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디지털 퍼블리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공병훈(Kong, Byoung Hun),조정미(Cho, Jung Mi) 한국출판학회 2018 한국출판학연구 Vol.44 No.3

        이 연구는 국내 등재학술지 게재논문의 연구 주제와 대상 미디어 종류를 중심으로, 2000~2018년까지 디지털 퍼블리싱 연구 흐름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메타분석은 주제 유형을 미디어, 산업, 유통, 생산과 기술, 수용자, 창작저술, 광고, 디자인 글꼴, UI디자인 등으로, 대상 미디어를 전자출판, 전자책, 웹진, 앱북, 웹소설, 웹툰, 웹콘텐츠로 구분하고 게재연도별로 분류했다. 또한 개별 논문들의 키워드들로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퍼블리싱의 연구는 다양한 확대되지만 주제 유형에서는 산업·수용자·미디어에, 대상 미디어에서는 전자책·웹툰에 집중되었다. 전자책은 2000년부터, 웹툰은 2010년 이후, 웹소설은 2015년 전후로 증가되었다. 의미망 분석에서는 전자책, 웹툰, 앱북, 전자책단말기, 콘텐츠, 모바일미디어, 상호작용성, 종이책, 전자출판, 상호작용, 만족도, 사용성, EPUB 등이 중심 허브로서 역할하는 관계망들이 드러났다. This study is a meta - analysis of the subject of domestic digital publishing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trends of digital publishing from 2000 to 2018, focusing on the research topic of the thesis and the target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trends of digital publishing from 2000 to 2018, focusing on the research topic of the thesis and the target media. This meta-analysis distinguishes theme types from media, industry, distribution, production and technology, audience, creative writing, advertising, design fonts, UI design, overseas publications, magazines, and libraries. Target media were classified into electronic publishing, e-book, webzine, appbook, web novel, webtoon, and web content and classified by publication year. In addition, keywords of individual articles were collected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irst, the study of digital publishing has been concentrated on e - book and webtoon in subject type, industry, audience, media, target media. Second, the number of e - book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0, and the number of Web novels has increased around 2015 since 2010. Third, the keywords of research that serve as central hubs in e - book, webtoon, appbook, e - book reader, contents, mobile media, interactivity, paper book, electronic publishing, interaction, satisfaction, usability, The networks were revealed.

      • KCI등재

        드라마 팬덤 커뮤니티의 UCC와 팬픽션 창작/생산 과정 연구 : 드라마 ‘커피 프린스 1호점’과 ‘선덕여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공병훈 ( Byounghun Kong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5 언론문화연구 Vol.22 No.-

        드라마 팬덤 커뮤니티의 창조적 사용자들은 드라마에 대한 자신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즉흥적 놀이(improvisatory play)로서 원작 드라마를 복사·변형하여 다양하고 무수한 UCC와 팬픽션들을 창작(creation)/생산(production)하고 있다. 전통적 드라마 생산 방식에서와는 다르게 창조적 사용자들은 팬덤 커뮤니티를 통해 UCC와 팬픽션을 창작/생산하는 집합적·동료적 상호작용의 패턴을 보여 주고 있다. 본 논문은 드라마 팬덤 커뮤니티의 UCC와 팬픽션의 구체적인 창작/생산 과정을 드라마 ‘커피 프린스 1호점’과 ‘선덕여왕’ 커뮤니티를 사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창조적 사용자들은 대중화되고 민주화된 툴킷(toolkit)을 사용하여 즉흥적이며 자유로운 놀이이자 집합적이며 협업적인 작업으로서 UCC를 창작·공유·감상·평가하는 상호호혜적 관계를 작동시키고 있다. 둘째, 미디어 기업에 의해 지적재산권이 개방된 원작 드라마의 콘텐츠, 내러티브, 설정, 캐릭터를 기반으로 하는 모듈화된 재료들을 사용하여 온오프라인과 미디어, 그리고 장르를 넘나드는 컨버전스적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생산하고 있다. 셋째, 소통·지식·학습·공감·재미 기반의 개방적이며 다이내믹한 팬덤 커뮤니티의 생산 메커니즘은 드라마 생태계에서 드라마 콘텐츠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시키며 상품 생애 주기를 연장하고, 다양한 파생 상품군들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기반 혁신(user based in-novation) 공유지를 작동시키고 있다. To satisfy their needs for drama, the creative users of drama fandom community create/product the diverse, myriad UCC, fanfictions by replicating, modifing the original drama, as improvisatory play. The creative users create UCC, fanfiction in fandom community. That is the collective, colleague pattern which is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drama production way. Based on the case study methods about drama The 1st Shop of Coffee Prince, Queen Seondeok, the study analyzes the UCC and fanfiction creation/production process of drama fandom community. This research show as follows. First, by The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toolkit, the creative users work the reciprocal relationship The reciprocal relationship form with the creation, sharing, listening, evaluating of UCC work which are improvised free play and collective, collaborative tasks. Second, By using the modulation materials composed of the original drama contents, narrative, setting, and character, the creative users create/product th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way that is crossing the on-off line, media, genre. The modulation material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been opened by the media companies Third, the drama fandom community activities which is the user based innovation form the drama ecosystem with a new paradigm, as well as form a virtuous cycle inked to the market continuously.

