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의 보편자와 철학적 특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9장을 중심으로

        권혁성 ( Kwon Hyeock-seong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2

        본고는 `시는 보편적인 것을 말하기에 철학적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9장에 나오는 논제를 새로이 해석하는 데에 바쳐진다. 이 논제는 예술의 인지적 가치에 대한 오늘날까지의 오랜 논의들을 통해 주목되어 온 고전적 논제인데, 이 해석에 따르면 그것은 다음과 같은 논지를 통해 시의 인지적 가치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다. `시는 보편자를 말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인간 행위를 그 인과성과 보편적 본성에 따라 파악한 인식을 제시하기에 철학적 특성을 갖는데, 시가 이런 인식을 담은 보편자를 제시하는 것은 감정 효과라는 그것의 예술적 목표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는 감정 효과를 목표로 삼는 예술인 한 보편자를 제시함으로써 인지적 가치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그것의 보편자에 담긴 이 인식은 이 예술적 목표에 의해 요구되는 개연성 원리에 따르는 것으로서 학문적 수준에 못 미치는 것이되, 시에 특유한 방식으로 윤리학에 기여하는 것으로서 항상 확장되고 심화될 전망을 갖는다. 이에 따라 시가 보편자를 제시함으로써 갖는 인지적 가치는 철학을 비롯한 학문들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특유한 종류의것이 된다.` 이러한 생각을 제시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는 시의 인지적 가치를 감정 효과라는 그것의 예술적 목표와의 본질적 연관에 따라 이해하는 균형 있는 관점을 미학사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b, die aristotelische These im 9. Kapitel von der Poetik - `Die Dichtung sage das Allgemeine und sei deswegen philosophisch` - in einer neuen Perspektive zu interpretieren. Diese These ist eine These von klassischer Bedeutung, welche durch die uber den kognitiven Wert der Kunst lange Zeit bis heute stattgefundenen Diskussionen als beachtenswert betrachtet worden ist. Nach dieser Interpretation vertritt sie Aristoteles` Meinung uber den kognitiven Wert der Dichtung in folgender Weise: `Indem die Dichtung dadurch, dass sie das Allgemeine sagt, eine solche Erkenntnis gibt, dass die als Gegenstand der Dichtung vorliegende Handlung eines Menschen unter ihrer Kausalitat und ihrer allgemeinen Natur aufgefasst ist, hat sie einen philosophischen Charakter. Es ist eigentlich durch das kunstlerische Ziel der Dichtung, d.h. den Emotionseffekt, erfordert, dass die Dichtung das Allgemeine, das diese Erkenntnis beinhaltet, sagt. Demnach muss die Dichtung, insofern sie eine Kunst ist, die sich den Emotionseffekt zum Ziel setzt, einen kognitiven Wert haben, indem sie das Allgemeine sagt. Die Erkenntnis nun, die das Allgemeine beinhaltet, ist etwas, was unter diesem kunstlerischen Ziel dem Prinzip der Wahrscheinlichkeit folgt. Als eine solche steht sie an Strenge der Wahrheit der wissenschaftlichen Erkenntnis nach, kann aber dennoch in einer fur die Dichtung eigentumlichen Weise zur Ethik beitragen und immer erweitert und vertieft werden. Somit ist der kognitive Wert, den die Dichtung dadurch hat, dass sie das Allgemene sagt, eine derartige, welche von dem der Wissenschaften, einschließlich der Philosophie, unterschieden ist.` Indem er diese Meinung vorbringt, tragt Aristoteles zur Geschichte der Asthetik in der Weise bei, dass er fur die Diskussion uber den kognitiven Wert der Dichtung einen solchen balancierten Gesichtspunkt einfuhrt, dass man den kognitiven Wert der Dichtung im wesentlichen Bezug auf ihr kunstlerisches Ziel, Emotionseffekt zu bewirken, verstehen kann.

