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정층 가스화 용융로에서의 고상폐기물 가스화 합성가스 생산 및 가스엔진 발전 연구

        구재회(Gu, Jae-Hoi),김수현(Kim, Su-Hyun),유영돈(Yoo, Young-Don),윤용승(Yun, Yong-Seung),이협희(Lee, Hyup-Hee),남상익(Nam, Sang-Ik),윤재관(Yoon, Jae-Kwa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06

        The 3 ton/day-scale pilot plant consists of compressor, feed channel, fixed bed type gasification & melting furnace, quench scrubber, demister, flare stack and gas engine. Syngas composition of gasification using the 35.50(waste I), 4.34%(wasteII) moisture-containing solid waste showed waste I CO 25-35%, 20-40% hydrogen, waste II 25-35%, 20-30% hydrogen.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was operated 1,500{sim}1,600^{cdot}C. Gas engine was generated 35{sim}40 kW as waste gasification syngas.

      •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합성가스 생산 및 활용 기술

        구재회(Gu, Jae-Hoi),유영돈(Yoo, Young-Don),이협희(Lee, Hyup-He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이용하여 가스화에 의해 생산되는 합성가스의 생산 및 활용기술에 대해 고찰하였다. 폐기물 가스화에 의해 생산되는 합성가스의 조성은 CO, H₂를 주성분으로 하며 부분산화 조건에 CO₂가 함께 생산된다. 생산된 합성가스는 CO 20{sim}35%, H_{2} 20{sim}35% 정도의 조성으로 나타나며 발생량은 1,365{sim}2,125 Nm³/hr로 나타났다. 이러한 합성가스는 스팀생산, 전력생산 및 DME, SNG, 메탄올, 수소와 같은 고부가가치의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다.

      • 폐기물 가스화로 운전방식에 따른 합성가스 생산 특성 비교

        구재회 ( Jae-hoi Gu ),박동규 ( Dong-kyoo Park ),김동주 ( Dong-ju Kim ),박영수 ( Yeong-su Par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최근 폐기물 재활용 및 처리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크게 대두되어 오고 있다. 폐기물의 물질 재활용과 에너지 재활용에 대한 국내 및 해외에서 동시에 사회이슈 문제로 발생함에 따라 국내 폐기물의 처리방안이 새롭게 검토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폐기물의 물질재활용의 한계성으로 폐기물 에너지 재활용 정책과 법규를 정비해오고 있으나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폐기물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에서 제외하고 지역 주민의 고형연료 사용에 대한 NIMBY현상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고형연료 사용시설의 보급이 중단되어 폐기물처리시설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 물질재활용의 한계성과 고형연료 연소사용시설의 보급 중단, 폐기물 소각시설의 부족 및 폐기물의 매립시설의 부족 등 폐기물 처리시설이 부족함과 동시에 기존 소각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새로운 보급기술의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폐기물 열분해 유화기술과 폐기물 가스화 기술 도입을 위해 많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기물 열적 처리기술에는 소각, 열분해, 가스화, 액화 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술은 운전방식과 생산하고자 하는 생산물의 종류에 대한 목적이 상이하다. 그 중에서 폐기물 가스화의 경우 운전방식과 생산하는 합성가스의 활용방식에 따라 가스화로의 운전방식이 달라진다. 또한 폐기물의 운전방식에 따라 생산되는 합성가스에 대한 특성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가스화 합성가스의 활용목적에 따라 가스화로의 운전방식이 결정되므로 이에 따른 합성가스의 생산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가스화로의 운전방식은 운전온도, 산화제 종류, 불연물의 배출방식 등에 따라 합성가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합성가스 특성 항목은 합성가스 주요성분 조성, 오염물질의 종류, 타르 발생농도를 비교 고찰하였다. 가스화로 운전온도가 1,200℃이상의 고온 가스화조건과 1,000℃이하의 가스화 운전조건 및 산화제를 공기/순산소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합성가스 특성을 정리하였다.

      •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에너지 회수 및 원료대체 재활용 특성

        구재회 ( Jae-hoi Gu ),임용택 ( Yong-taek Lim ),박수남 ( Su-nam Park ),김동주 ( Dong-ju Kim ),정법묵 ( Bup-mook Ju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폐기물은 발생원을 기준으로 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및 건설폐기물로 구분된다. 폐기물 처리는 재활용을 우선적으로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한계성과 경제성 등이 해결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슈가 극복되지 않으면 재활용에는 한계가 따른다. 국내에서 도입된 네가티브 재활용 제도가 다양한 기술을 재활용로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중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로써만 인식되어온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에너지회수 기술 뿐 만 아니라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활용 기술로도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폐기물의 재활용은 물질재활용 기술로서 3R기술 위주로 재활용되어 왔으나 화학전환 기술에 의한 재활용을 위해서는 가스화 기술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기술은 소각에 의한 에너지회수 또는 고형연료를 생산하여 연소보일러에 의한 에너지회수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은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열에너지와 화학에너지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에너지로의 회수 기술과 고효율 에너지 이용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에너지회수 기술과 화학전환 기술로서 원료대체를 통한 재활용 기술로서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가연성물질이 함유된 폐기물의 대부분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하지만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기술에 따라서 합성가스의 생산품질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적정 발열량이 확보되어야 된다.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기준은 달리 적용되겠지만 저위발열량 기준으로 3,200 kcal/kg이상인 경우 안정적인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폐기물종류 및 이용기술에 따라서는 3,000 kcal/kg이상인 경우 합성가스 생산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합성가스를 에너지회수 기술로서는 스팀터빈, 가스터빈, 가스엔진, 연료전지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LNG, 경우, 석탄, LPG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가스연료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합성가스의 주요성분인 일산화탄소와 수소는 고순도 수소 및 고순도 일산화탄소 자체로도 원료대체가 가능하며, 화학촉매 또는 미생물촉매 전환 공정을 통해 다양한 화학원료로 대체하는 재활용기술로서의 적용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가상에너지 생산공급설비 활용 산업단지 에너지 공동 네트워크 기술