      • KCI등재

        전문잡지의 생태계 모델 분석

        공병훈(Kong, Byoung-Hun),장용호(Chang, Yong-Ho),진전은영(Jin Jeon, Eu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8

        전문잡지들은 복잡도가 높고 다이내믹하며 심한 불확실성을 보이는 잡지산업 생태계에 대한 적응 전략으로서, 지식 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연화되고 개방된 협업적, 동료적, 집합적 생산체계를 작동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방법으로서 직접 관찰, 전문가 심층면접,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이 를 통한 ‘잡지산업’, ‘전문잡지사·커뮤니티·사용자간의 협업체계’, ‘전문잡지의 생태계 모델’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잡지 생태계는 잡지사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생산 참여자와 잡지 플랫폼이 결합되는 가치 네트워크의 개방적 혁신 의 협업 모델로서 진화/적응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잡지사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경 변화에 힘입어 커뮤니티, 전문가 사 회집단/조직, 창조적 사용자의 다양한 행위/상호작용이 핵심적으로 작동되는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셋째, 전문잡지 생태계 모델은 콘텐츠 공급 영역의 다양한 잡지 생산 주체들이 플랫폼 영역에서 상품군과 플랫폼 유형에 적합한 상호작용을 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체계이다. 전문잡지의 모델은 게임, 출판,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 메이션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과 같은 패턴의 프랙탈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상호작용성과 사용자 참여의 수준이 가장 높은 창조 친화적 기술 혁신 모델로 수렴되고 있다. Magazines on specific genres have been operating collaborative, co-working and collective production systems for value maximization using an adaptation strategy on the dynamic, complex and uncertain value network of the magazine industry. The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observational research, depth interviews an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gazine industry’, ‘magazine firm and community’, and ‘collaboration system within creative us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ecosystem of magazines on a specific genre has been evolving into an innovative value network system, which is combined with the magazine firm, community users and magazine platform. Second, the rapid introduction of smart device environment changes the way of the collaborating system, in which an action and interaction came out within the community, creative users and magazine firms. Third, the production agency shows strong action and interaction, which fits the magazine platform within the ecosystem of a magazine on a specific genre well. This model has a similar fractal structure to the game, publishing, drama, movie, comic, and animation contents industry, converging to an innovative technology-based-creative-industry.

      • KCI등재

        문학 작가의 전자책 출판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공병훈(Kong, Byoung Hun),조정미(Cho, Jung Mi) 한국출판학회 2021 한국출판학연구 Vol.47 No.3

        2000년대 이후 가치 네트워크 체계로 진화하고 있는 전자책 생태계에서 문학 작가들은 창작과 출판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인식을 축적하고 있다. 이 논문은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작가들의 전자책 출판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작 분야별로 차이가 있지만 문학 작가들은 작품 활동에서 전자책 출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온리(only) 전자책 출판 방식이 중요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둘째, 문학 작가의 직접 출판과 출판사 창업 현상은 변화된 기술 환경과 플랫폼을 통해 독자와 직접 소통하며 상호작용하는 모델과 맥락을 함께 한다. 하지만 가치 네트워크의 공유와 개방이라는 특성을 반영하는 데에서 여러 한계와 과제들이 드러나고 있다. 셋째, 문학 작가들은 창작 분야별로 개별 플랫폼 선호, 전자책 월정액 서비스, 도서관 전자책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들은 ‘전자책 출판의 역할 모델의 변화’와 ‘작가·플랫폼·독자 중심의 가치 네트워크 체계로의 진화’ 가능성을 예측하게 한다. In the e-book ecosystem, which has evolved into a value network system since the 2000s, literary writers have accumulated variou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rough creative and publishing activities.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paper conducted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e-book publishing by wri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although it varies by field of creation, literary writers actively use e-book publishing in their work, and only e-book publishing methods have become important areas. Second, the phenomenon of direct publishing of literary writers and the start-up of publishers shares a model and context in which they communicate and interact directly with readers through the changed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platform. However, several limitations and challenges have been revealed in reflecting the nature of sharing and opening value networks. Third, literary writers differed in their preference for individual platforms, monthly fixed-rate services for e-books, and perception of library e-books by creative field. These changes predict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role models in e-book publishing and evolution into a value network system centered on writers, platforms, and readers .