      • KCI등재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카타르시스

        권혁성(Kwon, Hyeock-Seo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4 西洋古典學硏究 Vol.53 No.1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비극의 카타르시스를 종래의 주도적 해석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재조명한다. 그 해석들은 카타르시스 이해에 다소간 중요한 기여들을 하면서도, 각자의 입장을 위한 경직성 때문에 한계들도 갖는다: 도덕주의적 해석은 그 한 가지 대표적 노선을 통해 카타르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이해되는 ‘도덕성’과 연계될 길을 적절히 보여주기는 하나, 카타르시스를 전면적으로 도덕적인 것으로 파악하려는 과도함을 보인다. 도덕주의적 해석을 비판하며 본격화된 의학적 해석은 카타르시스의 ‘감정 치료’ 본성을 적절히 지적하면서도 그것의 ‘도덕성’과의 연관을 무리하게 부인하며, 이 후자의 해석을 비판하며 최근까지 활발히 개진되는 인지주의적 해석은 카타르시스의 ‘인지적’ 기반을 훌륭히 지적하고 때때로 그것의 ‘도덕성’과의 연관도 효과적으로 드러내면서도 그것의 ‘감정적’ 본성에 합당한 비중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한계들을 극복하면서 이 기여들을 조화롭게 통합할 새로운 관점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에 부합하게 찾으면서 본고는 카타르시스를 다음과 같이 재해석한다: 그것은 가능한 한 이상적인 플롯으로 재현된 연민스럽고 공포스러운 행위가 적격의 감상자에게 충실히 이해되면서 그의 마음에 연민과 공포를 그 대상에 가능한 한 적합하게 환기함으로써 그가 실생활에서 다소간 부적합하게 느끼던 같은 감정들을 이 감정들의 본성에 가능한 한 적합하게 정련하는 감정적 성과를 낳는 과정이다. 이것은 감상자의 충실한 작품이해를 ‘기반으로’ 연민과 공포를 적합하게 환기하고 정련하면서 감정적 즐거움을 낳는 과정이며, 이 감정적 적합성 덕택에 덕성 형성에도 기여한다. 요컨대, 카타르시스는 인지적 토대를 전제로 도덕성에 기여하는 미적 성취로서 비극이 낳는 가치의 중심이며 이런 한에서 비극의 목적이다. This paper aims to cast a fresh light on the Aristotelian Catharsis of the Tragedy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so far prevailing interpretations about the theme. For these interpretations have, despite their more or less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 about the theme, some shortcomings which result from their stubbornness for their respective positions: Though the moralist interpretation, through a representative line of its exponents, makes clear a dimension rightly in which the catharsis relates to the morality, it proceeds nevertheless unduly in that it takes it in its essential whole as a moral matter; the medical interpretation, which is established for the sake of a criticism on the moralist interpretation, explains the nature of the catharsis as a therapy of emotions certainly well, but denies its relation to the morality unjustly; the cognitivist interpretation, which is being actively developed up to the recent times in a critical position to this latter interpretation, calls our attention to the cognitive basis and sometimes also to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catharsis certainly effectively, but does not consider its emotional nature duly enough. By searching for a new viewpoint, from which it would be possible for u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 these contributions harmoniously, in accordance with the Aristotelian thinking,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 the catharsis anew, as follows: It is a process in which a pitiful and fearful action represented in a tragedy as ideally as possible is understood by a competent recipient rightly and arouses thereby pity and fear in his mind as adequately as possible to the nature of the represented object, so that it brings about the emotional effect, that the same emotions in the recipient aroused otherwise more or less inadequately are refined as adequately as possible to the nature of the emotions themselves. It is therefore a process in which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cipient about the represented action works as the basis and from this activity of his mind it results that the pity and the fear are aroused and refined adequately, which is at the same time accompanied by a pleasure; in virtue of this adequateness of arousal and refinement of the emotions, it contributes also to a formation of the morality. Therefore, the catharsis is an aesthetic accomplishment, which contributes to the morality on the condition of the cognitive basis and constitutes in this relation to both the main element of the tragedy’s values, and in this sense its purpos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나타나는 감정의 본성

