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가상 현실 기반의 서비스 실험을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 모델링 프레임워크 개발

        권혁진(Hyouk-jin Kwon),김보현(Bo-Hyun Kim),백재용(Jae-Young Baek),오요셉(Jo-Seph Oh),김동환(Dong-Hwan Kim) (사)한국CDE학회 2011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consider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rvices as a key facto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Because of the invisibility and intangibility of a service, it is very hard to search the optimal process and parameters of the service before its launch. As an effort to verify the process and to evaluate the quality in the design stage of the new service, we are constructing the service laboratory which contains a virtual reality(VR) room, related equipments and operation methods and tools. As the first step to construct the service laboratory specialized for testing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the modeling framework of service process (MFSP) which contains the sub-framework for communication(SFC)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that for the implementation(SFI). The SFC represents the activities of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the experimental alternative used in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 of the service experiment. The SFI is a modeling and analysis tool to describe the technical factors required for implementing several service scenarios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xperimental alternatives from the SFC.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e input/output data of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the virtual reality data such as scene and sound describing service spaces, and the detailed service process. This study is still ongoing and should consider the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applicability and generality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 VR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실험실 구축

        권혁진(Hyouk-jin Kwon),김보현(Bo-Hyun Kim),백재용(Jae-Young Baek)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

        Most enterprise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because consumers want to receive good services. Quality of service can be analyzed by two components. The first is objective quality and the second is perceived quality. The objective quality is analyzed and evaluated by techniques of the Service Blueprint or the SPD(Service Problem Deployment), etc. But the perceived quality is very difficult to analyze because the perceived quality is subjectively evaluated by customer who receive the service.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ncept of service laboratory based on VR technolog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quality of service. Service laboratory is a space to experiment a service. Also, to show the usability of the service laboratory, we apply it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ervice, an unmanned store for used car sales.

      •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제조혁신 기술

        백재용(Jae-Yong Baek),김보현(Bo-Hyun KIm),정소영(So-Young Jung),오요셉(Jo-Seph Oh),권혁진(Hyouk-Jin Kwon),김승현 (사)한국CDE학회 2012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2

        글로벌 경쟁체계하에서 기업이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 간 업무 연계 및 협업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기업 내·외부의 환경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하고 제조업 전반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를 달성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국내 중소 제조업체를 위한 독창적인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2004 년부터 i 매뉴팩처링이란 사업을 수행하여 기업내부 및 기업간 기술협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i 매뉴팩처링 사업은 정보화 혁신, 제조 프로세스 혁신, 제조 시스템 혁신, 신제품개발 혁신 4 대 핵심 추진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2008 년도부터 제조 프로세스 혁신의 일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협업 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개발 중인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셜 네트워크란 인터넷 상에서 인적 네트워크 또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제조기업의 애로사항 중의 하나인 전문인력의 부재와 애로기술의 손쉬운 확보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제조혁신 모델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지식, 해결방안 등을 외부 전문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 구조를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