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권오균 ( Oh Gyun Kwon ),최미희 ( Mi Hee Choi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17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질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녹취한 자료를 바탕으로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장 만족스러운 서비스나 경험은 주거비 및 생활비 지원 서비스, 의지가 된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이용자가 변한 점은 과거에 비해 새로운 삶의 희망이 생겼다는 점, 사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가치관이 변화된 점, 경제적 여유가 생긴 점,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자발적인 노력을 하게 된 점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불편하거나 불만족스러운 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꼭 필요한 서비스였는데 받지 못한 것은 없었고, 더 나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 보완할 점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하고 싶은 얘기로는 어려운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음, 사회복지사 같은 사람이 되고 싶음, 감사하다고 표현함 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us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ir experienc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users of case management service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based on the recor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ost satisfactory service or experience using case management service was found to be residence and living expenses support service. The change in users’ use of case management service is that there is a new hope of life compared with the past, a change in the value that positively thinks about the person, an economical gap, a voluntary effort to implement the plan . There was no inconvenience or dissatisfaction with using case management service. It was a necessary service, but there was nothing that I did not receive and there was no point to compensate for better service. In addition to this, I want to be a person who can help people with difficulties, social welfare wants to be like a teacher, and expresses gratitude

      • 전문대학 신입생 충원 현황 및 학생 모집 전략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21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7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신입생 충원 현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의 학생 모집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기존 연구의 결과물인 문헌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문헌연구법을 사용하였다. 전문대학 신입생 충원율은 1999년 104.3%에서 2021년 84.4%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은 학생 모집 전략으로 매년 입시 계획 수립, 학생과의 친밀감 향상 프로그램, 전체 학과 면접 실시, 타 대학 대비 경쟁력 있는 홍보, 경쟁력 있는 학과 신설, 입학처의 확대, 입학 관련 총장의 리더십 등이 추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udent recruitment strategy fo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new student recruitment status of junior college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the literature,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enrollmeAs a student recruitment strategy, junior colleges shoul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n annual entrance exam plan, a program to improve intimacy with students, interview with all departments, competitive promotion compared to other colleges, new departments with competitiveness, expansion of admissions offices, and leadership of the president of admissions.nt rate for freshmen at junior colleges decreased from 104.3% in 1999 to 84.4% in 2021.

      • 한국노인의 자살실태와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2

        본 연구는 최근 노인자살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 의식하에, 노인자살 실태 및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노인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노인자살 문제 실태에 관한 기존 통계 및 논문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고, 노인자살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을 구한 후 기존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으며, 노인자살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존 논문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OECD 가입 국가중 한국의 자살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슬로베니아, 헝가리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자살 수단별 현황을 살펴보면, 60대, 70대, 80대 이상 모두에세 목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자살 월별 현황을 살펴보면, 60대, 70대, 80대 이상 모두에서 9월과 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자살 동기별 현황을 살펴보면, 육체적 질병 움ㄴ제로 인한 자살 사망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신적 질병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노인자살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현실적인 경제적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자살이 급증하고 있지만 노인자살예방센터는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노인자살 위험군에 대한 사정도구가 국가적 차원에서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 중심 노인자살예방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노인자살 예장을 위해서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확대 및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여섯째, 노인 자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elderly suicide and solves the elderly suicide problem under the consciousness that there is no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suicide problem.The purpose is to come up with practical measur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reviewed based on the existing statistics and thesis data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lderly suicide problem.Based on the paper. As a result, Korea showed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followed by Slovenia and Hungary.Looking at the status of the elderly suicide, the highest score in the age of 60s, 70s, 80s.The monthly suicide status of the elderly showed that the most common occurrence occurred in September and October in all of their 60s, 70s and 80s.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motives, the highest percentage of suicide deaths caused by physical disease helpers was followed by mental illness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ng ways to solve the elderly suicide problem, First, a realistic economic support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and prevent the elderly suicide.Second, the elderly suicide is increasing rapidly, but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center is still insufficient.Third, assessment tools for suicide risk groups need to be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Fourth, a strategy to strengthen community-oriented elderly suicide prevention network is needed.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elderly suicide.Sixth, in order to reduce elderly suicide, an approach to reducing depression is needed.

