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자>의 大知論

        권오향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8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Zhuangzi's philosophical thoughts on wisdom, elaborates problems such as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resulting from 'Xiao-Zhi', and presents ways of obtaining 'Da-Zhi'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sdom becomes Xiao-Zhi when things interface with mind, whereas things imply not only real substances but also real phenomena. On the other hand, wisdom becomes Da-Zhi when Tao interfaces with mind. Besides, Zhuangzi's theory of transformation & turnover admits exclusively that wisdom can be Da-Zhi even if things work on mind. Human beings are suffering from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because 'Cheng-Xin', which refers to the status of mind formulated by learn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impedes getting to Da-Zhi. With Xiao-Zhi, men are afraid of emotions such as death and pain and the afraid results in worry and anxiety. After all, worry and anxiety ends up with a life and death problem, while mental conflicts does with a communication problem. Zhuangzi recommends that men can overcome all these problems by learning Da-Zhi and that only Tao can direct the way how to learn Da-Zhi. Zhuangzi's Tao is nature. Nature is the self-operating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the principle is impersonal and impartial. In this regard,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is nothing but understanding the reason of heaven(Tian-Li), and this is in turn understanding Nature's Equity. When Tao comes into and nested in the mind, Cheng-Xin is to be replaced by Da-Zhi and thus men are able to be free from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Da-Zhi enables men to perceive the universe's balance(Tian-Jun), to perform harmonization(Liang-Hang), and eventually to enjoy the life not depending upon anything. If the empty mind from this life unifies men and Tao, the utmost freedom of the mind can be achieved. 본 논문은 <장자> 내편을 중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知에 관한 사상을 고찰하고, 배움으로 익힌 지식으로서의 小知가 초래하는 문제점들을 갈등의식과 우환의식의 측면에서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장자가 제시한 大知의 이론을 정리하고 있다. 知는 마음에 物이 작용하여 小知로 되기도 하고 道가 작용하여 大知로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장자>에서 物化ㆍ轉化의 이론은 예외적으로 物의 작용이면서도 大知가 된다. 심 내면에 이미 편견으로 자리하고 있는 成心이 大知로 향하는 길을 차단해 버려 인간은 小知안에서 우환의식과 갈등의식을 느끼며 살아간다. 成心이란 이미 학습으로 인하여 物의 이름뿐만 아니라 性質이나 特性이 心속에 고정관념으로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죽음과 고통스런 감정 등은 두려운 것이고 이런 두려움으로 인하여 우환이 생긴다. 결국 인간의 우환은 生死문제로, 是非에 대한 갈등은 인간의 疏通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런 인간이 겪는 우환과 갈등을 극복하기위해 장자는 小知가 아닌 大知를 깨닫는 삶을 가르쳐 주고자 한다. 장자는 大知로 향하는 방향제시에 道를 사용한다. 道는 수양하여 길러지는 것이며 장자의 道는 自然이다. 자연이란 저절로 그러함으로 만물의 운행원리이다. 그 원리는 無私하고 公平하다. 또한 자연의 원리를 아는 것이 天理이고, 천리를 깨치는 것이 바로 自然의 公인 것이다. 장자의 道가 心속에 자리하여 이미 들어있는 성심을 다 제거하고 大知를 깨닫게 되면 삶을 자유자재 할 수 있다. 大地를 앎으로써 천균과 양행을 이루게 되고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는 無待한 삶을 얻을 수 있다. 거기서 얻어지는 虛心이 人間과 道를 합일시켜 遊心으로 나아가게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왕정상의 지식론

