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 연구 -캄보디아와 아부다비 에미리트를 중심으로-

        김걸,정진도,이재용,Kim, Kirl,Jeong, Jin Do,Lee, Jae Y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공간정보 환경이 최근 플랫폼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 인프라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와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공간정보 인프라 현황을 구성요소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캄보디아는 해외 원조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이며,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풍부한 오일머니의 자금력으로 해외 선진기술과 고급 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신흥선진국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국가별 공간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모델과 아부다비 모델이라는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수출 방식과 해외 진출 전략 및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environment in geospatial information has conversed into the plaform. The platform based geospatial information contributes to save time and cost as well as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stability i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 Republic of Korea is now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spatial open platform called as the V-World(Virtual World), and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its abroad ex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abroad export strategy by country of spatial open platform by comparing the cases of developing country, the Kingdom of Cambodia and newly developed country, the Emirate of Abu Dhabi, The Kingdom of Cambodia depends on foreign aids to develop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the Emirate of Abu Dhabi is inducing an advanced technology and high human power from overseas based on abundant oil money. This study establishes the abroad export strategy based on two country models such as Cambodia and Abu Dhabi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in geospatial information, and suggests the ways of abroad export and the methods on fund raising for spatial open platform.

      •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글로벌화 전략 연구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걸,Kim, Kirl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5

        1995년부터 추진한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으로 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활용수준은 높아졌으나, 국내시장 규모의 한계와 대기업의 시장진출에 대한 법률적 규제로 인해 한국의 공간정보 시장은 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정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열된 국내의 레드오션 시장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공간정보의 블루오션 시장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해외 공간정보 시장은 2015년까지 연평균 10.5% 성장하고 150조원(1,2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의 공간정보 시장은 커다란 성장 잠재력을 가지며, 한국에게는 새롭게 부상하는 블루오션 시장이 되고 있다. 핀란드, 독일, 스웨덴,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므로 선진국과 발을 맞추기 위해서 신흥공간정보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새로운 글로벌화 전략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공간정보에 대한 강점-약점-기회-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현황을 고찰하며, 한국 공간정보의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K-FBI 글로벌화 전략은 지식 플랫폼 구축전략, 신개척지 전략, 기본 공간정보 공략 전략, 현지 맞춤형 내재화 전략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향후 K-FBI 글로벌화 전략에 기반한 공간정보 로드맵의 수립과 시행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ject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ince 1995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Korea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ased on them has also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limit to domestic market size and the legal regulation on prohibition of large sized companies' expansion into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markets, Korean spatial information markets are tied up in term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ose problems and evade the domestic red oceans, it is necessary to find new one in overseas' blue ocean markets. It is estimated that overseas spatial information market will be grown to 125 billion-dollar size and the annual growth rate of it will be reached to 10.5% until 2015. Thus, Asian spatial information market has a huge growth potential and it is newly rising blue oceans for Korea. Advanced countries such as Finland, Germany, Sweden, and Japan have already expanded their market size into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To step with advanced countries, it is time to set up the new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newly industrializing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T of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investigate the status on spatial information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and suggest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them. The globalization strategy can be labelled as K-FBI composed of 4 domains such as Knowledge sharing platform, Frontier, Back to the basic, and Internalization. In near future, the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 of road map based on the strategy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advance into Asian developing countries.

      • 한국-아부다비 공간정보 격차분석을 통한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발전 방안 연구

        김걸,Kim, Kir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3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문화권 중에서 급속한 경제적 번영을 이룩하여 신흥선진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석유경제에서 비석유경제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 환경변화로 인해 도출되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정보의 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정보는 아부다비에서 블루오션 시장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으며, 도시건설의 기본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인프라의 기반이 한국에 비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공간정보인프라의 주요 요소인 조직체계와 법률 제정이 미흡하고 공간정보 산업의 해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특징을 가진다. 세계의 다국적 기업이 장악한 아부다비의 공간정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현황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한 틈새시장 진출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성요소에 대한 현황분석을 한국의 경험에 기반하여 고찰한다. 공간정보인프라 구성요소별로 한국과 아부다비 간의 공간정보 격차를 분석하고 아부다비의 단기 장기 공간정보인프라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중동의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와 한국 간 공간정보인프라에 대한 격차분석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중동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The Emirate of Abu Dhabi is swiftly rising into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by achieving economic prosperity among the Islamic cultural regions of Middle East and North Africa(MENA). Abu Dhabi Emirate is performing the conversion from oil economy to non-oil economy and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olicy. However, there are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Abu Dhabi. In order to solve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s in society and environment, Abu Dhabi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triggering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basic infrastructure for urban construction and enlarged as a blue ocean market in Abu Dhabi. However,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Abu Dhabi is not well managed in comparison to that of Korea. Especially, Abu Dhabi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it depends on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and it does not have its own systemic organization and law system. To advance into Abu Dhabi spatial data market under-controlled by global vend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and required to establish the advance methods into niche markets by considering priority order of spatial inform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ap of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bu Dhabi and Korea and suggest the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methods for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The results of gap analyses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companies' advance into MENA.

