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리나 ( Kim Ree-na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10 No.-

        본 연구는 효과적인 무용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적정회복형태 도출을 위해 무용수행 후의 회복 형태의 차이가 피로요인인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화학 기전을 통해 규명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하루 평균 4시간의 발레 수업을 받는 발레전공 남자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 가지 회복 형태(정적 회복, 스트레칭 회복, 동적 회복)에 따라 무용수행 전 안정시 채혈, 무용수행 후 종료 시 채혈, 회복 15분, 회복 30분, 회복 60분 채혈을 실시하였다. 무기인산의 경우 회복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스트레칭 회복, 정적 회복, 동적 회복 순으로 낮은 농도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각 회복 형태에 따른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무기인산의 경우를 제외한 젖산과 암모니아의 경우, 모든 회복 형태에서 안정시부터 종료시까지 증가하여 무용수행 종료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회복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안정시로 돌아가려는 형태를 보였다. 동적인 회복에서 회복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스트레칭 회복과 정적 회복에서 동적 회복보다 젖산과 무기인산의 제거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회복 형태 별 피로요인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무기인산의 경우를 볼 때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발레수업 후 과연 어떤 회복 형태가 가장 빠른 회복을 가져올 지에 대해 규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산소성과 무산소성의 혼합형태인 발레수업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앞으로의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발레수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트레칭 회복의 좀 더 다양한 부위의 선별과 활동적인 회복 형태를 여러 가지 강도로 실행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용수행 후의 효율적인 피로요인제거를 제시해주는 연구들은 과도한 수업량을 소화해 내야하는 발레전공자들에게 빠른 회복을 위한 방안의 제시가 필수적인 만큼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무용 수행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find out an effect when the different elements of lactate, ammonia and phosphorus were changed after ballet class. It is to establish the scientific sources required for assuming the level of accumulated fatigue according to the tape and intensity of dance exerci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male dancer from studying ballet at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 They do ballet training generally 4 hours for everyday. According to recuperation of configuration (static recovery, stretching recovery, dynamic recovery), 5 blood simples were collected - before ballet training, final time of ballet training, after 15 min recovery, after 30 min recovery, after 60 min recovery. The order of phosphorus accumulation change was static recovery, stretching recovery, dynamic recovery in low concentration in process of recovery time. Each recovery forms were not distinguished statistically lactate, ammonia, phosphorus by a difference. With the of exception of phosphorus accumulation was found that recovery forms increased in the lactate and ammonia levels most rapidly during recovery time. And, there decreased for the reduction recovery time. In order dynamic recovery was expected to increase most rapidly in the lactate and ammonia levels, however, static recovery, stretching recovery were faster than dynamic recovery. Although, this study do not show that the during the resting form following fatigue factors - lactate, ammonia do not hav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methods of recove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various methods of recovery were influenced by phosphoru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beneficial effect of recovery forms, in regards to ballet training with understanding aerobic and anaerobic having the greater overall effect. Further study is need to examine supplementation conditions and various exercise forms, intensity and duration of exercise. This will become useful and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study of recovery after ballet training.

      • KCI등재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리나(Ree Na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7 No.-

        본 연구는 효과적인 무용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적정회복형태 도출을 위해 무용수행 후의 회복 형태의 차이가 피로 요인인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화학 기전을 통해 규명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회복 형태에 따른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기 인산의 경우 회복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스트레칭, 정적, 동적 순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2. 각 회복 형태별 시기간 비교를 해보았을 때,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동적인 회복에서 다른 회복 형태보다 젖산과 무기인산 제거가 느리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회복 형태 별 피로요인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무기인산의 경우를 볼 때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This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find out an effect when the different elements of lactate, ammonia and phosphorus were changed after ballet class. It is to establish the scientific sources required for assuming the level of accumulated fatigue according to the tape and intensity of dance exercise. The order of phosphorus accumulation change was static recovery, stretching recovery, dynamic recovery in low concentration in process of recovery time. Each recovery forms were not distinguished statistically lactate, ammonia, phosphorus by a difference. With the of exception of phosphorus accumulation was found that recovery forms increased in the lactate and ammonia levels most rapidly during recovery time. And, there decreased for the reduction recovery time. In order dynamic recovery was expected to increase most rapidly in the lactate and ammonia levels, however, static recovery, stretching recovery were faster than dynamic recovery. Although, this study do not show that the during the resting form following fatigue factors-lactate, ammonia do not hav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methods of recove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various methods of recovery were influenced by phosphoru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beneficial effect of recovery forms, in regards to ballet training with understanding aerobic and anaerobic having the greater overall effect. Further study is need to examine supplementation conditions and various exercise forms, intensity and duration of exercise. This will become useful and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study of recovery after ballet training.

      • KCI등재

        무용전공별 체지방율과 유산소능력비교

        김용이(Yong Ee Kim),김리나(Ree Na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 No.-

        본 연구는 발레·한국무용·현대무용을 전공으로 하는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체지방율과 유산소 능력 측정 지표인 최대산소섭취량 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각 전공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등의 무용경력을 가진 여성 무용수 2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지방율은 현대무용 그룹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대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최대산소섭취량은 현대무용 그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notify the physical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major dancers. To satis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4500 system and a treadmill was used to find out the VO2max, and to find out the body composition the InBody system was used. The rest follow: 1. In comparing the VO2max, the modern dance majors showed the highest rat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Korean dance majors. 2. In comparing the body composition, the modern dance majors showed the lowest r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