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증강현실 정보시각화 분석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김병택(Kim, Byungtaek),김영헌(Kim, Youngh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6 No.-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모바일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들의 개념과 동향을 정리하여 모바일 환경에서의 정보 시각화의 필요성과 핵심요소를 고찰하고,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들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 맞춰 정보시각화 측면에서의 사용자 UI요소와 기능, 디자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모바일 웹의 동향 및 전망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분류 및 디자인 분석,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성공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을 중심으로 주요 서비스 분야를 지역정보, 커머스, 소셜 네트워킹으로 나눠 선정 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의 시각화 요소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실 공간상에서의 가상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 시각화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irstly analyses the concept and trend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which have recently arisen as the issue of smart phone market. The research then inquires into the necessity and key elemen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the mobile environment. Finally,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changes of function, design and elements of user interface from information visualization perspective, through case studies on interface designs in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successful cases of mobile applications which have used a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To clarify the main service area to research, regional information, commerce and social networking are selected.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interface of mobile application through an analysis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user interface design. The study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serviceability of interface design by suggesting the guideline of visualization and the methodology of interpreting virtual information in real world space.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별 사용자 감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김병택(Kim, Byungtaek),김영헌(Kim, Youngh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스마트폰(Smart Phone)의 급속한 확산은 공간과 시간의 제약이 없는 컴퓨팅이 가능케 하여 사회ㆍ문화ㆍ산업 등 전방면에 걸친 정보통신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를 불러왔다. 이에 따라 기존 정보ㆍ미디어의 생산 및 소비 주체가 사용자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모바일(Mobile) 주도권 확보를 위한 디자인적 시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기존 모바일 기기와 차별화 되는 스마트폰의 특징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적극적 활용성이 증대되며 단순히 사용하기 편한 기능적 관점이 아닌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한 감성 중심 관점의 디자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서비스 환경에서의 감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를 목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특성, 감성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따른 감성 인터페이스 모형을 추출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요소와 감성모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치기반 서비스 유형에서는 행위 인지적 감성 요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설 네트워크 서비스 유형에서는 사고 인지적 감성이, 엔터테인먼트 유형에서는 직관적 감성요소가 다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보 서비스 유형에서는 행위 인지적 감성이, 커머스 유형에서는 직관적 감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격변하는 스마트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이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감성인터페이스의 적용방법을 제시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진화방향과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rapid spread of the use of smart phone enabled the computing without the constraints of space and time and has led to the paradig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social, cultural, and industrial aspects. Accordingly, the existing main agen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and media quickly switched into the user-oriented subject. Thus, the smart phone design to secure the dominance of the mobile marke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user interface. In particular, active utilization of application which is distinctive feature of smart phone has increased and there is a growing need of emotion-driven perspective design to satisfy the user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functional perspective for a user-friendly design. Emotional interface models upon the type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have been extra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smart phone application interface and emotional interface has been analyzed. The study showed that below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each category; intuitive emotional factors in entertainment service, action cognitive emotion in information service, and intuitive emotional factors in commerce. The research proposed the direction and significant advancement of interface design about smart phone applications.

      • 지역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UXD 기반의 웹 사이트 사례 분석 연구

        박준우(Park, Joonwoo),김병택(Kim, Byungtae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현재의 미디어 매체들 중 웹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가장 보편화된 정보교류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람이 살아가는 많은 분야에서 웹을 활용한 콘텐츠가 이용되고 있다. 콘텐츠 사업은 2000년대 이후에 핵심 산업으로 선정될 만큼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웹 콘텐츠의 다양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지역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지역의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하여 대중들과의 소통의 공간으로서 웹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 문화콘텐츠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만큼, 지역 문화 웹 콘텐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발전된 형태의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문화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보다 효과적인 체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경험디자인 구성요소를 구조,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로 분류하여 UXD 기반의 웹 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콘텐츠 측면에서는 몰입경험형 콘텐츠의 의존도가 높았으며, 구조적 경험에서는 네트워크 구조를 바탕으로 하나의 노드가 선형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인터랙션 부분에서는 경험형 콘텐츠로 인하여 상호작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터페이스에서는 감성적이며 미니멀리즘형 디자인과 Illustration 그래픽 이미지, Mass+Line Flow 레이아웃 유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웹 콘텐츠 제작에 있어 경험디자인 적용을 위한 체계 구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web among present media is being used as the most generalized information exchanging method. Accordingly, in many fields of people’s daily life, contents using contents are being widely used. Contents business have high potentials as much as to be selected as a core industry since 2000s, and created a momentum to increase the variety of web contents. Specially, web contents are being produced as a space exchanging communication with people for increasing regional brand value in the field of regional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ase of design based on user’s experience to provide more developed type web content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gional cultural web, and derive more effective system for producing it based on the analysis above in pace with its ever increasing weight. The analysis method was to classify the composition of experience design into structure, interaction, interface for analyzing the case of web contents based on UXD.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reliance on immersion experience type content was high. and a node constituted a linear structure based on network structure in structural experience. In the part of interaction, the weight of interaction was shown high due to experience type contents in the field of interaction, and sensuous minimalism type design, illustration graphic image, Mass+Line Flow layout were high in weight in interf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effect on constructing a system for applying experience design in producing web content to improve regional brand value.

      • 모바일 운영체제 UI 디자인에 적용된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준우(Park, Joonwoo),김병택(Kim, Byungtae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과 디바이스 해상도의 발전, 소프트웨어의 그래픽 품질 향상은 운영체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UI 디자인 환경 변화의 중심에는 사물의 본질만을 표현하여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적 양식이 가장 큰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기능적 편리를 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사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운영체제 중 iOS 7 UI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와 미니멀리즘의 개념 특성요인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능숙성 등의 설계 원칙들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니멀리즘의 주요 특성인 환원성, 단순성, 명료성, 공간성 요인이 모바일 운영체제 UI디자인의 사용자 만족도에 있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니멀리즘의 환원성 요인은 사용자의 기능성과 신뢰성에 많은 영향을 주며 단순성 요인은 사용자의 사용성에, 공간성 요인은 사용자의 능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모바일 운영체제 UI디자인의 새로운 트랜드로 부상하는 미니멀리즘의 개념특성과 사용자 만족도욕구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향후 모바일 운영체제 UI디자인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Development of the resolution of the device and the rapid spread of smartphones, improvement of software, presents a new paradigm for the operating system. At the center of the UI design environmental change, minimalist form in pursuit of brevity and simplicity with only represent the essence of things has emerged as a choice of maximum, increase user satisfaction beyond the convenient functional there is a need to approac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centered me . In this study, the functionality that can be used to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ncept Cause and Effect of minimalism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UI of iOS 7 mobile operating system, can you increase the user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is, reliability, ease of use, you are trying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principles, such as skilled nature. For this reason, factors reducing, simplicity, clarity, space sex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minimalism have studied analysis of th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in the UI design of the mobile operating system. As a result, the factor of reduction of minimalism, factors simple, for the user-friendliness of the user, factors of space resistance, can affect the skilled of the user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user I foun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desire of the user concepts and attributes of minimalism that has emerged as a new trend in the smart mobi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 it would be a great help in the study of the UI design of the mobile operating system of the future I expect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