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김동철(Kim, Dongchul),고혁근(Ko Hyeok Geun),김대건(Kim, Daege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활동적 고령화와 주관적 안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활동적 고령화 변수와 주관적 안녕 변수를 도출하고,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활동적 고령화 변수는 참여, 건강, 안전이며, 주관적 안녕 변수는 앞으로의 근로활동, 앞으로의 생활수준,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이다. 분석 결과 참여, 안전, 건강은 앞으로의 근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참여, 안전은 앞으로의 생활수준(부정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 안전은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담론으로서 활동적 고령화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주관적 안녕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ffects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active aging variable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deduced through theoretic reviews on active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for the effects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tion, health and safety factors were applied as active aging variables, and labor activities, future living standards, and satisfaction of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utilized as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subjective wellbeing from active aging, participation, safety and health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on labor activities, and only participation and safety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on future living standards (negative). For satisfaction on overall quality of life, it was analyzed that only health and safety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Accordingly,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ging is progressing very quickly, the meaning of active aging as a new discourse was examined,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citizens were presented through analysis on the impact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기획논문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공공영역과 행정

        임의영 ( Euy Young Lim ),고혁근 ( Hyeok Geun Ko ),박진효 ( Jin Hyo Park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4 정부학연구 Vol.20 No.3

        행정은 공공성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민주주의에 주목해야 한다. 정치적 의사결정의 방식으로서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토론을 통해 실질적인 의미를 실현할수 있다. 따라서 참여와 토론이 이루어지는 공공영역은 행정이론과 행정적 실천의 핵심주제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학 분야에서는 공공영역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글은 공공영역의 탐구에 학문적 역량을 집중한 한나 아렌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공공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글은 아렌트의 공공영역에 대한 연구전개과정을 소개하고, 공공영역의 정치적, 실존적 의미를 살핀다. 그리고 행정이 공공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규범적으로 논의한다. Publicness is a keyword of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generally focuses on the public sphere in terms of deliberative democracy, and especially on the technical conditions of deliberation.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essential meanings of public sphere, which have not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For this goal, this article relies o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 Firstly, public sphere is a political space which people discuss, compete, and finally reach an agreement. Public sphere as a political space is an associational space and an agonistic space. Secondly, public sphere is an existential space which human beings search for the meanings of life through action and speech. Existential meaning of public sphere is freedom.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some measures which public administration can do in order to realize essential meanings of public 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