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권정해 ( Jung Hae Kwon ),김판희 ( Pan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 K도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62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과 AMOS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는 유의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대상으로 하는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감성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verify that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623 kindergarten teachers in “D” city and “K" province us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 and AMOS 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s. Second,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ed as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reveal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wide efforts, such as developing emotional leadership,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 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정해(Jung Hae KW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문학시간을 통하여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은 이야기나누기, 짝 토론, 그리기, 만들기, 역할극 활동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동문학교육수업은 15주 동안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에게 사전과 사후에 문학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수효능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중심의 문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에게 그림책의 문학적 예술성을 일깨우고,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수업 실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여 문학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eaching experience in extensive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on literar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substitut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1 early childhood substitute teachers of the K region, who obta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grees. The extensive activity program included story sharing, discussion, drawing, crafting, and role-play activities proceeded after students reading pictures books with the teachers and this study observed the impact of this curriculum for 15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act,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s of literary teaching efficacy conducted to prior and after the 15 week extensive activity program.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extensive activity class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literary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resul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classes by increasing the interest level and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literary classes to the students in addition to enlighten literary artistry of picture book focused literary classes to early childhood substitute teachers.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정해 ( Jung Hae Kwon ),최성열 ( Sung Yeol Choi ),최은희 ( Eun Hee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만 5세 유아 20명씩 총 40명이었다. 두 집단의 유아들은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처치를 위해 총 8주 동안 주2회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언어 및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지각에 기초한 기능, 분석적 기능, 종합적 기능, 추리적 기능에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래놀이동요가 가지고 있는 놀이의 가치와 유아기의 주요한 발달과제로 볼 수 있는 언어 및 사고능력에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누리과정에 기초한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on purpose of figuring out the effect of lyrics changing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to language and thinking ability of infants. The targets of the study were 40 in total, including 20 of 5 year old infants each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infants of 2 groups processed in the order of pre-examination, experimental process, and post-examination. The activity of the lyrics change using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twice a week for 8 weeks in total was composed and applied to the experimental process. The collected data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lyrics changing activity using the entire children’s song calculated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 examinations of two groups by using SPSS 20 statistical program, and implemente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n to have higher function based on perception, analytical function, complex function, and diagnostic function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Consequently, it could be figured that the language and thinking ability, which could be seen as the major development tasks of infant period and the value of play that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had been improved. This implies that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s necessary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rom the infant education sites.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정해(Kwon, Jung-Hae),우채영(Woo, Cha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적 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편성하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8주 동안 주2회에 걸쳐 활동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고, 검사유형과 집단유형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음악적 태도와 음악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음악적 태도는 통제집단 보다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둘째, 유아의 음악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음악능력의 하위요소인 음감과 리듬감 모두 증진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lay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on change of early childhood’s musical attitude and musical ability and its educational effect. For these, carried out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on five year olds 40 children, divided by 20 children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child care center in a district of the D-si.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pplied by performing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activity twice a week for 8 weeks. For analyzing the data, using SPSS 20.0 looked in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erformed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est type(pre and post) and group type(experimental, control). According to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erformed the Traditional Play Children’s Song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musical attitude and musical ability.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Traditional Play Children’s Song activity has improved overall musical attitudes including musical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Traditional Play Children’s Song activity g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mproved pitch and rhythmic sense both sub-elements of musical ability. On the basics this resul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권정해(Jung Hae KWON),최은희(Eun Hee CHOI),최성열(Sung Yeol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시대에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다. 이는 대학의 학습자중 만학도가 가지고 있는 학습적 필요와 긍정적인 학습의욕이 만학도의 삶에 긍정적으로 전이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K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만학도 1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으로 업무적 만족도와 정서·신체적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만학도의 대학생활에 대한 이해와 학교생활이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in the age of life-time education, the effect of life-satisfac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on their happiness. The research focused on finding out if the learning need and motiva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are being positively transferred to their lif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53 late-staring college students at vocational college located in K region. SPSS 2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collected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he life-satisfac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ollege lif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happiness. In terms of sub-components, job satisfaction and physical/emotion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Using the results, the paper discussed how late-starting students’s understanding of college life and their actual school life affected their life and suggeste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의 경험이 현직 보육교사인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우채영 ( Woo Chae-young ),권정해 ( Kwon Jung-ha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수업의 경험이 현직 보육교사인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 또한 교사의 역량개발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한 학기동안 아동문학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중 현직 보육교사로 재직 중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와 전화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의 분석은 개방적 코딩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을 통해 분류된 의미체계는 자신이해 및 성장, 타인 이해 및 소통, 실무능력향상, 그림책에 대한 인식 변화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문학 수업을 통해 먼저, 자신을 성찰하고 내면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으며, 자기표현의 기회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고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을 통해 경험한 교수법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림책 관련 수업계획안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매체제작활동을 통해 실무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확장활동이 가능하고, 교육의 대상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유아뿐 아니라 교사나 부모교육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meanings of experience in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urrently as childcare teachers, and also how it could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qualific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learners currently working as childcare teacher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for a semester. For data analysis,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semantic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elf-understanding & growth, understanding of others &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practical work ability,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picture books. In other words, through the children`s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introspected themselves, cured their inner wounds, and also improved self-confidence throug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Second, on top of learning about the preciousness of family,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Third, they were able to write lesson plans related to picture books by applying teaching methods learnt from the course to the site, and also their practical work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the media production activity. Fourth, they learnt that picture books could be approached from diverse perspectives, many extensive activities could be done, and picture books could be applied to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literature course using picture books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or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원주(Won-Ju Lee),권정해(Jung-Hae Kw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여 향후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령별 특성, 성, 지역을 고려한 3단 층화무작위추출방법으로 전국에 있는 농촌지역의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를 조사 대상으로 1,0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변수 간에는 어떠한 경로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능력과 주관적 건강은 자녀지원에 의해, 그리고 일상생활능력은 이웃지원에 의해 우울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 감소를 위해 사회적지지 체계 구축방안 및 노인의 신체기능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countryside, and provides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To this end, using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1,000 people aged 65 or older in rural areas of the country were sampled as a three-layer randomized extraction metho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by region, gender, and age. In addition,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to find out what the mediating effect is. As a result of the study, daily living ability and subjective health were effective in mediating depression by child support and daily living ability by neighbor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 plan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and health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to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과정의 방향성 제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최은희(Eun Hee CHOI),최성열(Sung Yeol CHOI),권정해(Jung Hae KW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2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분석에 대한 연구에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직무분석과 그 직무분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직무분석과 관련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빈도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직무와 차이가 있는 직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에는 상당한 유사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점은 능력단위 요소 중 어린이집교사 직무로만 분석된 것은 보육 및 연계 계획하기, 일과지도안 작성하기이며, 유치원교사 직무로만 분석된 것은 원내 업무외 협력하기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직무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 능력단위요소는 유아 간, 유아-교사간 상호작용 유도, 유아 평가, 수업 평가, 교육자료 및 교수매체 활용 평가, 행사 마무리, 교사와 관계 형성,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등·하원 지도, 수업진행, 놀이지도, 전문가로서의 활동, 운영 관리 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apers on teachers job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houses to analyze their jobs and to define any possible difference between their jobs. A frequency analysis of papers on the analysis of teachers job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houses was conducted so as to compare common and different job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different job areas as child care and relevant planning and planning of daily guidance for child-care house teacher jobs, among competence elements-, and as cooperation aside from the internal work for kindergarten teachers jobs. Competent elements of job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house teachers were generally analyzed as common elements. As such, kindergarten teacher jobs and child-care house teacher jobs, mentioned in dissertations, had a frequency difference, but overall were simi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