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에 기반을 둔 중학교 단계의 탈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모형 구축

        김명성(Kim, Myoung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이 연구는 영재학급이나 영재교육원에서 국가표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을 반영하여 탈학문적 통합단원을 개발하는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김대현(2021)이 제시한 통합단원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외의 영재와 통합교육과정 전문가가 제시한 이론과 사례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수차례의 시험 과정을 거쳐서 통합단원 개발 모형을 구축하였다. 결과 탈학문적 통합단원의 모형은 통합단원 개발의 목적 설정, 국가표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의 스캔과 클러스터를 통한 통합단원 개발의 잠정 목표 설정, 통합단원의 유형 결정, 통합단원의 조직 중심의 잠정 결정, 국가표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연관하여 조직 중심의 확정, 통합단원의 목표 수정,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통합의 하위 주제 생성, 하위 주제별 통합단원의 스코프와 시??스의 잠정 결정, 통합단원의 크기 결정, 통합단원의 목적 반영을 통한 스코프와 시??스의 확정, 통합단원의 평가기준 마련, 통합단원에서 중심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선택 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결론 국가표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에 바탕을 두고 실효성있는 통합단원 개발과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역량 개발, 시간, 공간, 예산, 문화, 제도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for developing a post-academic integrated unit by reflecting the national standard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in a gifted class or a gifted education center. Methods Based on the integrated unit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Kim(2021), the theory and cases suggested by domestic and foreign gifted and integrated curriculum experts were thoroughly analyzed, and the integrated unit development model was built through several tests. Results The post-academic integrated unit model sets the goals of integrated unit development, sets the tentative goal of integrated unit development through scans and clusters of national standard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determines the type of integrated unit, determines the organization-focused provisional decision of the united unit, and the national Organization-oriented determination in relation to the standard gifted education program criteria, revising the goals of the united unit, creating sub-topic of integration through brainstorming, tentatively determining the scope and sequence of united unit by sub-topic, determining the size of united unit, united unit It was revealed that it consists of determining the scope and sequence by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unit, prepar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unit, and selecting the central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unit. Conclusions In order to develop and operate an effective integrated unit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time, space, budget, culture, and system.

      • KCI등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

        김명성(Kim, Myoungs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영재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메이커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영재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의 도입과 관련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메이커 교육을 구성하는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B시의 영재교육기관과 영재학급에서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으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메이커 스페이스 설치, 과정 기록과 평가, 교사 연수와 지원 체제 등에서 인식이 높았던 반면, 교수 학습 모형, 메이커 스페이스의 영역 구성, 자료와 도구 활용 등에서는 평균치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은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연수의 방향이 올바르고, 프로그램이 생산적이어야 한다. Purpose: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gifted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through maker education. To be the part of maker education in gifted educa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in rel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rea in charge of gifted students,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Metho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cusing on six areas that constitute maker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68 instructors who instruct gifted students at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gifted classes in city B,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instructo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ha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value of maker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maker space, process recording and evaluation, and instructor training and support system, etc., while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makerspace domain composition, and data and tool use, it was relatively low at the average level awarenes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in charge,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training on maker education to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raining must be correct, and the program must be productiv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