      • KCI등재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권오균(Oh Gyun Kwon),허준수(Jun Soo Hu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들 간 인과모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감 및 절망감 등을 활용하였다. 특히,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살생각에 대한 개별변수들의 직접효과 중에서는 스트레스, 우울감, 절망감이 자살생각에 직접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았다.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효과 중에서는 우울감, 절망감이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감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였고, 절망감은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독거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개입에 대해서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절망감의 위험군에 대한 조기발견과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별이나 죽음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및 훈련, 위기개입 등이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 동거노인의 우울감과 절망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대처자원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노인 전용 상담기관 및 전담기구를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of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explain the suicid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etc. were used. Suicide of a direct effect of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tress, depression, despair at the thought of suicide was found to act as a direct effect. Among the indirect effect on suicide depression, despair at the thought of suicide was found to act as an indirect eff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interventions for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thinking about suicide to suggest is as follows. First,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order to reduce the suicide of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t risk of depression and despair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reduce the suicide bereavement, death, management and training for the post-traumatic stress, such as crisis intervention is required. Third, low-income seniors living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despair need health care programs, and social support network should drop. Fourth,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center for suicide prevention resources to build and strengthen the coping strategies that are needed. Fifth,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elderly-only counseling agencies and task force should be prepared.

      • 의왕시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3

        본 연구는 의왕시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적인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의왕시 거주 65세 이상 노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여가활동 및 사회활동, 경제활동, 노인돌봄, 노인복지서비스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노인 가구원 수는 1명이 가장 높게 나타나, 독거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초졸, 주거형태는 자가, 생계책임자는 본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가활동은 TV 시청, 낮잠, 친목단체, 산책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50만원 미만, 근로소득 지출항목은 생계비, 일자리 구직경로는 노인복지관을 통해서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돌봄을 살펴보면, 노인에게 도움을 주는 가족 및 친인척은 자녀 또는 자녀의 배우자, 1주일 당 4일 이상, 1일당 4시간 미만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서비스 인지율, 이용경험은 노인(종합)복지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의왕시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왕시 노인복지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어 실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professional questionnaire questions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in Uiwang-si. The subjects were 1,200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Uiwang-si. The main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economic activities, care for the elderly,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was the highest, with many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level of education was elementary school, the type of housing was self, and the person in charge of living was the highest. Leisure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watching TV, napping, social groups, and walking. In terms of economic activity, earned income was less than 500,000 won, earned income was earned by living expenses, and the job search route was the highest through the elderly welfare center. Looking at the elderly care, the family and relatives that help the elderly were the highest among the children or their spouses, more than four days per week, less than four hours per day. The elderly welfare center had the highest recognition rate and experience of using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in Uiwang-si,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long-term long-term welfare plan for the elderly in Uiwang-si.

      • 노인의 성생활, 성문제 실태와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8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1

        본 연구는 최근 노인의 성생활, 성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 의식하에, 현재 노인의 성생활, 성문제에 대한 실태 및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노인의 성생활, 성문제와 관련하여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 및 제도가 어떠한지를 검토하며, 향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노인의 성생활, 성문제 실태에 관한 기존 통계 및 논문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고, 노인의 성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을 구한 후 기존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으며, 노인의 성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존 논문을 토대로 제시하엿다. 본 연구 결과, 노인은 성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관계는 1달에 2-3번 정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 욕구 해결방법은 배우자와 성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황혼이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노인 성병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성범죄, 성폭력, 성매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성생활 및 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판단 아래, 노인 대상성 교육을 활성화 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이 노화에 따른 성기능 장애, 노년기 재혼, 이성교제 등에 관한 상담을 할 수 있는 전문상담기관의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성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이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넷째, 노인의 성에 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의 배우자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노년기 부부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프로그램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condi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sexual life and sexuality of the elderly under the consciousness that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is not being performed in the situation that the sex life of the elderly is becoming a big issue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ies and system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relation to sexual life and sexuality of these elderly people and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future. In the present study, we looked at existing statistics on sex life and sexuality in the elderly, and after consulting about sex - related program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existing paper on the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elderly maintains sexual intercourse continuously, sexual intercourse is most frequent about 2-3 times per month, and sexual intercourse resolution method has sexual intercourse with spous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twilight divorce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th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patients is also increasing. Sexual abuse of the elderly,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are increasing steadily.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solving the sex life and sexual problems of the elderly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sexual education for the elderly under the judgment that the elderly have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sex.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ounseling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to consult about sexual dysfunction due to aging, remarriage in the old age and religion. Third,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sex of the elderly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evel. Fourth, professional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sex of the elderly needs to be conducted. Fifth, because the elderly s spouse satisfaction is low,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uple.

