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DMB에서의 교통여행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

        권대복(Dae-Bok Kwon),채영석(Young-Seok Cha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3

        DMB video/audio service was successfully launched. DMB data service is a matter of primary concern now. The TTI(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service is considered as a killer application of the data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broadcasting system for TTI service. The proposed TTI service system consists of an authoring tool, the DB module, the Transmission module and Monitoring module. This system satisfies the national TTA standards of the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data services for terrestrial DMB;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platform. The system was designed to support real-time automatic transmission for CTT and CTT SUM, and non real-time authoring & automatic transmission for POI and SDI, and was focused on the capability to make high-quality contents efficiently and to send them to the data inserter reliably.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as proven through the conformance tests with the various commercial receivers. After the continuous upgrade, the system is being used in commercial service.

      • 연료전지 자동차용 공기블로워의 소음 저감 연구

        양현섭(Hyun Sup Yang),권대복(Dae Bok Kwon),조경석(Kyung Seok Cho),이창하(Lee Chang Ha)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This paper presents noise reduction 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turbo type Air Blower. Noise of centrifugal air blower consists of the aerodynamic noise , resonance of the rotor, electromagnetic noise of a motor, bearing failure noise. Conducted test and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noise of the initial sample was measured. Through the test, rotor resonant mode, rotor unbalance, case resonance, and bearing problems as the cause of the noise was classified. Have found ways to resolve the problem, improved designs were considered and through the test, verify improved design.

      • KCI등재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최성종(Seong Jong Choi),권대복(Dae-Bok Kwon),김재연(Jaeyeon Kim),오건식(KeonSik Oh),장태욱(Tae Uk Chang),함영권(Young Kwon Hah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3

        This paper presents the requirements analysis for the Terrestrial 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Standard. First, the basic concepts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AEAS system structure are presented as a background. Next, other emergency alert systems and the related standards are analyzed. We propose taxonomy to categorize the emergency alert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ystem. Next, we analyze advantages of T-DMB for the delivery medium of emergency alert message and problems to resolve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Finally, we propose service requirements which will achieve general/special-purpose, non-interrupting, location-adaptive, automatic, message delivery service. The paper will contribute as a guideline to the development for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s for other broadcasting media.

      • KCI등재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최성종(Seong Jong Choi),권대복(Dae-Bok Kwon),김재연(Jaeyeon Kim),오건식(KeonSik Oh),장태욱(Tae Uk Chang),함영권(Young Kwon Hah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논문은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을 위한 서비스 모델, 전송 채널, 서비스 시그널링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우선 본 논문의 설계와 관련한 지상파 DMB 방송 기술 및 표준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DMB 서비스와의 재난경보방송 서비스의 차이점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의 서비스 모델에 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 서비스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여 재난경보방송 서비스 모델을 설계한다. 다음으로 재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을 선택한다.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핵심적 내용의 메시지와 이를 보완하는 멀티미디어 추가정보로 재난정보를 구분하여 각각을 위한 전송채널을 선택한다. 메시지 전송을 위해 FIDC를 사용하는 EWS (FIG 5/2)를 선택하고, 추가정보는 MSC를 사용하는 모든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공통 서비스와 전송 채널을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 방법을 설계한다. MCI를 사용할 경우의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추후 타 디지털 방송매체를 위한 재난경보방송 시스템 및 표준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service model, transport channel, and service signaling for the Terrestrial 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Standard. The paper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echnic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design topics. Next, the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service model for the AEAS. Since, unlike the regular T-DMB services, the AEAS is event-driven and common to all services, some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to design a service model conforming to the T-DMB standard. So, the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called the common service, and the AEAS is modeled using the common service. Next, in order to decide the transport channel for the alert information, the paper proposes to divide the alert information into the message which contains code/text-based essential information, and the supplemental multimedia information. Then, the paper tries to find the most efficient transport channels. Emergency Warning Service (EWS) which uses FIG 5/2 is selected for the delivery of the message. The paper proposes no constraints on delivery of supplemental information except that it shall use the MSC. Finally, it proposes the service signaling for the common service and transport channel. Due to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ignaling using the MCI, it proposes a new signaling method. The paper will contribute as a guideline to the development for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s for other broadcasting media.

      • KCI등재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최성종(Seong Jong Choi),권대복(Dae-Bok Kwon),김재연(Jaeyeon Kim),오건식(KeonSik Oh),장태욱(Tae Uk Chang),함영권(Young Kwon Hah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논문은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을 위한 서비스 모델, 전송 채널, 서비스 시그널링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우선 본 논문의 설계와 관련한 지상파 DMB 방송 기술 및 표준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DMB 서비스와의 재난경보방송 서비스의 차이점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의 서비스 모델에 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 서비스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여 재난경보방송 서비스 모델을 설계한다. 다음으로 재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을 선택한다.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핵심적 내용의 메시지와 이를 보완하는 멀티미디어 추가정보로 재난정보를 구분하여 각각을 위한 전송채널을 선택한다. 메시지 전송을 위해 FIDC를 사용하는 EWS (FIG 5/2)를 선택하고, 추가정보는 MSC를 사용하는 모든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공통 서비스와 전송 채널을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 방법을 설계한다. MCI를 사용할 경우의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추후 타 디지털 방송매체를 위한 재난경보방송 시스템 및 표준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service model, transport channel, and service signaling for the Terrestrial 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Standard. The paper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echnic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design topics. Next, the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service model for the AEAS. Since, unlike the regular T-DMB services, the AEAS is event-driven and common to all services, some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to design a service model conforming to the T-DMB standard. So, the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called the common service, and the AEAS is modeled using the common service. Next, in order to decide the transport channel for the alert information, the paper proposes to divide the alert information into the message which contains code/text-based essential information, and the supplemental multimedia information. Then, the paper tries to find the most efficient transport channels. Emergency Warning Service (EWS) which uses FIG 5/2 is selected for the delivery of the message. The paper proposes no constraints on delivery of supplemental information except that it shall use the MSC. Finally, it proposes the service signaling for the common service and transport channel. Due to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ignaling using the MCI, it proposes a new signaling method. The paper will contribute as a guideline to the development for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s for other broadcasting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