      • 공유경제, 세상을 바꾸다 : 공유의 비극을 넘어

        공병훈(Byoung-hun Kong) 통섭인문학회 2022 통섭인문학 Vol.1 No.2

        엘리너 오스트롬은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공유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유자원이 파괴되는 공유지의 비극 문제를 해결해온 주체가 공동체임을 밝히고 있다.이 책에 담긴 연구에는 공동체는 자율적인 규제를 통해 공유재를 보존하는 사례를 다루고 있다. 소유가 아닌 대여와 차용으로 여럿이서 제품을 공유하는 공유 경제가 본격화하고 지식 공유의 가치가 창의적이며 협업적인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오는 최근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보편화되고 있다. 공유자원과공동체 사이에 집합적 행동을 위한 제도가 어떻게 진화되었는지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이 지점에 있다. Through her research on successful commons, Eleanor Ostrom identifies communities as the key to solv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destruction of shared resources. The studies in this book show how communities preserve commons through self-regulation. The recent socio-economic situation in which the sharing economy is in full swing and the value of knowledge sharing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reative and collaborative paradigm by borrowing and lending rather than owning, is becoming commonplace. This is where the importance of studying how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have evolved among shared resources and communities comes in.

      • KCI등재

        한국 출판 기술 발전의 진화 단계 연구

        공병훈(Kong, Byoung Hun),조정미(Cho, Jung Mi) 한국출판학회 2021 한국출판학연구 Vol.47 No.6

        이 연구는 해방 이후 출판 기술이 발전·진화하는 단계를 분석하였다. T1은 한글 활자 개발, 인쇄소 설립과 기술 도입 등 출판 인프라 구축 단계이다. T2는 활판 인쇄가 사진식자나 CTS로 변화, 확산되며 대형서점이 등장하는 출판산업의 성장과 신기술 도입 시기이다. T3는 출판 과정 전반에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는 단계이다. T4는 인터넷과 디지털 기반 유통 환경에서 인터넷 서점과 전자책 서점이 활성화되며 디지털 퍼블리싱이 본격화하는 시기이다. T5는 모바일 환경에서 플랫폼 기반 출판이 본격화되는 시기이다. 분석 결과, 한국 출판 생태계에는 폐쇄적 가치사슬 체제에서 개방적 가치 네트워크 체제로 패러다임이 이동하는 질적 변화가 진행 중이다. 단계적 진화에서 기술 발달과 혁신 과정이 핵심 동인으로 작용했으며,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 변화를 창출시켜 복잡도 높은 지형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다양한 출판 행위자들은 변화되는 지형에서 지속 가능한 생태계 적응 전략을 통해 적합도를 높이는 최적해를 찾아나간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ges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publishing technology after liberation. T1 is the stage of building publishing infrastructure, such as developing Hangul type, establishing a printing shop, and introducing technology. T2 is a period of growth and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in the publishing industry, where large bookstores appear as plate printing changes and spreads to photographers or CTS. T3 is a stage in which digital technology is used throughout the publishing process. T4 is a time when digital publishing begins in earnest as Internet bookstores and e-bookstores are activated in the Internet and digital-based distribution environments. T5 is a time when platform -based publishing begins in earnest in a mobil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qualitative changes are underway in the Korean publishing ecosystem in which the paradigm shifts from a value chain system to an open value network system. In phased evolu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processes have been key drivers, creating business models and market changes to form complex terrain, and various publishing actors seek optimal solutions to increase suitability through sustainable ecosystem adaptation strategies in changing terrai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립 문예지 속성과 모델 연구 : 2018년 국내 독립 문예지 활동을 중심으로