      • KCI등재
      • 화성시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21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6

        본 연구는 화성시 사회복지사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처우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진행되었고, 실제적인 화성시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수원시 및 화성시 소재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에 비해 여자가 많고, 미혼에 비해 기혼이 많고, 대졸이 가장 많고,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많고, 비정규직에 비해 정규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를 살펴보면, 노인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을 살펴보면, 일에 대한 보람이 만족도가 가장 높고, 보수가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처우개선을 살펴보면, 복지포인트와 수당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성시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을 위해서는 화성시,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법인, 협회 차원에서 다양한 처우개선 방안이 마련되어 추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a treatment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survey of social workers in Hwaseong City, and it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o improve the actual treatment of social workers in Hwaseong Cit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08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located in Suwon and Hwaseong. Looking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re women than men, more married than unmarried, most college graduates, most holders of first-class social worker licenses, and more regular workers than non-regular workers. In terms of salaries, senior welfare centers and disabled welfare centers showed the highest salaries. Looking at the working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work was the highest, and the pay was the lowest. In terms of treatment improvement, welfare points and expansion of allowance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order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n Hwaseong City, it was found that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reatment at the level of Hwaseong Cit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corporations, and associations need to be prepared and promoted.

      • 안산시 노인의 프로그램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20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4

        본 연구는 안산시 부곡동 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적인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안산시 부곡동 거주 60세 이상 노인 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노인 대상 프로그램 인지 여부, 경험 여부, 참여하고 싶은 이유, 참여 희망 요일, 참여 희망 시간대, 참여하고 싶지 않은 이유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1순위가 무료진료 48.8%, 김장지원서비스 47.6%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고, 김장지원서비스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순위로 무료 점심 나누기 34.9%, 경로식당 33.3%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 점심 나누기, 경로식당 서비스에 대한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안산시 부곡동 노인의 프로그램 욕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산시 부곡종합사회복지관의 노인대상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실행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professional questionnaire in order to grasp the needs of the elderly in Bugok-dong, Ansan-si for the desired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residing in Bugok-dong, Ansan-si.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whether it was a program for the elderly, whether it was experienced, the reason for wanting to participate, the desired day of the week, the desired time of participation, and the reason for not wanting to participate.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the first priority was 48.8% for free medical treatment and 47.6% for kimchi support servi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free medical treatment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is welfare center, and also the kimchi support service. The second priority was 34.9% of free lunch sharing and 33.3% of seniors restaurants. This welfare center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share free lunches for the elderly and expand the services of seniors restau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gram for the elderly in Bugok-dong, Ansan-si, it is necessary to plan and implement a program for the elderly at the Bugok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Ansan.

      • 중고령자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령차별에 관한 사례연구

        권오균(Kwon, Oh Gyun)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5 교정사회복지연구 Vol.7 No.-

        연구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판결문이 연령차별의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적합하다고 보고 이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국가인권위원회결정례집 1집부터 7집까지 내용 중에서 50대 이상 연령과 관련된 연령차별 20건을 우선 대상으로 삼아 최종 분석에 포함시켰다.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집 판결문을 내용분석하는 도구로 Strauss and Cobin의 근거이론 가운데 개방코딩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가 판결문을 읽고 차별 이유에 해당하는 문장과 문구를 뽑아서 각각의 주요 의미단어를 추출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에 따라 의미단어를 하위개념으로 파악, 하위개념-하위범주-범주의 순서로 유목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차별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 차별사건 판결문을 근거이론의 개방코딩에 의해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상위 범주를 추출하였고 이를 차별요인으로 파악하였다. 4개의 상위 범주는 비용적, 세대 교환, 연령주의, 시간전망 등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자 고용차별과 관련하여 차별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상위범주로 4가지 요인을 제시한 것은 향후 연령차별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고령자에 대한 연령차별을 해결하는데에 중요한 점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가인권위의 판결문 내용을 분석함에 있어서 딱딱한 판결문의 성격에 의하여 많은 의미를 추출하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가 있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인터뷰 및 관찰 방법을 동원하여 좀더 풍부한 의미들이 도출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take advantage of them reported that this decis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o explore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for reasons of age discrimination in analysi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gyeoljeongrye home from one house to house seven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Sanya age discrimination related to 20 cases over 50 years as a priority target from the conten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uling gyeoljeongrye home to take advantage of the information was based on the theory of open coding method of Strauss and Cobin as a tool for analysis. Researchers have read sentences and phrases decision by unplugging the reason for the discrimination was extracted for each of the main word means. The meaning of the wor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pen coding to identify sub-concept, sub-concept - Subcategory - yumokhwa was carried out by order of the categor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discriminatory factors in the elderl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t analyzed the cases of discrimination ruling by the open coding of grounded theory, and finally extract the four top categories had been identified it as a differentiator. Four high-cost category, the three exchanges, age care, time prosp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iscrimination, employment discrimination is that elderly people. In particular, the proposed four factors to a higher category, it can be seen as a presenting important to solving the age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by removing the cause of a future age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itgie a limit on failed to extract much meaning by the nature of the rigid ruling in In analyzing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decision information is that,in future studies to mobilize the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 to be richer meaning they derive the research will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