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걷기 운동시 중량부하가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김로빈(Ro Bin Kim),조준행(Joon Haeng C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nges in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nd to find biomechanical benefits of walking with and without sandbags around both ankles. Nine healthy male subjects(age : 22.78±2.22 years, height : 177.34 ± 3.75cm, weight : 72.52 ± 7.61kg) were chos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VICON with 8 camer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with 200Hz and force platform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with 2000Hz.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walking with 1, 2kg sandbags respectively max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1st peak, 2nd peak`s power increased with weight increase. Second, whe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walking with 1, 2kg sandbags respectively the impulse increased when the weight increased. Third when toe off at ankle joint, the joint angle decreased as the weight of the sandbag increased. Forth when toe off at knee joint, the joint angle increased as the weight of the sandbag increased. Fifth, when compared with normal walking, walking with 1, 2kg sandbags respectively the extension moment and the flexion moment increased at the knee joint, flexion moment increased at the hip joint.

      • KCI등재

        달리기시 맞춤형 발보조기 사용이 피로물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로빈(Ro Bin Kim),진화은(Hwa Eun Ji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blood fatigue induction factors and the comfort when the orthotics was put on during running. There were te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bsolute intensity exercise(6mile/hr, 5%). They ran on the treadmill with and without the custom foot orthotics. Lactate, ammonia, and phosphorous were analyzed after blood sampling was taken three times(before exercise, after finishing exercise performance, and 30min after recovery). The data concerning the overall comfort was collected by a questionairr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program. The level of blood lactate, ammonia, and phosphorous with custom foot orthotics were the lower than that of without custom foot orthotics. During running the overall comfort was higher for the foot orthotic condition than the nonorthotic conditions.

      • KCI등재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김로빈(Ro Bin Kim),조영재(Young Jae C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ized foot orthotics during march in combat boots. Four volunteers with normal foot and six volunteers with excessive pronation foot among soldiers on service were fitted with foot orthotics. The Ground reaction forces signal from activity of Pre-After military marching. The marching was performed with a speed of 4.5 km/h. The experiment design for research wes composed two experimentation. The first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ground reaction forces between normal foot and excessive pronator foot during march. The second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ground reaction forces between wearing orthotics and no wearing orthotics. Thes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method and paired T-test method of SPSS(windows version 15.0).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the maximum vertical impact peak and the maximum vertical loading rate on pronator foot ten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fter march. But the maximum vertical impact peak and the maximum vertical loading rate decrease the customized foot orthotics in volunteers with excessive pronation foot compared to volunteers with normal foot. Clinically, the application of orthotics for the soldiers with excessive pronation foot appears to keep nomal foot function and to decrease loading rate.

      • KCI등재

        노르딕 워킹과 일반 보행의 효율성 비교 분석

        김로빈 ( Ro Bin Kim ),조준행 ( Joon Haeng Cho ) 한국운동역학회 2010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nges in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nd to find biomechanical benefits of Nordic Walking and normal gait performed under the same velocity. Nine participants(age: 26.73±3.28 year, height: 182.45±4.62 cm, weight: 76.59±6.84 kg) was chosen. The velocity of gait was set by 5.75 km/h which was made by a Nordic Walking profession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VICON with 8 camer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with 200 Hz and force platform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with 2000 Hz.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Normal gai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Plantarflexion angle and ROM. Seco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knee flexion angle and ROM. Thir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increased hip joint movement. Four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r active GRF but decreased loading rate from delayed Peak Vertical GRF time and increased impulse. Fif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longer ground contact time.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Nordic Walking showed higher stability and efficiency during gait than normal gait and that Nordic Walking may help people who have walking difficulties.

      • KCI등재

        중량부하 달리기 시 하지부상 예방을 위한 운동역학적 분석

        김로빈(Ro Bin Kim),조준행(Joon Haeng C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nd to find biomechanical benefits of running with and without sandbags around both ankles. The subjects were nine healthy males (age: 22.78±2.22 years old, height: 177.34 ± 3.75cm, weight: 72.52 ± 7.61kg). The subjects ran at the speed of 2.0m/s and 3.0m/s with and without sandbags around their ankl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VICON with 8 camer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with 200Hz and force platform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with 2000Hz.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speed in creased the range of motion increased at the ankle joint and hip joint without the sandbags. With the sandbags the range of motion increased at the knee joint at both speed, and the range of motion at the hip joint increased only when running 3m/s. Second, the moment of lower limb joint increased and the size of plantar flexion of the ankle and flexion moment of the knee and hip joint increased with and without sandbags with speed. The plantar flexion of the ankle increased when running 2m/s with the sandbags. The flexion moment of the knee increase d when running 3m/s. Third, the absorption power of ankles, knees, and hip joint increased with speed increase and the absorption power of the knee joint increased at 2m/s and 3m/s with the sandbags. Forth, the generation power of the ankles, knees, and hip joint increased with speed with and without sandbags. The generation power increased at all joints with the sandbag and when running 3m/s.