        공병훈(Kong, Byoung Hun),이민우(Lee, Min Woo) 한국출판학회 2019 한국출판학연구 Vol.45 No.1

        문예지 생태계는 창작자와 평론가, 독자, 출판사가 문예지를 둘러싸고 관계를 형성하여 문학 작품과 담론으로 상호작용하는 체계이다. 이 논문은 독립문예지들의 속성과 활동 특징과 패턴, 모델을 연구한다. 분석 결과, 첫째, 독립 문예지는 소집단 하위문화로서 문학 커뮤니티와 문예지 정체성을 지닌다. 둘째, 전통적 문예지와 출판 자본 기반 문예지의 대안으로서 창작자와 독자 중심의 운영으로 활동하며 자본·기획·창작·생산·유통 방식에서 독창적이다. 셋째, 웹진과 소셜 미디어 통한 소통, 장르와 미디어 융합을 통한 독자 접점 확대 등 기술과 사회 변화 환경 적응에 적극적이다. 넷째, 문학커뮤니티와 문예지 정체성, 창작자와 독자 중심성, 출판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성, 자본·기획·창작·생산·유통에서의 독창성, 기술 변화 적응성 등의 독립 문예지 속성은 다양한 참여자의 자발적 활동과 상호작용으로 문학 공론장을 재구성하며 기술과 사회 변화에 적응하는 문학 플랫폼 모델로서 문학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있다. The literary and art paper ecosystem is a system in which creators, critics, and readers and publishers form relationships around literary magazines and interact through literary works and discourse. This paper studies the attributes, activity features, patterns and models of independent literary magazin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literary magazines have the identity of literary communities and literary magazines as subcultures of convening groups. Second,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literary and publishing capital-based literary magazines, it acts as an operation centered on creators and readers, and is original in the mode of capital, planning, cre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rd, they are active in adapting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environments, including communication through webzines and social media, and expanding their own contacts through genre and media convergence. Fourth, independent literary magazin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ommunity and literary magazine identity, creators and independent of publishing capital. readership, capital, planning, creative produc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yle, and adaptability to technological change, and operate with spontaneous activities of various participants, thus activating the literary ecosystem as a model of active literary platform for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 KCI등재

        뉴미디어 전자책 인터페이스 모델 연구

        조정미(Cho Jung Mi),공병훈(Kong Byoung Hun)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1

        이 연구는 5개 스마트폰 전자책 소프트웨어에서 전자책이 어떻게 보여지고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핌으로써 그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책의 디지털 재현을 목적으로 한 전자책이 종이책의 인터페이스인 슬라이드 화면전환 방식을 적용하여 편집된 이미지가 밀리거나 왜곡되는 한계를 보였으며, 하이퍼링크,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콘텐츠의 고유한 속성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HTML5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성을 살린 웹툰과 웹소설의 사례를 사용성(usablity)과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퍼브3.0과 HTML5의 특성을 반영한 전자책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자책의 기본 화면 전환방식으로 상하 스크롤 방식을 채택하며, 둘째,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시켜 사용자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셋째, 고립된 미디어가 아니라 독자, 저자, 편집자, 출판인이 연결되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unctions are realized in five smartphone ebook software to identify the attribute and limitations of ebook software. The ebook has limitations in that it takes the slide method of the paper book in the page interface and inconvenience of the image processing and the content editing in the screen switching. It shows the limit of not being able to actively utilize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digital content itself, such as hyperlinks, multimedia, and user editing func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webtoons and web novels as examples of content that utilize HTML5 and mobile device characteristics with the perspective of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First, the model adopts the up and down scrolling method as the basic function of the ebook interface. Second, this model leverages diverse multimedia and applications for user engagement and interaction. Third, this model allows the book serve as a community platform to connect readers,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not isolated media.

      • KCI등재

        국내 전자책 플랫폼의 부상 과정과 유형에 관한 연구 : 교보이북, 바로북, 북큐브, 리디북스에 대한 사례연구

        장용호(Yong Ho Chang),공병훈(Byoung Hun Kong)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국내 전자책 플랫폼의 부상 과정과 플랫폼 유형을 교보이북, 바로북, 북큐브, 리디북스에 대한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method)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전자책 플랫폼은 급격한 디지털 기술 변동과 주어진 적합도 지형(fitness landscape)에서의 적응 과정을 통해 부상(浮上)하였다. 국내 전자책 플랫폼의 부상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 요인은 고유한 선택 범주(distinct selection criteria), 자원 풍요도(degree of resource abundance), 개방적 혁신에 기반한 탐색 과정(search process)이다. 이 요인들을 기반으로 국내 플랫폼들은 종분화(種分化, speciation) 과정에서 니치(niche)를 창출하였으며, 초기 조건(initial condition)인 핵심 자원(key resource)에 따라 서점 기반의 교보이북과 커뮤니티 기반의 바로북 그리고 B2B 시장 중심의 북큐브와 모바일 기술 기반의 리디북스로 진화하였다. The study analyzes the emerging process and ensuing typology of the e-book platform in Korean publishing industry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s. The e-book platform is emerging into a variety of the typology after adapting process in the rapid change of digital technological change and in the given fitness landscape. The critical elements in its emerging process are the distinct selection criteria, the degree of resource abundance and the search process based on open innovation. Based on these critical elements, the Korean platforms show speciation process, so called niche creation and their evolutionary process is depending on the initial condition of key resource which makes the platform emerge and grow. Specifically Korean ebook platforms are divided into two types generated by the key resource as the initial conditio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co-evolution. Kyobo e-book and community-based Barobook show the first type, the so called existing resource based model like bookstore-based, whereas, the second type, the Niche Creation Model like B2B-based Bookcube and Mobile technology-based Ridibooks show open resourc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