        권오향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Theory on knowledge of Wang Tingxiang(王廷相) is based on his Qi monism(氣 一元論). If Qi is gathered, physical frame(形) and human spirit(神) are given. Human is born differently each other according to difference in physical frame, for example, tall or short, strong or weak, beauty and ugliness in face and body etc. By difference in spirit, people have different capability in recognition and thinking. There is a method to overcome inborn lack. This is the learning(學). Even though a man is born with somewhat deficient physical conditions, he can grow well and become an excellent person. Wang Tingxiang opposed a position that learning is for only getting moral knowledge. He recommends various learning in affairs in the world, affairs in the universe, moral affairs, aesthetic affairs etc. His views about learning correspond with our views in these days about knowledge. His thoughts seem to be not special even to us. But from viewpoint of then times when moralism widely spreaded by the influences of Neo-Confucianism, his practical theory of knowledge could be epochal, unorthodox, and even strange. But his theory had been further completed and established by Confucian scholars with patriotism in Ming dynasty who worried about the future of their country in the face of downfall. At last, it had a blossom called Shixue(實學). His theory on knowledge is based on knowledge of experience accepted through recognition. He put importance on process that with the knowledge of experience, one thinks and makes it become one's own thing. This process is same as one in Gewuzhizhi(格物致知, investigate things and reach knowledge) of Zhu Xi. And his theory on knowledge lets one improve one's own ability and enlighten it, learning skill. At the same time, his theory put importance on process to make moral completion. This is a same process as one in thoughts of Wang Yangming. Thoughts of Wang Yangming put importance on realization of good knowledge based on theory of moral only while thoughts of Wang Tingxiang put importance on enlightenment of practical and empirical knowledge. That is, process to learn knowledge by Wang Tingxiang is composed of Yinxi(因習), Yinguo(因過), and Yinoh(因悟). He insisted that when one passes process of Yinseup(因習), Yinguo(因過), and Yinwu(因悟), this is connected to obtaining for oneself and then, reaches Jhenzhi (眞知). When one with Jhenzhi works as a person in charge, he does with Quandu(權度). Quandu includes morality as a standard of judgement. And one with Jhenzhi can forsee. When he has extensive knowledge in scientific knowledge including theory of the universe, he can forsee trend. To learn scientific knowledge is to study flow of energy. If one can feel movement of energy, he can foresee indication of event and its trend. In addition, he can control emotion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it were, when one adapts to natural phenomenon by obtaining for oneself, he can be equipped with natural things and moral norm such as advancement and withdraw, selection, death and birth, and fortune and misfortune under help from god. 왕정상의 지식론은 그의 氣 一元論에 근거한다. 기가 응집하여 인간에게 형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정신에 해당하는 神을 심에 부여한다. 인간은 형기의 차이로 인해 신체의 크고 작음, 강인하고 약함, 얼굴과 몸의 미추 등의 다름을 지니고 태어나지만, 인간 모두 마음 안에 신이 있어 그 작용으로 인식능력과 사유능력을 지닌다. 타고난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학문이다. 학문에 의해 좀 부족한 형신을 가지고 타고나더라도 더 우수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왕정상은 학이 도덕적 지식만 취하는 것이라는 입장에 반대한다. 그는 세상의 일, 우주 만상의 일, 도덕적인 일, 탐미적 지식 등 다방면의 학을 권하고 있다. 학에 대한 그의 관점은 지식에 대해 현대의 우리가 지닌 관점과 일치한다. 현대의 우리에게는 이러한 그의 사유가 조금도 특별할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정주 리학의 영향으로 도덕주의가 만연해 있던 당시의 관점에서 본다면 현세적이고 실용적인 그의 지식론은 진정 획기적이고 이단적이며 괴이하기까지 한 경우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의 지식론은 멸망을 앞두고 나라를 근심하던 명의 애국 유학자들에 의해 더욱 완성되고 정립되어 실사구시의 학으로 꽃피게 된다. 그의 지식론은 우선 인식에서 받아들이는 견문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그 견문을 가지고 사유하고 자득하여 내 것이 되는 과정을 중시한다. 이 과정은 주희의 격물치지와 그 사유 과정이 같다. 또한 그의 지식론은 자기가 맡은 일에서 자기의 능력을 키우고 깨우쳐 가며 일의 능숙함을 익히는 동시에 도덕적으로 완성을 이루는 履事의 과정을 중시하는 것으로, 이는 왕수인이 제시한 사상마련과 유사한 과정이다. 단 왕수인의 사상마련은 단지 도덕론에 근거하여 양지를 실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데 반해 왕정상의 이사는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지식을 깨우치는 것을 중시한다. 즉, 왕정상의 지식 습득 과정은 因習, 因過, 因悟로서 형성된다. 그는 인습, 인과, 인오를 거쳐야 자득으로 이어지며 진지가 된다고 주장한다. 진지를 지닌 자가 책임자로 일을 행할 때는 권도로서 해야 한다. 권도는 판단의 기준에 도덕성까지 포함되는 것이다. 또 진지로서 일의 기미를 예견할 수 있게 되고 우주론적 과학 지식이 해박해지면 勢까지도 예견이 가능해진다. 과학적 지식을 익히는 것은 기의 흐름을 연구하는 것으로 기의 운동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 일의 기미와 세를 예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희로애락의 감정까지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자득으로 인해 자연적 현상에 순응하게 되면 일상의 진퇴, 취사, 사생, 화복의 자연적인 것과 도덕적 규범까지도 지식의 습득으로 神의 도움을 받아 갖추어지는 것이다.