      • 일본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사례연구

        김걸(Kirl Kim),김병선(Byeong Sun Kim) 한국셉테드학회 2011 한국셉테드학회지 Vol.2 No.1

        범죄가 발생하는 특정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감시활동을 강화하거나 범죄공간을 환경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범죄발생률을 낮추려는 시도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보고 현지답사를 통해 실제 CPTED가 일본의 도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일본 과학경찰연구소에서 진행해온 GIS를 이용한 CPTED 효과분석 방법인 가중이전계수와 CPTED 적용지역의 탐색에 유용한 일상활동 분석방법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CPTED 정책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refers to a program that tries to decrease the criminal incident rates by eliminating the crime places environmentally and enhancing the monitoring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specific crime space and time. This research begins with a brief review of the concepts and strategies of CPTED and investigates the practical application case for CPTED in Japan through the field survey. It then illustrates the Weighted Displaced Quotient and Routine Activity Analysis methods using GIS that have been perform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Police Science in Japan. It elicits how the CPTED policy in Japan can be applied for Korea.

      • KCI우수등재

        젠트리피케이션의 爭點과 硏究動向

        金傑(Kim Kirl),南?佑(Nam Young-Woo)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8 國土計劃 Vol.33 No.5

        Gentrification is the restoration and upgrading of deteriorated urban property by middle-classes, often resulting indisplacement of lower-income people. It has now been identified in a large number of citie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ustralia. In order to explain this phenomenon,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theories of Gentrification which have emerged over the last 20 years and the debate which has surrounded them. The study of gentrification has started from 1960. But, during the 1970s, Attempts to evaluate the extent of gentrification have been hampered by the general scarcity of timely, relevant, and geographically detailed data. As 1980 census data have become abailable, studies have begun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nges for both specific neighborhoods and cities. Since the 1990, the subjects of gentrification have diversified and expanded in relation to the gender, the class and the uneven development. To date, There is no evidence that gentrification have occurred in Korea, But, in the context of the change of household size, the growth of white-color classes, and the policy of local municipalites, It can be expected that gentrification will occur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put much time and cost on global spread of labeling the East Sea since 1992,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naming on the East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in domestic and overseas. It is time to raise the identity of the East Sea and make foreigners understood the name of the East Sea eas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ing of the East Sea of Republic of Korea. Firstly, it investigates the background established and labelled the East Sea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Secondly, it looks into a fact that the existing name of the East Sea is not different from the East China Sea(Donghai) and the East Sea of Vietnam(Bi^en D^ong) and critically argues the necessity of the start on the naming unification between the East Sea of Korea of North Korea and the East Sea of Korea. Thirdly, it suggests the usage of the Sea of Korea or the East Sea of Korea as the feasibl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East Sea of Korea. In the near future, the consensus on the East Sea label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ll be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reunification.

      • KCI등재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김걸 ( Kirl Kim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No.3

        Spatial information is commonly evaluated very important because it plays significant roles in national administrations, public service, and efficient land use in the national territory.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s, regional gap in information, digital divide, is frequently considered inevitable. The digital divide is identically applicable to spatial inform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Particularly requiring huge financial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patial information may lead to serious digital divide in a count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digital divide,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digital divide of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whole 248 government administrative units in Korea. In the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rototype of digital divide analysis about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es technical suggestion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 shows that Korea has regional gaps, the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and the digital divide was particularly dominant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villages. This study suggests multi-dimensional suggestions in political, financial, planning and evaluation perspectives to handle the digital div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