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커톤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팀 문화의 매개효과 검증

        고일권(IlKwon Ko),남정민(Jungmin Na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17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1 No.1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논의된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의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로 복잡한 문제를 푸는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력, 사람관리, 협업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의 영향은 산업 전 분야에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래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팀을 구성하는 팀빌딩에 적합한 교육 모델인 해커톤이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다. 해커톤은 대학,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기업에서도 사내의 아이디어를 활성화하는 팀 단위 교육프로그램으로 개최하고 있다. 해커톤은 팀워크, 협업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팀 단위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2014년, 2015년, 2017년 3년간 ‘단국대집현전해커톤’ 참여자에 대한 설문과 참여자 및 멘토들과 인터뷰를 통해 해커톤 프로그램의 창업팀 몰입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정량적 연구결과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과 팀 몰입의 관계에서 팀 문화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커톤 프로그램 참여자 및 멘토들과 온·오프라인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팀장의 리더십 및 팀 문화는 창업에 대한 인식과 향후 팀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커톤의 교육 효과성은 팀장의 리더십과 팀 문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On World Economic Forum 2016, it was agreed that certain capabilities, such a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ooperation, are vital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volution has made various impacts on most of industries. To keep pace with the tide, a number of training methods has been introduced to develop the attributes required. The most popular method is Hackatho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most suitable model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teammates. Hackathon is a training method for solving problems by working as a team and collaborating with teammates a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group training programs not only at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at firms in IT and automobile industries. This study confirmed enhancing effect of team-based training on concentration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conducted in 2014, 2015, 2017) with participants who has joined DanKuk University Jiphyeonjeon Hackathon program.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attitude of leader is beneficial to concentration, and that team culture has meditation effect when combined altogether. In addition,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lso prov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leader’s attitude and the culture on team members’ view on establishing a new business and team’s cohes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leadership and team culture determines how effective the training program is can be. The study suggests direction to future training programs for business start-ups.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기업가적 지향성과 시장점유율간의 실증 분석 - R&D 역량, BSC 미래가치 창출의 매개효과 -

        고일권(Il-Kwon Ko),남정민(Jung-Min Na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기업가정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지만 실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성과 측정이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 적용 가능한 기업가적 지향성과 R&D 역량, 시장점유율, BSC 미래가치 창출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이하 HCCP)’중 최근의 7차연도(2017) 데이터를 SmartPLS3.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으로 요인분석과 가설 검증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은 R&D 역량과 BSC의 미래가치 창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기업가적 지향성은 R&D 역량을 매개로 시장점유율의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기업가적 지향성과 시장점유율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BSC의 미래가치 창출도 기업가적 지향성과 시장점유율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통해 R&D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기존에 성과관리의 측정 도구로 사용된 BSC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시장점유율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혁신을 지향하는 미래의 기업들은 기업 수준의 기업가 정신을 측정하고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Discussions on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 but the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small to mid-sized businesses and venture firms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on measuring achievement and application is lack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actual proof on the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D capabilities, market share, and the creation of BSC future values that can be empirically applied to small to mid-sized businesses and venture firms. A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SEM model utilizing SmartPLS 3.0 on the recent 7th year (2017)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actual proof analysis reveale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reates a positive influence on R&D capabilities and the creation of BSC, and also on market share, with R&D capabilities as a parameter.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 share proved to b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uture value creation of BSC also coul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 shar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proven that a company must cultivate its personnel’s R&D capabilities with thei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urthermore, it is a significant fact that BSC, the conventional measuring tool for performance management, coul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 share. Future companies aiming at innovation should consider developing a new index that could measure the corporate-level entrepreneurship and conduct performance management.