      • 荀子 수양론의 經世的 측면 연구

        권오향 인문예술학회 2015 인문과 예술 Vol.- No.2

        This paper inquires Xunzi’s the theory of xinxing(心性)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ing the society. Xunzi argues that xing(性) be naturally bone, so he rejects the proposition that moral be originally nested in xing(性). Instead, he proposes that tian(天) and man do their own duties and argue that human certainly overcome tian[人定昇天] and human can control tian and use tian[制天用天], whereas the former implies that fate can be overcome by man’s efforts and furthermore man can control tian(天), and the latter does tian(天) give birth to things and saints complete man morally. That is, saints complete man by establishing courtesy’s and justice’s dao(道) and this man in turn controls and makes a good use of 천. Based on his perspectives on tian(天) and human relation, by a natural xing(性), Xunzi’s wickedness is merely ear’s and eye’s desire but bad nor no-good. Xunzi points out one of the reasons that man’s live is superior to animal’s is because he belongs to a community. Since man is unable to competent with everything, he needs to cooperate with others within the community. This in fact leads that xing can turn into virtue by doing something[化性起僞], suppressing desires and proceeding duties. Xunzi addresses the importance of neisheng(內聖) in order for the community to coexist and be harmonized and argues that who reaches neisheng(內聖) by behaviour becomes waiwang(外王) and then establishes courtesy(禮) and rules, which manifests the society’s behavioral norms and helps the community realize social order. Thus, Xunzi’s perspective of managing the society puts emphasis on not only man’s moral achievement but also governing by manmade courtesy and rules. 본 연구는 순자의 심성론을 경세적 사유를 중심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순자는 성(性)은 자연적 성이고, 도덕이 본성에 내재화한다는 것은 부정한다. 그는 천과 인간이 각기 자신의 직분대로 운행하고 있다는 천인지분(天人之分)의 사유를 한다. 그의 이러한 사유는 ‘인정승천(人定勝天)’을 주장한다. 인정승천은 운명이란 인간의 실천적 노력으로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는 사유에서 인간이 천을 이길 수 있다고 사유하는 것이다. 그는 또 제천용천(制天用天)을 말한다. 제천용천의 사상은 “하늘은 만물을 낳고 성인이 인간을 완성한다”라는 사고를 바탕으로 하여, 성인이 예의(禮義)의 도(道)를 세워 인간을 완성한 뒤에 하늘을 다스리고 하늘을 이용하는 것이다. 순자의 천인관계와 자연주의 성에 기초하여 보면, 순자의 악은 자연스러운 이목(耳目)의 욕구인 것일 뿐, 결코 악도 불선도 될 수 없다. 순자는 인간의 삶이 동물보다 우월한 이유 중 하나를 공동체 형성에 근원을 둔다. 인간은 각자가 모든 일에 능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공동체에서 각자 맡은 직분에 맞는 위(僞)를 행하여 서로 협조하며 삶을 영위한다. 이는 욕구가 가득한 성(性)을 변화시키는 ‘화성기위(化性起僞)’의 이행을 초래한다. 순자는 공동체에서 상생하고 화합하기 위해 내성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위(僞)로써 이루어 낸 내성(內聖)을 지닌 자는 외왕(外王)이 되어 사(事)와 물(物)에 정의하고 행위의 사회적 규범이 되는 예(禮)와 법도(法道)를 제정함으로써 공동체 사회의 질서를 구현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순자는 사회적 안정을 꾀하기 위해 인간의 도덕 구현과 예치라는 인위적(人爲的) 방법의 당위성으로 경세관을 삼는다.

      • KCI등재

        중국철학 : 『장자』의 대지론(大知論)