        권혁성 ( Kwon Hyeock-seong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3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감정이라는 주제는 그가 구분하는 학문의 세 영역 중 실천학과 제작학이라는 두 영역에 걸쳐 중대한 비중을 가지며, 특히 그의 시학을 비롯하여 그의 입장을 수용하는 차후의 미학 논의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도 감정의 본성에 대한 그의 이해는 진지하게 고려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그의 감정 이해를 그 전체상에 따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감정이란 주어진 상황이 감정 주체에게 어떠어떠한 인상을 준다는 판단을 통해 파악됨으로 인해 그의 마음에 욕구 반응으로서의 즐거움이나 고통이 유발되는 데에 존립한다.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감정 주체의 신체적 조건에도 의존하지만, 이 조건을 전제로 방금 설명된 방식으로 그의 마음에 일어나는 심적 경험이다. 그런데 감정의 이러한 심적 본성에는 상황 파악이 내적 요소로 포함되지는 않는다. 판단이라는 인지 활동으로서 상황 파악은 감정을 낳는 작용인이기에, 감정에 본질을 제공하지만 그것을 낳는 외적 요인으로 머물며, 이러한 상황 파악을 통해 유발되는 욕구 활동으로서의 즐거움이나 고통만이 감정의 본질을 이루는 내적 요소이다. 따라서 감정은 인지 활동으로서의 상황 파악이 외적 조건으로 작용함에 의해 본질을 얻으며 마음에 일어나는 욕구 활동으로서의 즐거움이나 고통의 경험이다. In Aristoteles’ Philosophie ist das Thema ‘Emotionen’(path?) von großer Bedeutung fur zwei von seinen drei Wissenschaftsbereichen, d.h. fur die praktische sowie die hervorbringende Wissenschaft. Außerdem ist seine Auffassung der Emotion dafur betrachtenswert, dass man sich vor allem mit Aristoteles’ Poetik und ferner auch mit anderen von ihm beeinflußten spateren asthetischen Diskussionen effektiv beschaftigen kann. Daher v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Aristoteles’ Auffassung der Emotion so zu betrachten, dass sie in einem ganzen Bild konkret vorzustellen ist. Nach dieser Betrachtung ist seine Ansicht folgendermaßen zusammenzufassen: Die Emotion besteht darin, dass, dadurch dass man eine vorliegende Situation mit dem Urteil auffasst, dass sie einen bestimmten Eindruck auf ihn mache, eine bestimmte Art von Lust oder Schmerz als Begierdenreaktion seines Gemutes verursacht wird. Sie ist freilich auch von dem Korperzustand des betroffenen Menschen abhangig, dennoch eine psychische Erfahrung, die unter Voraussetzung dieser Bedingung auf die eben erklarte Weise in seinem Gemute entsteht. Die so psychisch beschaffene Emotion enthalt aber nicht die Situationsauffassung des Betroffenen als ihren inneren Bestantteil. Da namlich die Situationsauffassung als eine kognitive Tatigkeit des Urteils die causa efficiens fur die Emotion darstellt, gibt sie zwar der Emotion ihre Essenz, bleibt aber nur ein außerer Faktor fur ihre Entstehung. Der andere Faktor also, der durch die Situationsauffassung verursacht wird, d.h. Lust oder Schmerz als Begierdentatigkeit, ist allein das, was die Emotion innerlich ausmacht. Daher ist die Emotion eine als Begierdentatigkeit im Gemute entstehende Erfahrung von Lust oder Schmerz, fur welche die Situationsauffassung als eine kognitive Tatigkeit die Rolle spielt, sie von außen zu verurschen.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

        권혁성(Kwon, Hyeock-Seo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41 No.-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본질에 대한 그의 생각을 이에 대한 하나의 오랜 전통적 해석으로서 “보편주의”라고 불릴 수 있는 입장에 대항하여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해석적 입장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어떤 이것”이라고 불리며 실체로 간주되는 대표적인 사물인 개별자에 있어서의 본질을 같은 종에 속하는 다른 모든 개별자들에도 공통적인 종적 보편자라고 설명하는데, 본고가 보기에 이 입장은 지지되기 어려우며, 오히려 하나의 주어진 개별자의 본질을 그것에 고유하게 귀속되는 개별자라고 설명하는 이른바 “개별주의적” 본질 해석이 그의 생각을 온당하게 대변한다. 이러한 본고의 견해는 그의 『형이상학』 중 실체연구에 본격적으로 바쳐지는 Z의 논의 가운데 본질을 다루는 중심 텍스트들에 대한 고찰 속에서 다음과 같은방식으로 구체적인 논거를 얻을 수 있다: 이 텍스트들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론에서의 자신의 실체이해와 연속적으로 실체를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와 ‘무엇임’으로서의 종류의 보편자로 구별하는 ‘이중적’ 실체이해를 논의기반으로 전제하면서, 양자 모두의 경우 본질을 주어진 실체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의 본래적인 대상이자 그것에 분리 불가능하게 ‘내재하는’ 어떤 것으로 파악한다. 