      • KCI등재

        8주간 노르딕워킹 트레이닝 후 노르딕워킹과 일반걷기의 운동역학적 비교분석

        김로빈(Ro Bin Kim),조준행(Joon Haeng C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Nordic walking (NW) and normal walking after 8weeks of NW training.. Nine subjects particip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W showed larger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nd maximum plantarflexion moment than normal walking. Second, NW showed smaller percentage of knee joint range of motion compared to normal walking. Third, NW showed larger percentage of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smaller maximum extension moment than normal walking. This study found that NW reduced the range of motion in the knee and prompted more usage of ankle and hip joint compared to normal walking. Thus NW can be suggested as a good gait exercise for subjects with lower limb joints problem.

      • KCI등재

        안정적인 걷기운동을 위한 노르딕 워킹의 적용가능성 분석

        김로빈(Ro Bin Kim),조준행(Joon Haeng Ch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Nordic walking(NW) and normal walking in kinetic analysis. Ten subjects participated. Force plate was used to obtain the data during support phase of right le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W showed larger propulsion force than normal walking. Second, NW showed larger medial GRF but smaller lateral GRF and longer GRF time compared to normal walking. Third, NW showed larger 3rd vertical GRF but smaller 2nd and 3rd loading rate than normal walking. Fourth, NW showed better medial-lateral stability than normal walking. These results shows that nordic walking was more efficient and stable than more walking during gait. Therefore NW can be suggested as a good gait exercise not only for normal people but also for someone who has functional impairment in the lower extremity.

      • KCI등재

        동양 좌식생활과 서양 입식생활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로빈(Kim, Ro-Bin),조준행(Cho, Joon-Haeng),승재(Kim, Seung-Ja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6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different lifestyles of Westerners and Koreans effect the ligament of lower extremity on gait and to analyze the latent risk factors. The subjects were 12 Koreans who follow sedentary life style and 12 Westerners who do not follow sedentary life style. Based on image analysis, the movement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 in three dimensions were analyzed. Kinetic variables based on ground reaction force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movement of the ankle and knee joint during gait and kinematic variables between the Westerners and the Korean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ovement of the hip joint. Koreans showed bigger knee joint valgus and the hip adduction. Based on this research, Koreans showed increased knee joint valgus and hip joint adduction during gait. This was found to effect the knee lateral meniscus.

      • KCI등재

        저 동기수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자기통제 피드백의 새로운 제안

        김로빈(Ro Bin Kim),이한우(Han Woo Le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 of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The test subjects were 40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ho had no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constituted a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and a general self-control feedback group(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The task used in this research was aerial pass for accuracy which is one of the soccer skill tests for Crews(1968). On the first day, subjects were given pilot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ss skill between two groups(transformed and general group) after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ilot tests. The data analysis of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2(self-control form)×2(feedback group)×5(block) or 2(self-control form)×2(feedback group)×2(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ached by analysing the test data. (a) transformed self-control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self-control groups at acquisition phase. (b) according to retention phase` interaction of self-control form×feedback, self control feedback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yoked group at transform condition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at general condition.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nsformed self-control feedback group performed the best on the soccer pass skill task.

