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전공분야 비실기전형 학생선발을 위한 입학사정관의 심층면접 문항 개발 및 평가기준 탐색

        길임주(Gil, Im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실기를 위주로 학생선발을 해온 디자인분야의 대학들에서 비실기전형으로 학생들을 선발할 경우, 입학사정관들이 심층면접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해야 하고, 어떤 기준으로 선발해야 잠재적 디자인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 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전국의 4년제 디자인 전공의 대학생 1204명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검사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여 비교하고, 문항반응 이론에 의하여 문항변별도를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23문항을 디자인능력을 파악하는데 적합한 심층면접 문항의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선별된 문항들은 문항변별도가 적절하고 난이도면에서 범주별 위치모수의 간격도 균등하며, 검사정보함수도 신뢰로운 문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별된 문항들의 변별도를 고려하고 문항평균을 참고하여 평가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tems with a power of item discrimination for the admission officers who are in the process of in-depth interview to select students with latent design ability who want to be in design major without any practical test in college admission screening. The study investigated what kinds of ability was required to be a designer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n art and design and college screening practical tests.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er was administrated to 1204 design-major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underlying factors consisting of design ability. Based on the calculated power of items discrimination on item response theory, 23 items were selected with an appropriate power of item discrimination, item difficul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mission officers should consider the power of item discrimination with the mean of each item.

      • KCI등재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길임주(Imjoo Gil),이상선(Sangsu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미래의 디자이너를 자신의 진로목표로 설정하고자하는 학생들이 디자인 진로적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디자인 진로적성검사(2009)에 비해 최근의 디자인 분야의 변화를 반영하여, 디자인 기초소양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표현력, 창의력, 기획력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다시 세분화된 하위 요인을 추출하였다. 디자인 전공소양에서는 최근의 디자인 진로분야에 부합하는 요인모형을 설정하고, 각 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들의 타당성 검사를 거쳐 구성된 문항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대상은 전국 4년제 디자인 대학의 재학생 608명, 본조사의 대상은 1205명이었다. 개발된 문항들은 예비조사와 본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과 디자인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조사 를 거쳐 디자인 진로적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을 추출하고 최종 검사 문항을 선별하였다. 추출된 하위요인들은 디자인기초소양 척도를 구성하는 소묘력 외 7개 요인, 디자인기초소양 척도를 구성하는 패션 디자인 외 6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완 성된 검사는 디자인 기초소양 척도 55문항, 디자인 전공소양 척도 4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완성된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에서 설정된 요인구조와 문항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이 지지되는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났다. Extended version of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ers (CAT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st was intended for future designers to check if they have design talents or aptitude. This is a direct and supportive manner of guiding students in their design-career decisions. The item development of extended version started with updated and accurate classification of related factors in design ability and majors or departments in 4 year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pilot study were 608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nd 1,251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cross S.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e main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inspections by seven design experts were performed for all the items. Results showed that the 3 factors and eight-subfactor model of ‘basic design competency’ and the seven-factor model of ‘advanced design competency’ were extracted with 55 items and 45 items each. The structural model of extended version of CATD was evalua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ch provided a very good fit. It is concluded that the extended version of CATD is a useful instru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ir aptitude as future designer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디자인 진로 및 전공선택을 위한 수행능력 측정 : 디자인 '실기능력'과 '기초소양' 척도 타당화 연구

        길임주,박성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디자인 전공 및 진로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디자인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 수행능력을 크게 ‘디자인 실기능력’과 ‘디자인 기초소양’으로 개념 및 하위변인을 정립한 후 각각을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 전문가들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디자인 학부생 4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검사와. 427명을 대상으로 한 본검사 점수의 문항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조형력 , 표현력 , 색채 및 재질감, 컴퓨터 프로그램활용능력의 네 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18개 문항의 ‘디자인 실기능력’; 척도와, 창의력, 관찰력, 기획력, 감수성의 네 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18개 문항의 ‘디자인 기초소양’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의 타당성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구인타당도, 하위요인별 상관분석에 의한 수렴타당도, 디자인 전공학생 및 대학원생(석사 및 박사, 중국유학생) 준거집단 335명을 대상으로 교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자인 실기능력’과 ‘디자인 기초소양‘ 척도는 일반화될 수 있으며 다른 표본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척도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ing 'practical design skills' and 'basic design talents'. The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439 design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collected major data from 427 design majoring university students(freshmen and sophomores), and finally 335 design majoring junior and senior students' responses for validation.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cale for practical design skill was defined by four factors and they were 'ability in formative art', 'ability to use color and material', 'ability to express', and 'ability to use computer applications'. Meanwhile, the scale for basic design talents was defined by four factors, which included 'creativity', 'observ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sensibility'.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ed the four sub-scales in the practical design skill scale and the basic design talents scale. Convergent validity evidence was also obtained from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scales in the two scales. Cross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design majo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