그에게서 이렇게 파악되는 본질은 구체적으로 말해 주어진 실체의 형상인데, 이것은 특히 생물의 영혼이라는 사례에 따라 이해된다. 이러한 본질 이해에 전제되는 범주론적인 이중적 실체이해 속에서 그는 특히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를 단적으로 근본적인 실재로 간주하면서 자신의 본질 논의의 궁극적인 기초에 두고 있는데, 방금 언급된 그의 본질 이해는 이러한 개별자의 본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목할 만한 논점을 포함한다: 하나의 주어진 개별자의 본질은 예컨대소크라테스의 영혼으로 예시될 수 있는 주어진 개별자의 형상인데, 그것은 주어진 개별자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의 본래적 대상으로서 ‘정의 가능한 보편적 내용’을 갖는 동시에 주어진 개별자에 분리 불가능하게 내재하는 어떤 것으로서, 그 어떤 종적 보편자가 아니라, 주어진 개별자에 고유하게 귀속되는 ‘개별적 형상’이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비극에 고유한 즐거움

        권혁성 ( Kwon¸ Hyeock-seong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3

        ‘비극에 고유한 즐거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비극의 목적으로 거론된다. 이러한 비중 있는 지위 때문에 이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일은 이 저술의 비극론에 대한 이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데, 이 주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충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했다고 생각된다. 이 중 한 부류가 『시학』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적절한 입장인데, 그것은 이 즐거움이 『시학』 4장에서 미메시스 작품에 대한 이해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설명되는 인지적 즐거움의 일종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러한 ‘인지주의적인’ 해석이 이 주제를 충실히 다루려면, 이 저술 14장에서 비극에 고유한 즐거움을 규정하는 정식을 적절히 설명해야 한다. 그것은 “미메시스를 통해 연민과 공포에서 유래하는 즐거움”이라고 되어 있다. 이 정식 중 ‘연민과 공포에서 유래하는’이라는 항목이 그것을 인지주의 입장에서 설명하려 할 때 중심 문제가 되는데, 이 항목이 축자적으로 이해되는 한, 이 정식에 대한 설명은 『시학』에 의해 구체적으로 지지되기에 충분한 것이 되기 어렵다. 기존 인지주의 해석들은 대부분 이 항목을 축자적으로 이해하여 이런 설명적 한계 속에 머문다. 본고는 이 항목을 14장의 해당 문맥에 따라 ‘연민과 공포의 환기에서 유래하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를 통해 14장 정식은 『시학』에 의해 구체적으로 지지되는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시학』의 비극론에서 작용하는 감정 이해에 따르면, 비극 감상에서 연민과 공포의 감정들은 작품이 이해되는 가운데 일정한 판단들이 형성됨에 따라 환기된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이해는 이 감정들의 환기를 이루는 필수 구성요소이니, 이 감정들의 환기에서 인지적 즐거움이 유래한다고 설명될 수 있다. ,Die der Tragödie eigentümliche Freude‘ wird als Zweck der Tragödie in der Poetik des Aristoteles erwähnt. Wegen dieses wichtigen Status kann die Untersuchung des Problems, was diese Freude ist, zum Verstehen der Tragödientheorie der Poetik in großem Maße beitragen. Die bisherigen Forschungen über dieses Thema aber sind nicht als erfolgreich genug zu bewerten. Eine Gruppe von ihnen ist nun als eine angemessene Position anzuerkennen, weil sie von der Poetik unterstützt werden kann; sie ist der Meinung, dass die Freude eine Art von derjenigen kognitiven Freude sei, welche nach dem 4. Kapitel der Poetik im Verstehen des Werkes der Mimesis entspringt. Diese kognitivistische Interpretation aber muss, um dieses Thema erfolgreich zu behandeln, diejenige Formel angemessen erklären, die im 14. Kapitel der Poetik die der Tragödie eigentümliche Freude bestimmt; sie nämlich heißt „die von Mitleid und Furcht durch Mimesis herkommende Freude“. Von dieser Formel stellt der Teil „von Mitleid und Furcht herkommende“ das zentrale Problem dar, wenn sie vom kognitivistischen Standpunkt erklärt werden muss. Insofern dieser Teil nun wörtlich verstanden wird, kann die Erklärung dieser Formel nicht erfolgreich genug sein, um von der Poetik konkret unterstützt zu werden. Die bestehenden kognitivistischen Interpretationen aber verstehen meistens den Teil wörtlich, bleiben dadurch innerhalb dieser Erklärungsgrenzen. Die vorliegende Arbeit versteht den Teil nach dem betreffenden Kontext des 14. Kapitels anders; nämlich, er bedeutet ,davon herkommende, Mitleid und Furcht hervorzurufen‘. Durch dieses Verstehen kann die Formel des 14. Kapitels in