      • KCI등재

        성별과 보행 속도에 따른 하지 관절의 기여도 분석

        김로빈 ( Ro Bin Kim ),조준행 ( Joon Haeng Cho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일반 걷기(1.34 m/s)와 빠른 걷기(1.70 m/s)시 남녀 간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차이와 보행 패턴 및 운동역학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설계 되었다. 보행은 각 관절의 굴곡과 신전 동작을 통해 두 발을 앞뒤로 교차시키며 앞쪽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전진하게 되는 동작이다(Coutts, 1999).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남녀 간 하지 관절의 움직임과 보행 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관절의 가동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두 속도 모두에서 남녀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와 Kim (2012)은 보행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는 증가하지만 무릎 관절에서는 감소한다고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남성의 경우에는 발목과 엉덩 관절의 가동범위가 증가하고 무릎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엉덩 관절만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패턴에서는 남녀 간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 중 인체는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Sutherland, Olsen, Cooper, & Woo, 1980)을 흡수하기 위해 신장성 수축을 통한 굴곡 동작을 실시하며, 추진을 위해서는 단축성 수축을 실시하게 된다(Kulas et al., 2008; McNitt- Gray, 1993). 본 연구의 결과 충격을 흡수하고 추진력을 얻기 위한 움직임의 가동범위에서는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움직임이 비슷하다고 해서 인체 내부의 기전이 같다고 할 수 없으므로, 운동역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관절 내 운동 역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각 관절의 신장성 일량 및 단축성 일량을 살펴보았다. 먼저 신장성 일량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 남녀 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모두 발목 관절의 일량은 감소한 반면 무릎 관절의 일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속도의 증가할 경우 무릎 관절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Teixeira-Salmela, Nadeau, Milot, Gravel과 Requiao (2008)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무릎 관절의 역할에 대해 Torry, Wyland, Sterett, & Richard Steadman (2003)과 Zhang 등 (2000)은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보행을 분석한 본 연구에서도 속도의 증가와 함께 충격이 커지므로 무릎 관절의 역할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관절의 사용 비중에 대해 Teixeira-Salmela 등 (2008)은 0.67 m/s의 속도에서는 발목과 무릎의 비중이 각각 47.6%와 24.9%였으나 약 2배가 빠른 1.42 m/s의 속도에서는 각각 25.1%와 45.4%로써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과 무릎 관절의 비중이 역전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각 관절의 일량을 모두 합한 후 각 관절의 일량으로 나누어 백분화시킴으로써(Decker, Torry, Wyland, Sterett, & Richard Steadman, 2003),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각 관절의 역할과 비중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각 관절의 기여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관절에서 남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녀 모두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목 관절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무릎 관절의 비중은 증가하여 Teixeira-Salmela 등 (2008)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역전현상은 특히 여성에게서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남성은 약 27% 감소한데 반해 여성은 40%나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여성에게서 보상작용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운동학적 패턴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장성 일량과 비중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남녀 간 충격 흡수 기전 및 전략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성의 경우 일반 속도에서는 엉덩 관절의 비중이 가장 높았던 반면, 여성은 발목 관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보행시 남녀 간 충격 흡수 기전 및 전략적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충격 흡수를 위한 가장 비중 있는 관절로써 남성은 일반 속도(엉덩, 발목, 무릎 순)와 빠른 속도(엉덩, 무릎, 발목 순)로 모두 엉덩 관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여성은 일반 속도(발목, 엉덩, 무릎 순)에서는 발목 관절이었던 반면 빠른 속도(무릎, 엉덩, 발목순)에서는 무릎 관절로 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 즉, 남성은 충격흡수를 위한 역할과 변화가 근위부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여성은 원위부에서 잘 나타남으로써, 남녀 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한 이후에는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들의 단축성 수축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보행 시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단축성 일량의 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속도의 증가와 함께 남녀 모두 발목과 엉덩 관절에서 단축성 일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의 크기가 높게 나타나 남녀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발목 관절에서 단축성 일량의 크기는 작았던 반면 엉덩 관절에서는 그 크기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릎 관절의 경우에는 남성만이 속도의 증가와 함께 단축성 일량의 크기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무릎 관절을 잘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사용 전략 및 비중을 알아보기 위해 단축성 일량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여성은 두 속도 모두에서 남성보다 발목과 엉덩 관절의 비중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은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이 각각 약 77, 11, 11%로 비중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보행의 패턴에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여성은 발목 관절의 비중은 늘고 무릎 관절의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전략 또한 남성과는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4). 마지막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한 각 관절의 비중은 남성과 여성 모두 발목 관절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남성은 무릎과 엉덩 관절의 비중에서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여성은 발목 다음으로 엉덩 관절과 무릎 관절 순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은 속도가 증가할 경우 무릎 관절의 역할이 감소함으로써 발목 관절의 역할이 증가한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4). 여성은 남성보다 발목 관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며(Eckel et al., 2012), 엉덩 관절의 움직임은 커 남녀 간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Cho et al., 2004). 본 연구의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남녀 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작고 엉덩 관절의 비중은 커 운동학적 측면에서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관절 일량의 비율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저 충격흡수 차원에서 남성은 두 속도 모두에서 충격흡수를 위한 엉덩 관절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여성은 일반 속도에서는 발목 관절의 비중이 중요하였으나 속도가 빨라질 경우 무릎 관절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이 남성과 여성 간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엉덩 관절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보행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 비중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발목 관절에서 무릎 관절로 변화하여 무릎 관절의 비중이 더 크게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 간 보행 패턴의 차이 뿐만 아니라 발목 관절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무릎 관절에서 사용 비중이 늘어나게 되는 보상작용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되며, 특히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음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추진력 차원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발목 관절의 비중이 가장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남성은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의 비중이 변화하지 않았던 반면 여성은 무릎 관절의 비중이 감소하는 대신에 발목 관절의 비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은 무릎과 엉덩 관절의 비중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은 무릎보다 엉덩 관절의 비중이 커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전략 또한 남성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운동학적 측면에서 가동 범위를 통한 남녀 간 보행 패턴에서는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운동역학적인 측면에서는 남녀 간 차이와 속도 간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ender differences on gait pattern and the kinetics on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gait speed. Ten collegiate male students (age : 23.80±2.94 yrs, height : 179.40±5.04 cm, weight : 66.57±5.64 kg) and ten female students (age : 23.40±2.91 yrs, height : 166.06±5.61 cm, weight : 53.76±2.75 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the ratio of the use,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joint during gait, we examined the joint work and the contribution to total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ait pattern was not differ between male and female, hip joint ROM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Second, the eccentric work of the ankle join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on the other hand increased on the knee joint. Third, in the result of the contribution to total eccentric work, male in both the two gait speed was the biggest on the hips joint. However, female in normal gait speed was the greatest on the ankle joint, was the most on the knee joint in the fast gait speed. Forth, the concentric work on the ankle and hip join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gait speed both male and female. Fifth, in the result of the contribution to total concentric work,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le both the two gait speed, however decreased in the female on the knee joint with the increase of the gait speed, on the other hand increased on the ankle j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