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우울과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권기옥 ( Ki-ok Kwon ),박성옥 ( Sung-ok Park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시 서구와 동구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185명이었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분석, 차이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 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우울 및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우울과 사회적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울정서와 자기비하 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적 불안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수행불안, 부정평가, 회피행동, 낯선 두려움, 비주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of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5 children in fifth and sixth grade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t Seo-Gu and Dong-Gu in Daeje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ren's social anxiety in terms of gender of the children.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of the children. Second, psychological control by the par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of the children. Third, regression analysis fou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of the childre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depression and self-deprecation in the domain of depression and affected performance anxiety,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behavior, fear of strangers, non-assertiveness in the social anxiety domain.

      • KCI등재

        한국전통 궁중간장류의 생리활성 분석

        이남근(Nam Keun Lee),류영준(Young Jun Ryu),여인철(In-Cheol Yeo),권기옥(Ki Ok Kwon),서은미(Eun-Mee Suh),함영태(Young Tae Hah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는 고급 장류인 궁중간장과 한식간장 및 시판 개량 간장의 갈변도, 총 phenol 함량, SOD 유사활성, 항균활성, 혈전용해능, α-glucosidase 및 lipase 억제효과를 한외여과기로 분획된 1,000 이하 저분자 물질과 1,000 이상 고분자 물질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측정하였다. 분자량이 1,000 이하 및 1,000 이상 궁중간장류의 분획물의 갈변물질에 따른 갈변도는 각각 0.101±0.001~0.206±0.006과 0.486±0.145~2.503±0.008 범위 흡광도 값을 보였으며, 궁중간 장류 중 꽃장의 갈변도가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에 있어서, 분자량 1,000 이하 궁중간장류 분획물은 101.55±1.49~114.00±0.11 mg/L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본 및 중국에서 제조된 시판 개량간장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분자량이 1,000 이상의 분획물에서는 일본 및 중국에서 제조된 시판 개량간장들보다는 낮았다. 궁중간장류의 항산화 활성은 대부분 1,000 이하 분획물 시료에서 평균 51%의 SOD 유사활성을 보였으며, 한식간장과 시판 개량간장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전용해능 및 항균활성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간장 분획물 시료에서는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분자량이 1,000 이하의 분획된 궁중간장류는 6.34±1.51~8.79±0.81% 범위에서 저해활성을 보여 한식간장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판 개량간장들보다는 약 2.9배 높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분자량이 1,000 이상의 분획물은 꽃장(75%)을 제외하고는 평균 약 6.7%로 한식간장 및 국내 제조 개량간장들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분자량 1,000 이하 및 이상 분획된 간장 시료들로부터 lipase 저해활성은 시판 개량간장들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대부분 궁중간장인 청장, 덧간장, 진장, 어육간장 시료들에서만 lipas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oyal court (RC) soy sauces, Gungjung-kanjang, were analyzed in vitro. RC soy sauces,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s were fractionated based on an MW cut-off of 1,000.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smaller than and larger than 1,000 MW (low and high fraction) in RC soy sauces were determined to be 101.55±1.49~114.00±0.11 mg/L and 32.51±0.32~113.47±0.43 mg/L, respectively. The low fraction of RC soy sauces showed around 51%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which was higher than other soy sauces. Among RC soy sauces, Cheong-jang showed significantly high ac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brinolyt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not observed between soy sauces. α-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in the low and high fractions of RC soy sauces were in the range from 6.34±1.51 ~8.79±0.81% and 5.72±1.29~7.94±0.34%, respectively. Howeve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e high fraction of Kot-jang soy sauce was 75.88%±1.20%.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in the low fractions of RC soy sauces, especially Cheong-jang, Deot-kangang, Jin-jang, and Euyeuk-kanjang, were also measured.

      • SCOPUSKCI등재

        고품질의 청국장 생산 발효균주 선별 및 최적화

        황현애(Hyun-Ae Hwang),이남근(Nam-Kuen Lee),조일재(Il-Jae Cho),함영태(Young-Tae Hahm),권기옥(Ki-Ok Kwon),김병용(Byung-Yong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는 청국장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최적화시키기 위해 경기도 이천에서 높은 효소가를 가진 균주를 분리ㆍ동정하며 선택된 균주들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16S rDNA와 PCR을 이용하여 균주를 동정한 결과, 39개의 균주 대부분이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이었으며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고 그 중 5개의 균주가 높은 역가를 나타내었다. 고품질의 장류생산 및 최적화 공정을 확립하기 위해 분리ㆍ동정한 균주 중에서 amylase, protease, lipase와 cellulase의 활성이 높은 균주를 3개 선택하여 최적화 공정작업에 이용하였고 실험법에 의해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암모니아태질소, 선호도, 아미노태질소 및 항산화가에 근거를 두어 contour map과 numerical 최적화를 한 결과, 50%의 Bacillus sp. SC-1과 50% SC-3을 섞었을 때 최적의 청국장이 만들어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enhancement of fermented soybean pastes (cheonggukjang) using microorganisms with high enzyme activities and proper experimental design. The microorganisms for soybean paste fermentation were selected from a specific area of Gyeonggi and were idenlified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To prepare the cheonggukjang, an optimum mixing ratio of selected microorganisms was determined using contour plots and numerical optimization methods. A total of 39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soybean paste, consisting primarily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nd no mold was found. Three microorganisms showing high enzyme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used to formulate an optimum mixing ratio for cheonggukjang preparation. Based on levels of amino-nitrogen, ammonium-nitrogen, antioxidant activity values, and sensory preference results, the optimum mixing ratio of 50% of Bacillus sp. SC-1 and 50% SC-3 was suggested for the manufacture of high quality of cheonggukjang.