der Weise erklärt werden, die von der Poetik konkret unterstützt wird. Denn nach der in der Tragödientheorie der Poetik wirkenden Emotionenauffassung werden die Emotionen Mitleid und Furcht beim Lesen bzw. Zuschauen einer Tragödie dadurch hervorgerufen, dass im Verstehen des Werkes bestimmte Urteile gebildet werden. Also ist das Verstehen des Werkes ein notwendiges konstitutives Element, welches das Hervorrufen dieser Emotionen ausmacht. Demnach ist eine solche Erklärung möglich, dass vom Hervorrufen dieser Emotionen eine kognitive Freude herkomm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해와 개별주의 실체관

        권혁성(Kwon, Hyeock-Se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본고는『형이상학』Z 13에 나타나는 보편자의 실체로서의 지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과 여기에서 작용하는 그의 실체관을 그의 형이상학에서 첫째 실체로서 주목되는 본질로서의 형상에 대한 ‘보편주의적’ 해석에 대항하며 재조명하려 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개별적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같은 종의 모든 개별적 실체들에 공통적인 종적 보편자이다.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그것“의 실체”라고도 불리는 원리적 의미의 실체인데, Z 13에 따르면, 이것은 주어진 실체에 고유한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개별적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그것에 고유한 개별자이며, 반면 유와종의 모든 보편자는 이런 원리적 의미의 실체의 지위에서 제외된다. Z 13에서 그는 또한 하나의 주어진 실체의 지위에서도 모든 보편자를 제외시키는데, 그에 따르면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만 이 지위를 갖는다. 이러한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의『범주론』의 첫째 실체 이해에 연속되는 것으로서 “어떤 이것”이라고 불리는 개별자만이 단적으로 근본적인 실재로서 엄밀하고 궁극적인 의미에서 실체라는 그의 실체론 전체의 근간논제를 대변한다. 따라서 Z 13에서 그는 모든 보편자를 이런 엄밀하고 궁극적인 의미의 실체의 지위로부터 제외시키는데, 이것은 그러나 보편자에게 예컨대 Z13에 선행하는 장들 같은 다른 곳에서 범주론적 실체관의 다른 한 견지에서 인정되는 ‘무엇임’이라는 의미의 실체의 지위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작용하는 그의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런데 Z 13의 논의의 귀결로서 개별적 실체의 정의 불가능성 문제에 직면한다. 그에 따르면 그러나 이것은 어떤 견지에서는 해결될 수 있다. Z 13에는 그 해결 방법이 설명되지 않으나, 다른 곳에 나타나는 그의 생각에 비추어 보면 개별적 실체는 자신의 종적 종체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의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 본래의 존재론적 기반 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견지에서도 합당한 기반을 갖는 그의 실체론 전체의 근간논제로서 조망된다. This paper examines Aristotle’s criticism of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s substance and his own view of substance in the Metaphysics Z 13. This approach will be taken in contrast to the universalist interpretation of the form, i.e. the essence that is called “the primary substance” in the Aristotelian metaphysic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form or essence of an individual substance, in his metaphysics, is a specific universal common to every individual substance of the same species. In the Aristotelian metaphysics, the form or essence of a substance is called “substance of” and is a substance in the sense of the principle of the given substance. According to Metaphysics Z 13, however, the form or essence of a given substance is that which is peculiar to this given substance. Therefore, that of an individual substance is an individual that is peculiar to this given substance, while every universal at the level of species and genus cannot have this status of substance as the principle of the given substance. In Metaphysics Z 13, he also deprives every universal of the status of a given substance, because, he suggests, only an individual as ‘a this’ has this status. T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stands in accordance with his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substance’ in the Categories, forming the basis of his entire theory of substance, according to which only an individual as ‘a this’ is an absolutely fundamental reality and, therefore, is a substance in the strict and ultimate sense. Accordingly, in Metaphysics Z 13 he deprives every universal of the status of substance in this strict and ultimate sense.