      • KCI등재

        혁신 클러스터의 창업 지원 정책과 스타트업 성과와의 관계

        고일권(Il-kwon Ko)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5

        본 연구는 경로 의존론(Path Dependence Theory)에 근거한 지역 혁신 체계론과 마이클 포터의 클러스터 공간 이론에 기반을 둔다. 경로 의존론은 혁신 클러스터의 원거리에서는 연결하기 어려운 특별한 접근성, 관계성, 더 나은 정보, 강력한 인센티브, 그리고 생산성 향상의 이점을 설명해 준다(David, 1985; Arthur, 1989, Porter, 1998). 따라서 공간의 집중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가 생성되면서 기업의 전문화, 기업 간 의사소통의 활성화, 인적자원과 지원 기관 등과 같은 ‘생산 요소의 공유’를 통해 외부경제(External economies)가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소규모 혁신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실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천 송도 클러스터에서 활동하는 스타트업 대표 23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지원 정책과 클러스터의 집적 효과가 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클러스터의 투자, 사업화, 기술 활성화의 지원체계가 조직 구성원 역량과 기술 개발 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했으나, 공공 프로그램 정책, 자금 및 투자 정책이 조직 역량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실증하지 못했다. 이는 스타트업의 특성상 성장기 스타트업에게 역량이 곧바로 회사의 수익성을 담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짧은 기간에 매출이나 직원의 채용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반면 공공 프로그램 정책의 기술 개발 역량과 수익성과, 기술 개발 정책의 기술 개발 역량과 수익성의 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현재 교육이나 멘토링 등의 기업 기업의 비즈니스 애로사항 해결의 프로그램보다는 기술 개발 역량에 초점을 둔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혁신 클러스터 정책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기술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시의적절하게 준비되어야만 스타트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based on Path Dependence Theory and Michael Porter's Cluster Space Theory. Path Dependence Theory explains that innovation clusters benefit from special access, relationships, better information, stronger incentives, and productivity gains that are difficult to connect at a distance (David, 1985; Arthur, 1989, Porter, 1998). Thus, the creation of clusters based on spatial concentration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external economies through the specialisation of firms, the enhancement of inter-firm communication, and the 'sharing of factors of production' such as human resources and support institutions.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 a small-scale innovation cluster, this study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existing support policies and cluster agglome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using 230 representatives of startups operating in the Songdo cluster in Inche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luster's support system for investment, commercialisation and technology activation positively affects organisational member capabiliti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ies, but it fail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public programme policies, funding and investment policies on firm profitability through organisational capabilities.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start-ups, organisational capabilities do not immediately translate into firm profitability. Typical commercialisation support programmes often expect sales or hiring of employee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aspect needs to be further examined.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development capacity and profitability of public programme polici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capacity and profitability of technology development polic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ir effectivenes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y development that focuses on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ies rather than programmes that address the business pain points of entrepreneurs, such as training and mentoring. Therefore, innovation cluster policies should be conducted from a more long-term perspective, and only if policies for technology revitalisation are prepared in a timely manner will it be possible to achieve the goal of economic growth through startup revitalisation.

      • KCI등재

        AHP 기법에 의한 인천시 창업 클러스터 활성화 요인 분석

        고일권(Ko, Il-Kwon)최병조(Choi, Byung-Jo),남정민(Nam, Jung-Min)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2

        인천시는 타 시도에 비해 부족한 창업 인프라로 인해 벤처기업 육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벤처기업 육성 및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정책적 시도를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파크 조성 사업’에 제안하여 선정되었다. 스타트업파크는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혁신클러스터 앵커 기관으로 공공과 민간 운영사가 합작하여, 창업자를 위한 공간, 투자, 네트워킹 그리고 산학연관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창업 클러스터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와 타 시도의 클러스터 발전 정책을 벤치마킹하여 시행 초기에 안착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창업자, 기관 담당자, 창업 전문가 3개 집단에 대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을 통해 정책 우선 순위를 제언하였으며,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1:1 인터뷰 내용을 정리하였다. 통합적 연구를 통해 창업 생태계의 필요한 부분에 대해 고찰하고, 창업자들이 지속적으로 경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정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AHP분석 결과 1차 상위 요인에서 제도적 요인(0.38404), 물리적 요인(0.3749), 사회적 요인(0.241902)의 순서로 제도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2차 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도 순위는 자금지원(0.192779), 창업 사업화 지원(0.133109), 창업지원 기관(0.09735)의 순으로 다른 하위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제시되었다. 창업기업 대표 및 전문가 6인에 대한 1:1인터뷰에서도 자금 지원은 창업자, 전문가에 의해 필요성이 언급되었으며, 네트워크, 판로개척, 인력 채용에 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 통합적 연구 결과 인천 창업 생태계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VC, 엔젤투자 등의 자금 지원과 제도적 요인 중의 사업화 프로그램, 창업 지원기관 확대, 창업자 네트워크 등이 상대적 우선순위로 필요성이 인정되었으며, 인적 자원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인천시 창업 생태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공공 및 민간 투자의 균형적 발전, 산학관 주체들의 활발한 정책적 지원 및 네트워크 강화 그리고 부족한 인력의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City of Incheon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ostering venture businesses due to the lack of infrastructure for startups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As a result, the city is making various policy attempts to foster venture businesses and to revitalize the startup ecosystem. One of such attempts was submitting a proposal for the “Startup Park Project” to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ultimately getting selected to execute the project. A collaboration of public and private operators, Startup Park is an innovative cluster anchor institution that aims to revitalize the startup ecosystem. It currently offers space, investment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for startups and carries out various industry-university research projects. At this time, we would like to propose various measures for Startup Park to be positioned successfully in its early implementation stages by reviewing domestic and global research on startup clusters and benchmarking cluster development policies of other cities and provinces. This study proposes policy priorities based on the AHP survey conducted among three groups: startup founders, managers at institutions and startup experts. 1-on-1 interviews were also detailed and organized in order to reflect real opinions of people in the field. We also contemplated what kind of elements are necessary in the startup ecosystem based on integrated research, and we derived various policy priorities to enable startup founders to continue running their businesses in a sustainabl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