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

        고정길(Jung-Kil K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여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8명을 편의표집하여 3개 영역 13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8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관심도를 바탕으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대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프로젝트 학습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했다.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경험이 있는 체육교사는 39.4%에 불과했고, 창작적 요소가 강한 표현영역에 경험이 편중되어 있다고 나타났지만,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성과 강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실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식했다. 이를 위해 직무연수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서 체육교사의 체계적인 수업 계획 및 조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은 실생활과 연계한 학습자 중심의 체육수업 실현에 있어 필요한 학습법이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은 체, 지, 덕의 균형 잡힌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체육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역량 강화를 통한 현장 실천 가능성 확대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project based learning,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which project based learning is appli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8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and a total of 182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was necessar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high awareness and interest in project based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was recognized and expectations were high. Seco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large impa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ly 39.4% of PE teachers had experience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PE class, and although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wa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expression with strong creative elements, they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and strength of project learning.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realization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sufficiently possible. For this purpose,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lan lessons and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project based learning is a learning method necessary for realizing learn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linked to real life. Seco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ying project based learningcan realize a balanced holistic education of bod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Thir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he field should be expanded by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project based learning.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여학생 체육활성화를 위한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고정길(Koh, Jung-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이 연구는 여학생의 적극적인 스포츠 참여를 위한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여학생들의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고, 신체활동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로 제안한 ADDIE 모형에 기초해 문헌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효과 탐색을 위해서는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체육교사 3명과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여학생 체육활성화를 위한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은 전인성, 다양성, 지속성, 자율성을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삼고 체제를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하였다.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해 여학생들은 스포츠의 다양한 활동 자체가 주는 행복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성을 고려한 협력하고 존중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참여 가능성과, 삶의 지혜인 라이프스킬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이 여학생들의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육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whole sports program for femal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sports, to revitalize female students physical activity,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that physical activity is oriented toward. Method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review based on the ADDIE model proposed as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8 female students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Results The whole sports program for revitalizing female students physical education made holistic character, diversity, continuity, and autonomy as the basic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constructed a system and applied it to the field. Through the whole sports program, female students were able to discover the happiness of various sports activities themselv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sports program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ooperation and respect, and that life skills, the wisdom of life, can be improv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a whole sports program can activate female students physical activity and realize education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