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niversal is also deprived of the status of substance in the sense of ‘what-something-is’. The universal has this status according to the other view within the categoric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and is the case, for example, in the preceding chapters of Metaphysics Z 13. At the end of Metaphysics Z 13, Aristotle’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meet with the difficulty of the indefinability of individual substance. However, according to him, this is soluble in a way. Although in Metaphysics Z 13 he gives no explanation about the way of solution, in the light of his thoughts on related issues expressed in other texts the problem can be solved in the way that individual substance can be defined in terms of its specific identity. Therefore, 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is considered a basic thesis in his substance theory that has a solid foundation in the ontological as well as the epistemological respec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실체가 갖는 세 가지 주요 표징들

        권혁성(Kwon, Hyeock-Se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2 No.-

        『형이상학』의 Z권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는 하나의 본격적인 형태로 심화된다. 여기에서 그의 주요과제는 감각 가능한 복합실체들에 있어서 그것들의 생성ㆍ존재와 인식의 원리라는 의미에서 첫째 실체라고 불리는 형상에 대한 이해와 설명에 있다. 이 실체연구를 시작하며 그는 그 전체의 기반이 될 하나의 근간논제를 도입하는데, 실체는 ‘첫째 기체’이며 ‘어떤 종류의 이것’이자 ‘분리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세 실체 표징들은 Z에서의 그의 실체 연구 전체를 통해 실체에 자명하게 귀속되는 기본적 특징들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것들에 대한 그의 생각은 Z에서의 그의 실체 이해의 기반으로서 중요하게 주목될 가치가 있다. 이에 본고는 세 실체 표징들에 대한 그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연관된 텍스트들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추적하려 한다. 이 탐구에서 본고는 특히 첫째 실체로서의 형상에 대한 그의 생각에 주목하려 하며, 이를 통해 본고가 궁극적으로 보이려 하는 것은 형상에 대한 그의 이해의 다음과 같은 중요한 특징이다: 세 실체 표징들에 따라서 그는 첫째 실체로서의 형상을 존재방식에 있어서는 개별성을 갖는 동시에 인식 가능한 내적 본성에 있어서는 보편성을 갖는 어떤 것으로 이중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그의 이러한 이중적 형상 이해는 본고의 중심 논의들 속에서 세 실체 표징들 각각에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조명될 것이다. In the Metaphysics Z Aristotle’s reflections on the substance are developed into an intensive investigation of the theme. He is there primarily occupied with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the form that is called primary substance in the sense of the principle for coming-to-be and existence as well as cognition of sensible composite substances. In the whole of this inquiry he has as a foundational thesis the thought that the substance is a primary substratum, a this of some kind, and a separate or separable. The present work aims at an inquiry into his concrete thought about the three substance features in the thesis as a basis of his substance understanding in Z, above all with regard to the form as the primary substance, so that it will ultimately show the important character of his form understanding: Under the three substance features he understands the form in a double way as something that is individual in its way of existence and at the same time universal in its cognizable inner natur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 중 생성 이론에 나타나는 형상 이해

