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여권신장·남녀평등 운동으로 시작한 초기 페미니즘은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을 거쳐 21세기에 들어와 젠더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로 변천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나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결합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을 전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양자를 함께 조망해야 이 시대의 위기를 근원적으로 파헤치고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젠더-페미니즘을 논의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세계에서 여성 주도 성혁명을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주도 성혁명의 핵심 전략 및 주요 특징으로는 1. 성별 해체의 젠더 주류화: 파워 엘리트 & 젠더-페미니스트 주도 위로부터의 혁명, 2. 성규범 해체의 성애화: 사회문화 전체에 타락과 패륜의 확산,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비혼화: 여성 간 파행적 연대와 레즈비어니즘(여성 동성애) 강화를 들 수 있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글로벌 세계를 횡행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에서는 남녀 간에 극심한 대립을 통해 사회갈등 및 국민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성(兩性) 간에 조롱과 혐오가 극단화되다 보니, 이성(異性)에 대한 견제와 경계가 나날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급기야 남녀가 서로를 생존에 해로운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남과 여로 양극화되는 ‘성(性) 양극화’, 소위 ‘젠더 전쟁’이라 불릴 만큼 남녀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천부적으로 부여된 남녀 고유의 신체적 기능은 물론 남녀가 결합하여 이루는 결혼 및 가정이 지난 50여년 사이 급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성혁명의 폐해가 성규범의 해체로 이어지고, 이것이 인류문명사에 어떤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될 것인지는 너무나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러한 위기상황 속에서 21세기 한국 기독교는 1. 남녀의 성별 해체를 넘어 무수히 많은 성정체성의 다원화를 추구하는 젠더 주류화의 실체 및 폐해를 파헤치는 연구자들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성정체성 형성을 공론화해야 할 것이다. 2. 패륜적 성혁명이 강타한 21세기 문명사에서 사회 전체를 성애화(sexualization)시키는 흐름에 저항하고 사회적 성화(social holiness/santification)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에 가장 적대적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여 건강한 가정공동체 구축과 건전한 세대 전승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여성 주도 성혁명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상생하는 남녀관계와 진정성 있는 양성평등을 구현해야 할 21세기의 시대적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제 21세기는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관계를 확립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는데, ‘성별 해체-성윤리 해체-가정 해체’로 치닫는 젠더-페미니즘에서 벗어나서,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중심주의, 남성을 억압하는 여성중심주의를 모두 내려놓고, 남성과 여성 모두의 존엄성이 회복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Feminism in its initial stage, which started as a movement for empowerment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s threatening human civilization by transitioning from radical feminism to a gender ideology in the 21st century. I argue that ‘gender-feminism’, an ideological combination of radical feminism and gender ideology, should be discus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only when we look at both sides together can we understand the crisis of this era at the root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important reason we need to discuss gender-feminism today is that a female-led sexual revolu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world. The key strategi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are as follows: 1. Gender mainstreaming of gender deconstruction: a revolution from above led by power elites and gender-feminists 2. Sexualization of deconstruction of sexual ethics: corruption in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the spread of infidelity, 3. Immortality that dismantles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strengthening of abnormal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f lesbianism(female homosexuality). In a situation where women-led sexual revolution is rampant in the global world, in Korean society,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between men and women occur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leading to a social pathology. As ridicule and hatred between men and women are intensified, checks and vigilance against reason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harmful to survival, gender conflict is intensifying to the point of polar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is polarized into men and women, and so-called ‘gender war.’ As gender-feminism expands its influence, marriages and families made by combining men and women, as well as inherent physical functions, have been rapidly dismantl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evils of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have led to the dissolution of sexual ethics, and it is very clear what kind of gloomy shadow this will cast o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n this crisis situation, the task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s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xual identity should be publicized by training researchers who reveal the true and harmful effects of gender mainstreaming, which seeks to diversify gender identity. 2.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it by the sexu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ist the trend of sexualizing society as a whole and spread social holiness/santification. 3. We must resist the trend of the times most hostile to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and fulfill the mission of building a healthy family community and passing on a sound generation. Finally, it should be accepted as a request for the 21st century to realize co-prosperity relations and sincere gender equality while concluding discussions on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Now, the 21st century is at a turning point where men and women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something to do. It is necessary to put aside both androcentricism that oppresses women and feminism that oppresses men, and move toward a community in which the dignity of both men and women is restored.

