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영역 이중언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권문화(Quan We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고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이중언어 교육에 초점을 맞춰 연구 성과의 현주소와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8월부터 자료 수집및 분석을 시작하였으며 2019년 1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다문화 관련 이중언어 교육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구체 적으로는 ‘다문화’ 및 ‘이중언어 교육’이라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2008년부터 2018년 까지 진행된 연구에 대해 연도별,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 하였다. 본고는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내용에 초점을 두고 교수학, 정책 및 현황과 언어권 별 연구 동향을 살폈다. 분석 방법은 분석틀에 근거한 기존의 연역적 접근 방식과 더불어 논문 핵심어에 대한 자연어 처리 과정을 거쳐 연구 과정의 객관성을 제고하고 연역적 분석결과를 귀납하였다. 분석결과, 아직 교육의 일선에서 실행 가능한 교수학 및 내용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함을 알 수 있었고 아직 다문화 영역의 이중언어 교육의 실제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지만 본고의 분석 결과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들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이 충분히 확인되었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다각적으로 제안하였음에 의미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chievement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bega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August 2018,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on bilingual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 fields until January 2019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Specificall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keywords ‘multicultural and ‘bilingual education conducted from 2008 to 2018 and carried out research according to the year,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and examines the trends in curriculum, policies and status, and research trends by nationality.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existing deductive approach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n, through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process was enhanced and this method induces the result of deduc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practical parts and content studies at the education field. The actual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area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But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this type of research and proposes various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y.

      • KCI등재

        한-중 이중언어 화자로서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 구성 요인 탐구

        권문화 ( Quan Wenhua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5 No.-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language identity among Korean-Chinese living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Language use and identity in China and Korea. First, five factors were recognized to affect their Language identity in China. Furthermor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ach factor and the importance of speaking two languages to the respondents. As a result, a regression model shows about 47% relation. Next, seven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their language identity in Korea. The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and each factor. However,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academic background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This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hows a lack of research frame on the identity and language use of Korean-Chinese and other group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conclusion, this study clarified the components of which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residing in Korea consists. However, a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is still needed to make the significance of Korean-Chinese bilingualism better recognized. (Kyung Hee University)

      • 해외 대학 한국어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수업사례 연구

        지서원(Seowon CHI),권문화(Wenhua Quan),찬와이밍(Wai Meng Chan)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2 高凰論集 Vol.70 No.-

        본 논문은 싱가포르대학교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학기동안 진행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수업에서 배운 주제들을 교실 수업과 연계하여 교실밖에서도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들이 직접 정한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료를 취합하고 자료를 조사한 후 주제와 관련된 직업의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최종적으로 13주차 동안 준비한 내용 및 인터뷰 내용을 발표한 후 동료 평가와 교수자의 최종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젝트 수업 후, 교사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1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 깊게 알게 되었고 학습자들의 고유문화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서 13주간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주제선정 시 교사가 좀 더 많은 자료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프로젝트 수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싱가포르대학교 한국어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제2언어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