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김갑영 ( Kab Young Kim ),김재현 ( Jae Hyun Kim ),장낙한 ( Nak Han Jang ),김현정 ( Hyun Jung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2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 역량의 반영 정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과학 교과 역량을 제시한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충남 지역의 3개 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15개 문항과 5개의 자율 서열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성실하게 응답한 3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의 해석을 위하여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 교과 역량 중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비중이 크며, 학생들은 교과서에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비중이 높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비중이 매우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 역량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이고, 과학에서 가장 얻고 싶은 역량은 ‘과학적 탐구 능력’이었으며,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경우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이나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비율이 낮고 학생들도 과학에서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flection degree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which is presented in second grad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do th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second grade textbooks, and surveyed 400 students from three schools in Chungnam area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The survey consisted of 15 questions consisting of a five-step Likert scale and 5 ranking questions. The survey analyzed the responses of 327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and conducted a post-interview survey to interpret the survey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the proportion of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is large, and the students are perceived to have a high proportion of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the textbook. Second, students recognize that the proportion of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the evaluation conducted in school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was very low. Third,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science that students perceive is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the competency they wanted most from science is the 'scientific inquiry,' and the competency most needed to live in future society is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Fourth, in the case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it is an important element of science literacy, but the proportion of consisting science textbooks is low, and students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r necessity i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