LDL 산화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 (IC50=10.2 μM)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NF-α로 활성화된 인체혈관내피세포(EA.hy926)를 이용한 실험에서 scopoletin은 세포부착인자인 ICAM-1, VCAM-1, E-selectin의 발현을 저해하였고, THP-1 단핵구와 EA.hy926 혈관내피세포 간의 부착력도 약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scopoletin은 TNF-α로 유도된 NF-κB 전사인자의 핵내 이동 및 IκBα의 인산화도 저해하였다. 따라서 마가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scopoletin은 NF-κB 신호전달의 억제를 통해 세포부착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을 억제시켜 혈관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 scopoletin은 혈관염증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는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한 후보소재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Sorbus commixta Hedl.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remedy for cough, asthma, and other bronchial disorders. In this study, three major triterpenoids—lupeol, β-sitosterol, and ursolic acid and a coumarin, scopoletin, were isolated from a CHCl3-soluble fragment of the bark of S. commixta.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mass spectrometry (MS), 1D-, and 2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as well as by comparing the data with data reported in the literature. Scopoletin was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It is a nutraceutical compound contained in many plants that has been reported to exert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effects. This study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scopoletin on TNF-α-induced vascular endothelial inflammation. Unlike the marginal impact of other compounds against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and vascular endothelial inflammation, scopoletin showed remarkable activity on LDL oxidation (IC50 = 10.2 μM) and exerted vascular anti-inflammatory effects in EA.hy926 human endothelial cells activated by TNF-α. I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such as ICAM-1, VCAM-1, and E-selectin, and blocked the adhesion between THP-1 monocytes and EA. hy926 endothelial cells. It also inhibited TNF-α-induced NF-κB translocation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Moreover, IκBα phosphorylation, which was increased by TNF-α treatment, was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scopoletin. Thus, scopoletin inhibited TNF-α-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in endothelial cells by suppressing the NF-κB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wing to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vascular endothelium, scopoletin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atherosclerosi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