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id Sludge로 오염된 토양의 열탈착 공법 적용

        박상민 ( Sang-min Park ),전필용 ( Pil-yong Jeon ),신수연 ( Su-yeon Shin ),박응렬 ( Eung-ryeol Park ),고성환 ( Sung-hwan Go ),정홍배 ( Hong-bae Jung ),백기태 ( Ki-tae Bae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Acid sludge 폐기물 매립에 의한 탄화수소로 오염된 인도네시아 정유플랜트 부지 토양을 대상으로 초기특성분석 및 열중량 분석(TGA-DSC)을 통해 열탈착 공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당부지의 오염물질 성분은 GC/FID 분석을 통해 고체성분의 paraffin (C<sub>18</sub>H<sub>38</sub>~C<sub>37</sub>H<sub>76</sub>) wax계열로 확인되었다. 열중량 분석을 통해 질량변화가 가장 많은 구간은 364~461℃사이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이 온도 구간에서 대부분의 유기물이 제거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약 400℃에서 가장 높은 DSC그래프가 나타났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류오염물질들은 400℃에서 제거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열탈착 실험을 한 결과, 오염토양의 최적 열탈착 온도 조건은 약 350℃로 나타났으며 이 온도에서 TPH 농도는 인도네시아 환경기준 이하로 제거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thermal desorption of the soil contaminated with hydrocarbon in refinery site, Indonesia, which was contaminated by landfilling acid sludg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soil was confirmed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alysis were carried out. Contaminant was confirmed as paraffin (C<sub>18</sub>H<sub>38</sub>~C<sub>37</sub>H<sub>76</sub>) wax. In the results of TGA-DSC, the most of the organic matter was removed at 364~461℃ and the most contaminants was desorbed at 400℃.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condition of thermal desorption was expected to 350℃ and hydrocarbons in the soil was removed under Indonesia standard in the temperature range

      • KCI등재

        Cosolvent에 의한 토양 내 Benzene-NAPL 세정 연구

        송충현,정승우,이병진,고성환,Song, Chung-Hyun,Jeong, Seung-Woo,Lee, Byung-Jin,Go, Sung-Hwa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8 지하수토양환경 Vol.13 No.3

        토양공극에 위치한 벤젠-NAPL(Non-Aqueous Phase Liquid)에 대한 cosolvent 세정기술을 연구하였다. 토양칼럼을 이용하여 cosolvent 내 알코올 특성 및 농도 변화에 따른 NAPL 제거 변화를 실험하였다. NAPL에 흡수되어 부피를 증가시키는 NAPL swelling 알코올(1-프로판올, TBA)과 Non-swelling 알코올(에탄올) 특성에 따른 NAPL 제거 효과를 평가한 결과, 에탄올 cosolvent의 NAPL 제거 메커니즘은 용해이며, swelling 알코올의 주요 NAPL 제거 메커니즘은 이동임이 확인되었다. 토양 내 NAPL 제거에 있어 용해보다는 NAPL 이동에 의한 제거가 훨씬 효과적이었다. 알코올 농도 변화 실험에서, cosolvent 내 알코올 함유량이 40% 이상 되어야 토양 내 NAPL의 이동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moval of nonaqueous phase liquid present in the soil column by using cosolvent floods was investigated. The first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moval mechanism of cosolvent flooding for benzene-NAPL.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lchohol partitioning type (NAPL swelling and non-swelling) and concentration on NAPL removal efficiency from the soil column. The main NAPL removal mechanism of swelling alcohol was mobilization, while that of non-swelling alcohol was NAPL dissolution. The NAPL removal efficiency of swelling alcohol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non-swelling alcohol. Removal of Benzene NAPL entrapped in the soil would be effective under the cosolvent flood condition of alcohol content greater than 40% in volu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