        권오향 ( Oh Hyang K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8 No.-

        본 논문은 『장자』 내편을 중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知에 관한 사상을 고찰하고, 배움으로 익힌 지식으로서의 小知가 초래하는 문제점들을 갈등의식과 우환의식의 측면에서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장자가 제시한 大知의 이론을 정리하고 있다. 知는 마음에 物이 작용하여 小知로 되기도 하고 道가 작용하여 大知로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장자』에서 物化·轉化의 이론은 예외적으로 物의 작용이면서도 大知가 된다. 심 내면에 이미 편견으로 자리하고 있는 成心이 大知로 향하는 길을 차단해버려 인간은 小知안에서 우환의식과 갈등의식을 느끼며 살아간다. 成心이란 이미 학습으로 인하여 物의 이름뿐만 아니라 性質이나 特性이 心속에 고정관념으로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죽음과 고통스런 감정 등은 두려운 것이고 이런 두려움으로 인하여 우환이 생긴다. 결국 인간의 우환은 生死문제로, 是非에 대한 갈등은 인간의 疏通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런 인간이 겪는 우환과 갈등을 극복하기위해 장자는 小知가 아닌 大知를 깨닫는 삶을 가르쳐 주고자 한다. 장자는 大知로 향하는 방향제시에 道를 사용한다. 道는 수양하여 길러지는 것이며 장자의 道는 自然이다. 자연이란 저절로 그러함으로 만물의 운행원리이다. 그 원리는 無私하고 公平하다. 또한 자연의 원리를 아는것이 天理이고, 천리를 깨치는 것이 바로 自然의 公인 것이다. 장자의 道가 心속에 자리하여 이미 들어있는 성심을 다 제거하고 大知를 깨닫게 되면 삶을 자유자재 할 수 있다. 大地를 앎으로써 천균과 양행을 이루게 되고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는 無待한 삶을 얻을 수 있다. 거기서 얻어지는 虛心이 人間과 道를 합일시켜 遊心으로 나아가게 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Zhuangzi`s philosophical thoughts on wisdom, elaborates problems such as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resulting from ``Xiao-Zhi``, and presents ways of obtaining ``Da-Zhi``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sdom becomes Xiao-Zhi when things interface with mind, whereas things imply not only real substances but also real phenomena. On the other hand, wisdom becomes Da-Zhi when Tao interfaces with mind. Besides, Zhuangzi`s theory of transformation & turnover admits exclusively that wisdom can be Da-Zhi even if things work on mind. Human beings are suffering from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because ``Cheng-Xin``, which refers to the status of mind formulated by learn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impedes getting to Da-Zhi. With Xiao-Zhi, men are afraid of emotions such as death and pain and the afraid results in worry and anxiety. After all, worry and anxiety ends up with a life and death problem, while mental conflicts does with a communication problem. Zhuangzi recommends that men can overcome all these problems by learning Da-Zhi and that only Tao can direct the way how to learn Da-Zhi. Zhuangzi`s Tao is nature. Nature is the self-operating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the principle is impersonal and impartial. In this regard,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is nothing but understanding the reason of heaven(Tian-Li), and this is in turn understanding Nature`s Equity. When Tao comes into and nested in the mind, Cheng-Xin is to be replaced by Da-Zhi and thus men are able to be free from mental conflicts, worry, and anxiety.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Da-Zhi enables men to perceive the universe`s balance(Tian-Jun), to perform harmonization(Liang-Hang), and eventually to enjoy the life not depending upon anything. If the empty mind from this life unifies men and Tao, the utmost freedom of the mind can be achieved.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차 가족의 기질 및 성격 특성

        권오향(O-Hyang Kwon),구현숙(Hyun-Sook Koo),이미경(Mi Kyoung Lee),김진훈(Jin Hun Kim),장안기(An Gi Chang),장동원(Dong Won Ch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차가족의 기질성격특성을 연령과 성별을 맞춘 일반 인구 대조군과 비교해서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DSM-IV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의 일차가족 32명과 이들과 성별과 연령을 맞춘 일반 인구 대조군 32명이었다. 이들에게서 한국어판 성격기질척도를 평가하였으며, 독립변인 t 검증으로 두 군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기질성격척도 상의 점수는 협조성이었다. 일차가족에서는 29.06±5.21로 일반대조군의 31.75±4.77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3), 그 외의 다른 기질성격특성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차가족은 협조성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은 일차가족은 자신 위주로 생각하며 다른 이들의 감정이나 권리에는 무관심하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부 제한점은 추후에 정신분열병 일차 가족을 대상 으로 하는 많은 대상자를 상대로 한 보다 잘 설계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between 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age- and sex-matched control probands. Methods:Schizophrenic patients were outpatients and inpatients in Seoul National Hospital diagnosed by DSM-IVTR diagnostic criterion. Their first-degree relatives(n=32) and sex- and age-matched probands(n=32)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oninger’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nd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Results: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level between two groups. Among character subdivisions in TCI, total score of Cooperativeness(CO) was significantly lower in 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than that in healthy probands(29.06±5.21 and 31.75±4.77, respectively, p=.03). There were no other differences in temperament subdivision other than CO. Conclusion: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have lower CO than control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re more intolerant, insensitive, selfish and revengeful. Further well controlled stud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first-degree relatives of schizophrenia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