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액 오염하에서 수복방법에 따른 컴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공석배,김종수,유승훈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소아 환자의 인접면 우식을 치료할 때 컴포머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구강내 환경은 항상 습윤한 상태로 타액은 컴포머와 치질 사이의 접착을 방해할 수 있다. 수복시에 타액이 게재하게 되면 미세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수복의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를 수복할 시에 타액의 영향과 수복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컴포머로서 Dyract AP^(®)(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Dentin bonding agent로는 Prime and Bond^(®) NT (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고. 광중합을 위해서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사용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saliva pool을 제작하였다. 소구치 2개를 인접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에 2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 환경을 다르게 하여 컴포머를 충전한 후에 500회 thermocycling하였다. 그 후 0.5% methylene blue용액에 24 시간 동안 담근 후에 실체 현미경을 통해서 교합면과 치은면에서의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에서의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2. 치은면에서 Oraseal^(®)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타액 오염을 시키지 않은 4군과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은면에서 1군과 2군 사이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치은면에서 Oraseal^(®)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1,2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다(p<0.05). Compomer that release fluoride could be used on proximal caries of child effectively. But oral cavity is always wet, so saliva inhibits bonding of tooth and compomer. When the saliva exist on bonding, it can be occured microleak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alivary contamination on compomer restoration and degree of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s. Dyract AP^(®) and prime and bond^(®) NT was applied by the manufacture s instructions. Elipar Trilight was applied for light curing. Saliva pool was made for reconstruction of oral cavity. Two premolar was embedded in acrylic resin. After class II cavity preperation, Dyract AP^(®) was restored under several condition, the specimen was thermocycled 500 times with 30 second dwell time. 0.5% methylene blue was used for microleakage test. Micoleakage was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infiltration length to occlusal and gingival side interfac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Kruskal Wallis Test, Mann-Whitney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occlus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2. In gingiv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II(ContactMatrix^(TM), Rubber dam, Oraseal^(®), Group IV (No saliva contamination). 3. In gingiv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ContactMatrix^(TM)), II(ContactMatrix^(TM), Rubber dam). 4. In gingival sid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ContactMatrix^(TM)), II(ContactMatrix^(TM), Rubber dam).

      • KCI등재

        Forced eruption을 이용한 매복 전치의 치험례 : FORCED ERUPTION FOR IMPACTED ANTERIOR TOOTH

        공석배,김종수,유승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영구 전치의 매복은 제 3대구치나 견치에 비해서 드물게 나타나지만 학령기 아동에서 관찰할 수 있다. 매복치아의 원인은 외상, 공간 부족, 치아의 맹출 경로상에 위치하는 과잉치, 유치의 치근단 감염 등 다양하다. 매복된 치아는 부정교합과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 낭종 등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통해 정상 맹출을 유도하여야 한다. 매복된 치아가 병적 변화를 일으킨 경우나 인접치에 손상을 주었을 경우에 발치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교정적 견인을 통해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줄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발견시의 올바른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정적 견인시에는 매복치를 배열할 공간의 확보와 고정원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견인시 적절한 방향의 힘을 통해서 치근의 흡수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증례는 매복된 전치들을 forced eruption을 통해서 정상적인 맹출 방향으로 유도한 치험례이다. Impaction of permanent incisor occurs rare than the canine & third molar. But it s often observed in school age child. The causes of impaction are trauma, space deficiency, mesiodens, infections of root apex, etc. In spite of elimination of cause, normal eruption of impacted tooth is rare. Though eruption is normal, the position of tooth will be incorrect. Because the impacted tooth results in malocclusion,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ooth, pathologic cystic change, it should be confirmed the precise position by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 and found the correct location by appropriate treatment plan. In case of pathologic change of impacted tooth and injury to adjacent tooth, it will be extracted. But through orthodontic retraction, the function and esthetics of tooth can be restored. It is important that impacted tooth should be detected early and diagnosed correctly, and appropriate treatment plan should be made. Before impacted tooth is retracted, the considerations of space for alignment and anchorage should be preceded and through appropriate force and mechanics, the side effects, for example, a root resorption should be minimized. In this study, we guided impacted tooth to normal position by using a forced eru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