        구재회(Jae-Hoi Gu),최상규(Sang-Kyu Choi),조광재(Kwangjae Cho) 한국열환경공학회 2020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0 No.춘계

        제조업의 성장거점으로 발전해온 산업단지는 글로벌 저성장 기조와 내수 둔화 등 대내외 경제위기와 함께 국가 산업단지의 생산, 수출 및 공장 가동률이 점차 하락하고 활력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산업단지 활력제고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스마트 산업단지를 활성화할 계획이고 데이터 및 자원의 연결과 공유를 통해 기업 생산성을 높이는 미래형 산업단지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주요 비용요인인 에너지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 개발 사업장 및 개별 에너지 공급정책의 한계 극복이 필요하다. 에너지 생산 공급설비 가상화(VUP, Virtual Utility Plant) 기술을 활용한 산업단지 에너지 통합 관리 네트워크 구축 및 VUP 플랫폼 산업단지 실증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수요가 필요한 공통 에너지 설비의 효율향상 및 공급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단지 실증단지를 대상으로 스팀, 압축공기와 같은 유티릴티 공유시스템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한 FEMS(Facility Energy Management System) 기술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 SCOPUSKCI등재

        바이오매스와 폐기물 고형연료의 연소특성

        구재회 ( Jae Hoi Gu ),오세천 ( Sea Cheon Oh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실 연소로를 이용한 등온 및 비등온 연소특성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바이오매스의 시료로는 목재펠렛, 볏짚 및 왕겨를 사용하였다. 바이오매스의 연소시 배출가스의 특성과 분진 및 잔류물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RDF의 연소실험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등온 연소특성 실험으로부터 볏짚이 다른 시료에 비하여 연소속도가 빨라 급격히 산소량이 감소되어 불완전연소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목재펠렛의 경우 다른 시료에 비하여 가장 낮은 NOx 배출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등온 연소특성 실험으로부터 모든 시료가 900 ℃의 연소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 연소가 대부분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Ox의 경우 CO가 배출되는 범위와 유사한 온도범위에서 배출되는 반면에 SO2의 경우보다 고온에서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verify the utilization of biomass as energ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 has been studied by an experimental combustion furnace under an isothermal and non-isothermal combustion. The wood pellet, rice straw and rice husk were used as biomass samples in thi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gases, dusts and residues from biomass combustion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reuse derived fuel (RDF). From isothermal combustion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rice straw was greater that that of rice husk, wood pellet and RDF.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mbustion reaction rate of the rice straw was fast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in rice straw combustion was rapidly decreasing. It was also found that NOx concentration of emission gas from wood pellet combustion was the lowest. From non-isothermal combustion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all samples were burned before 900 ℃, Also, the temperature range of NOx emission was similar to that of CO emission, on the other hand, SO2 was emitt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at of CO emission.

      • 열저장장치를 이용한 공장 폐열에너지의 네트워크

        구재회 ( Jae-hoi Gu ),김동주 ( Dong-ju Kim ),박동규 ( Dong-kyoo Park ),성호진 ( Ho-jin Su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국내 산업단지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해 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가 필요하며 단위 공장별 사용 후 폐기되는 에너지 또는 잉여에너지 네트워크를 통해 에너지 회수, 저장, 공급, 사용의 공간적 시간적 연계성을 고려한 에너지 통합 네트워크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공장별 사용되는 에너지의 차별성과 동종 및 이종 공장 간의 잉여 에너지의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기술과 개별 공장간 사용 열원의 차이를 연계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열, 폐에너지원 및 잉여에너지를 단계별 사용 네트워크화와 기존의 배관망에 의한 열에너지 네트워크 연계가 어려운 에너지량 및 공간적 시간적 제약조건을 해결할 수 있는 열저장 공급 시스템의 개발 보급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통합 열에너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인 열저장 공급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열에너지 네트워크를 통해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공장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폐열발생공정과 활용공정의 시간적 차이에 의한 폐열 및 잉여 열 활용의 제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변화물질 열저장장치 적용을 통해 미활용 저급 폐열 및 잉여 열의 저장과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미활용 공장폐열을 회수하여 상변화물질 이용 열저장장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공장에서 발생되는 공정 배출스팀 또는 온수에 대한 열에너지의 저장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