      • SCOPUSKCI등재

        전통간장으로부터 분리한 Cladosporium sp.과 Sterigmatomyces sp. 미생물의 동정 및 NaCl 농도에 따른 미생물 효소활성 분석

        이남근(Nam Keun Lee),류영준(Young Jun Ryu),여인철(In-Cheol Yeo),박성준(Sung-Joon Park),권기옥(Ki Ok Kwon),차창준(Chang-Jun Cha),함영태(Young Tae Hah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4

        전통방식으로 숙성되고 있는 한식간장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바위꽃과 메밀꽃이라 불리는 미생물을 18S rDNA ITS1과 ITS4 지역의 염기서열를 분석한 결과, 각각 Cladosporium 종들과 S. halophilus의 염기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바위꽃 미생물은 Cladosporium sp. NK1로, 메밀꽃 미생물은 S. halophilus NK2로 명명하였다. YPD 액체 배지를 이용한 최적 생장 pH와 온도에 있어서 Cladosporium sp. NK1은 각각 pH 6과 22-27℃였고, S. halophilus NK2는 각각 pH 5-7과 22℃였다. Cladosporium sp. NK1는 NaCl를 첨가하지 않은 YPD 액체배지에서 가장 잘 생장하였으나, protease 및 amylase 효소활성에 있어서는 각각 10%와 15% NaCl이 첨가된 YPD 배양액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S. halophilus NK2는 10% NaCl이 첨가된 YPD 액체배지까지 매우 잘 생장하였으며, protease 활성은 10% NaCl이 첨가된 YPD 배양액 시료에서, amylase 활성은 5% NaCl이 첨가된 배양액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Cladosporium sp. NK1과 S. halophilus NK2의 lipase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간장의 관능평가 결과 Cladosporium sp. NK1 균주는 간장의 맛에서, S. halophilus NK2 는 향미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Two strains, traditionally referred to as rock flower (Bawhi-kot) and buckwheat flower (Memil-kot or Chile-Kot), were isolated from stored traditional soy sauce and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18S ITS1/4 region sequences. The rock flower strain showed 99% of similarity with Cladosporium sp. and buckwheat flower strain was 99% identical with yeast Sterigmatomyces halophilus. Both strains were tentatively named Cladosporium sp. NK1 and Sterigmatomyces halophilus NK2, respectively. The optimal growth pHs and temperatures of both strains in a YPD broth medium were in the range of pH 5.0 to 7.0 and 22 to 27℃. Both strains were able to grow in more than 20% of NaCl. In the enzyme activity assay, high protease activity of Cladosporium sp. NK1 and S. halophilus NK2 were obtained in YPD containing 10% of NaCl. High amylase activities of both stains were in 15% and 5% of NaCl, respectively. Lipase activity was, however, not detected in both strains.

      • SCOPUSKCI등재

        청국장으로부터 Bacillus cereus에 대한 길항 균주 분리 및 길항 효과

        이남근(Nam Keun Lee),박정완(Joung Whan Park),조일재(Il Jae Cho),김병용(Byung-Yong Kim),권기옥(Ki-Ok Kwon),함영태(Young Tae Hahm)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6

        청국장 내에 B. cereus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생물학적 제어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한 백태 및 흑태 청국장으로부터 총 20종의 Bacillus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중에서 24시간 배양액에서 B. cereus에 대한 길항활성이 가장 높은 Bacillus sp. SC-8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균주를 B. cereus와 혼합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길항능을 분석한 결과 청국장 발효 중에는 B. cereus에 대한 길항효과가 있었으나, 발효 후 4℃ 저장 중에는 균체수가 감소하여 억제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던 Bacillus sp. SC-15 균주에서는 배양액에서는 B. cereus에 대한 길항 활성이 낮았으나 청국장 내에서는 길항효과를 보임에 따라 청국장 발효에 관여하는 균들은 배양 환경에 따라 길항물질의 생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For the development of a biological control method against B. cereus in cheonggukjang, 20 Bacillus spp. were isolated from the naturally fermented baektae and heuktae cheonggukjang, identified by using 16S rDNA sequences. Among the isolated strains, Bacillus sp. SC-8 was selected using the B. cereus lawn cell assay as an antagonistic microorganism against B. cereus. The culture medium of Bacillus sp. SC-8 after 24 hr of incubation at 37℃ also evidenced a high level of antagonistic activity.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SC-8 and B. cereus, antagonistic effect against B. cereus was maintain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while its effect was reduced during storage at 4℃ due to the decrement of cell population of Bacillus sp. SC-8. In Bacillus sp. SC-15, which was utilized a control,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B. cereus was not demonstrated on the lawn cell plate assay and culture medium, but its effects were detected in cheonggukjang. Therefore, the production of antagonistic substances of Bacillus spp. depends on the fermentativ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