      • KCI등재후보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9 No.-

        사상 초유의 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가 대한민국을 위시하여 전 지구촌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몰고 왔다. 그동안 인류 역사는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함으로 생명 연장을 이룩한 경이로운 여정이었는데, COVID-19 사태로 인해 인간이 죽음이라는 절대적 한계에 직면한 유한한 존재임을 재차 실감하게 된 것이다. 지난 2년간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생전에 죽음을 성찰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그동안 삶과 죽음(生死)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기류가 변화의 조짐을 보여 왔는데, COVID-19 사태가 결정적 분기점이 되어 죽음을 공론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 분위기와 달리, 한국 교계와 신학계에서는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조차 제기되지 않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에는 무수히 많은 신학대학이 있지만, 죽음을 앞둔 임종자를 위한 영적 돌봄을 가르치는 강좌나 사역 프로그램이 개설된 곳이 거의 전무하다. 설사 신학수업의 교과과정에 죽음에 관한 강좌가 있다고 해도 주로 예전적 측면에서 장례식 집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일에 치우친 경우가 많고, 죽음의 실체가 과연 무엇인지, 죽음을 앞둔 이를 어떻게 영적으로 돌봐야 하는지, 특히 죽음 앞에서 불안해하는 임종자가 복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강의하는 교과목이 개설된 적이 없다. 그렇지 않아도 오늘날 목회자는 임종과 죽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채 목회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많은 목회자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영적인 돌봄은 물론,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야 할 중차대한 소임을 잘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연유로 인해 한국기독교계에서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사회의 다른 일반 공동체에서보다 훨씬 뒤처질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죽음의 질이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보다 더 열악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므로 생사교육이 긴급하게 요청되는 그룹은 목회자 및 신학자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필자는 성경에 기반하여 삶과 죽음을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천착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봉착하여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는 현실,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 정립의 필요성,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지향점인 삶의 존엄·죽음의 존엄·인간의 존엄,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사학 및 생사교육을 교회교육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정착시킴으로써 죽음을 생애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야 할 과업으로 독려할 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존엄한 죽음-존엄한 사회를 진작시키는 데 동기부여하고자 한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fear of death to the entire world. In the meantime, human history has been a remarkable process of prolonging life by discovering the cause of disease and treating it. However, due to the COVID-19 crisis, we have come to realize once again that humans are finite beings facing the absolute limit of death.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pandemic era over the past two yea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people should reflect on and prepare for death while living by feeling great anxiety about death. Until now, the atmosphere of our society surrounding life and death has shown signs of change, and the COVID-19 incident has become a decisive turning point, and the argument that death should be publicized has gained strong persuasion. However, unlike the current atmosphere, the Korean church does not even raise awareness abou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which reflect on life and death. Although there are many seminaries in Korea, few have offered courses or ministry programs that teach spiritual care for those who are about to die. Even if there is a course on death in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y class, it is often biased toward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funeral service from the liturgical aspect, and what is the reality of death and how to spiritually learn about the person who is about to die. There has never been a course that lectures on how to take care, especially how to prepare a dying person who is anxious before death to face a blessed death. Even so, many pastors today become pastors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death. As a result, many pastors are unable to fulfill their important rol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eaching believers how to die with dignity while maintaining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reason, there is concern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ity will lag far behind other areas of society, and that the quality of death for Christians will be worse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and non-religious people. Therefore, the groups urgently requesting life-and-death education are pastors and theologians.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I became proficient in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that discuss life-and-death based on the Bible. This thesis discusses the reality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cannot settle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a global pandemic, the justification for establishing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and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which is the goal of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llenges that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must face. Through this,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t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reby encouraging death as a task to be accomplished throughout the life cycle, as well as promoting a dignified life - dignified death - dignified society. want to motivate.

      • KCI등재

        소아 객혈의 원인: 나이와 객혈의 양과의 연관성

        곽혜원 ( Hae Won Kwak ),김형영 ( Hyung Young Kim ),손승국 ( Seung Kook Son ),김혜영 ( Hye Young Kim ),박희주 ( Hee Ju Par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6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4 No.2

        Purpose: Studies on hemoptysis is rare because hemoptysis is an uncommon symptom in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es of hemoptysis in children. Methods: Medical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hemoptysis was retrospectively conducted at 2 tertiary hospitals from November 2008 to December 2014.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age. The amount of hemoptysis was categorized as mild (<20 mL/day), moderate (20-99 mL/day), and massive (≥100 mL/day). Results: A total of 59 patients were identified, and their mean age was 11.0±5.6 years. Among the causes of hemoptysis,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as most common. Other causes included vasculitis syndrome, neoplasm in the airway, idiopathic pulmonary hemosiderosis, cardiac disease, and bronchiectasis. According to ag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between the age groups in children with pneumonia (<6 years vs. 12-18 years, P=0.001). Differences were verified between the age groups in children with tuberculosis (<6 years vs. 12-18 years and 6-11 years vs. 12-18 years, P=0.023). According to amounts of hemopt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regardless of the cau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auses of hemoptysis in children were heterogeneous and th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as most common. In children with hemoptysis, the age of onset and the amount of hemoptysi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for more precise diagnosis and more proper management of the underlying cause of hemoptys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4:114-1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