        권혁성(Kwon, Hyeock-Se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의 정체에 관한 하나의 중요한 물음으로서 그것이 보편자인지 개별자인지의 문제를 그의 실체연구 중 생성이론에 바쳐진 『형이상학』 Z 8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 논의는 ‘형상의 비생성’을 중심 논제로 전개하면서, 형상의 ‘선 존재’와 ‘내재’라는 그것의 모든 존재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를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이 문제에 관련된 중대한 긴장의 소지가 담겨있다. 이 중심 논제는 형상의 선 존재라는 논점과 함께 형상의 영원성을 함의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거니와,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이 영원한 보편자라는 해석으로 전개될 수 있는 반면, Z 8 논의에서 그는 형상을 그것의 내재에 따라 개별자로 파악하면서 그것이 또한 인식 가능한 보편적 특성을 갖는다는 견지에서 그것에 보편성을 귀속시키는 방식의 이중적 형상 이해를 명백히 보여준다. 따라서 이 논의에서 형상이 영원한 보편자로 간주된다면, 이 이중적 형상 이해는 이에 따라 파악되는 형상이 본래 영원한 보편자가 개별화된 것이라는 생각을 전제하는 셈인데, 이것의 진위 여부는 이 논의 자체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나 이 논의를 명시적으로 전제하면서 H 3에서 전개되는 한 논의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 후자의 논의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이 영원한 것인지 제한된 시간동안 존재하는 개별자인지를 고찰하는데, 여기에서 고려되는 형상의 영원성 여부를 형상이 해당되는 복합실체와 분리되어 존재할 가능성 여부에 대한 고려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후자가 형상에 대한 그의 기본 입장임을 시사한다. 그에게서 이 가능성은 오직 사람의 형상이 갖는 고유 기능인 ‘지성’에 대해서만 가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이 논의에 전제되는 Z 8 논의에서 이미 형상을 근본적으로 개별자라고 파악했다고 여겨지는데, 이에 의거하여 그곳의 ‘형상 비생성’ 논제는 형상의 영원성을 함의하지 않는 것으로서 적절히 파악될 길이 있거니와, 결국 그곳에서 확인되는 이중적 형상 이해는, 영원한 보편자의 개별화라는 생각의 전제 없이, 그 자체로 형상을 바라보는 그의 근간 논제임이 드러난다. 이것은 사실상 ?형이상학? Λ 5에서 그에 의해 명백히 정식화되는 형상 이해로서 그의 공언된 형상 이해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blem of whether the Aristotelian form is a universal or an individual in light of Aristotle’s theory of generation in Metaphysics Z 8. This chapter develops as the central thesis that “the form is not coming to be,” and gives in relation to this, concrete suggestions about all the modes of existence of the form, namely its “preexistence,” and “immanence.” Here, a possible important tension concerning this problem exists. On the one hand, the central thesis of Z 8 may be so taken that it, together with the preexistence of the form, implies the eternity of the form, which can be developed into an interpretation that the Aristotelian form is an eternal universa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Z 8 shows as a clear fact Aristotle’s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i.e. that he understands it as an individual in regard to its immanence, and ascribes to it universality too because it has an intelligible universal character. Therefore, if the form were here taken to be an eternal universal, this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would presuppose that the so understood form were an individuation of such a form which was originally an eternal universal. However, this is not confirmed in the Z 8, but is revealed to be deniable in a discussion of H 3, where Aristotle considers under explicit presupposition of his discussion of Z 8 the problem of whether the form is an eternal thing or such a thing which is an individual that exists during a limited time. Here, he considers the eternity of the form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form would exist in separation from the relevant composite, so that he suggests that the latter is his general position concerning the form. For this possibility is supposed by him only about the “nous” as a peculiar function of the form of human beings. Therefore, he can be taken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form as an individual already in the discussion of Z 8 that is presupposed in the discussion of H 3. It is possible, in accordance to this reasoning, to find a way to take the central thesis of Z 8 as not implying any eternity of the form, and in conclusion the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of Z 8 is revealed to be Aristotle’s basic conception of the form, without presupposing any individuation of such a form which were originally an eternal universal. This understanding of the form is in fact, as one which he formulates in the Metaphysics Λ 5 manifestly, his confessed understanding of th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