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방분권에 관한 비교헌법적 분석

        고문현(Koh, Moon-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지방자치의 관념은 역사적.경험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각국의 정치적 전통이나 국가사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헌법상 지방자치의 보장규정도 나라마다 동일하지 않다. 본 논문은 지방분권에 관한 주요 국가의 헌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지방분권과 관련된 우리나라 헌법개정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 지방분권의 의의를 살펴보고, 제3장에서 세계 주요 각국 지방자치관련 헌법 조항을 측정 지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분석한 한 결과 우리나라 헌법이 11개국 중 최하위로서 첫째 현행 헌법이 전문과 부칙을 제외한 조항 수가 130개인데 이 중에서 지방자치와 직접 관련된 규정이 제117조와 제118조 2개에 불과할 정도로 지방자치 관련 조항 자체가 빈약하여 비교 헌법적으로는 물론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의 현대적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지방자치권의 내용과 범위를 밝혀내기에는 지나치게 단순하며 추상적이고, 둘째, 비교 대상 국가들에 비해 법률에 위임한 규정이 많아 지방자치 보호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제4장에서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헌법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즉, 첫째, 헌법 전문(前文)에 국가경영의 기본 방향이라 할 수 있는 지방분권의 이념과 국토균형발전을 명확하게 천명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총강부분에 제1조 제3항을 신설하여 국가이념으로서 지방분권을 규정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권한에 있어 보충성의 원칙 및 자기책임성의 보장 등의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를 법률에 위임하지 아니하고 헌법에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를 명시하여 지방행정체제에 관한 중층제․단층제 논란이 심화될 소지를 불식시키고 정당성과 영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를 명시함으로써 현재 여러 분야에서 법률로써 예외적 적용을 받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헌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의 기본적 구성과 운영에 관한 기본조례를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할 수 있는 헌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고권의 보장을 단순히 입법정책적 차원의 문제로 넘기기 보다는 헌법에서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과세자주권을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 보장을 위한 제소권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지방자치의 본질적 특성으로서의 민주적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의 구성 과정에서 주민대표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아홉째, 국가의 주민참여 보장의무를 헌법에 두면서, 구체적인 주민참여의 수단과 방법은 지방자치법 등 법률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The notion of local self-government has been historically and empirically formulated according to situation of each country. Therefore, each country provides constitutional article for local self-government in a different way. This essay aims to find a way to constitutional revision by comparative constitutional analysis of 11 major countries on local decentralization. To this aim, this essay covers meaning of local decentralization in chapter 2, and then analyzes constitutional article on local decentralization of 11 major countries in chapter 3. As a result, Korea is the very last country in that Korea provides only two articles for local self-government in Korean constitution. Into the bargain, the Korean constitutional text of the local self-government-related articles is too simple and abstract. Accordingly, they provide few directions for lawmaker. And the local self-government-related articles delegate to law too much. As a result, the legislature has too much discretion. Some implications for constitutional revision in order to strengthen local self-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are presented in chapter 4 of this essay.

      • KCI등재

        주민소환제에 관한 소고

        高文炫(Koh Moon 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土地公法硏究 Vol.30 No.-

          We have faced unprecedented and abrupt changes since adoption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1. There have been made a lot of evaluation on good effect and negative result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Most of them are positive but some of them are negative because we have suffered negative effect such as representative"s abuse of power and wrongs. There are various kinds of devices to get rid of the limits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in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Among them, recall is a good guarantee for inspecting and controlling malpractice of residents" representative. In this paper, this writer tried to make a very precise and actual recall model for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Especially, a special law named so-called chejudo special law was made recently. It is noteworthy that this law provides recall of governor and local congressman for the first time. This writer basically agree with the effect of this provision, but this writer hope that some of this provision such as period of exercise should be amended sooner or later in order to control governor and local congressman more effectively. This writer hope that recall system should be adopted in the local self-governing law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인도불가촉천민 여성환경운동가 킨크리 데비(Kinkri Devi)의 환경보호

        고문현(Koh Moon-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0 No.-

        Indian Woman Environmentalist Kinkri Devi was an illiterate and impoverished woman who had waged a long and at least partly successful fight against illegal mining and quarrying in the mountainous northern Indian state of Himachal Pradesh. Ms. Devi was born into a poor Dalit, or untouchable, family in the village of Ghaton in 1925. Her father was a subsistence farmer. That she came from a low caste made her struggle against powerful and politically connected mining interests all the more remarkable. With no hope of an education, she began working as a servant in early childhood and, at 14, married Shamu Ram, a bonded laborer. He died of typhoid when she was just 22, and she was forced to become a sweeper. Over the years, she watched the world around her change for the worse. Uncontrolled quarrying by indiscriminate grant of mining lease despoiled the fabled hills in many parts of Himachal Pradesh, harming the water supply and destroying once-rich paddy fields. Seeing the damage in her own district, she vowed to take on the mining interests. Backed by People"s Action for People in Need, a local volunteer group, Ms. Devi filed a public interest lawsuit in the Himachal Pradesh High Court in 1987 against 48 mine owners, accusing them of reckless limestone quarrying. The quarry owners dismissed her campaign, saying she was only trying to blackmail them. After a long period with no response to her suit, she headed for Shimla, the state capital and staged a 19-day hunger strike outside the court until it agreed to take up the issue. The strike won Ms. Devi national and international headlines. In 1987, the High Court not only ordered a stay on mining but also imposed a blanket ban on blasting in the hills. Faced with the prospect of closing their operations, her opponents threatened to kill her, but she continued to fight. The mine owners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of India, which ruled against them in July 1995, adding to Ms. Devi"s renown. The same year, still working as a sweeper, she was invited to attend the International Women"s Conference in Beijing because of the keen interest taken in her by Hillary Rodham Clinton, then the first lady. A private organization sponsored her trip to China, where Mrs. Clinton asked her to light the lamp at the inaugural function. She spoke to thunderous applause about how the enchanting Himalayas were being degraded by illegal limestone quarrying and how it was up to ordinary people like her to save the environment. Ms. Devi could neither read nor write and learned to sign her name in Hindi just a few years ago. But this handicap could never dampen her spirit to protect the area from degradation. Instead, she started a campaign to open a college in Sangrah, the village where she spent most of her life. Though her village has a school, those who want to study further have to travel 65 kilometres to Nahan, where the nearest college is located. ""It wasn"t in my destiny to study,"" she said, ""but I don"t want others to suffer the way I did for want of education."" Even today her will to environment reminds Indian People of realization of Constitution of India Article 51A(g).

      • KCI등재

        사면권 행사의 실태분석을 통한 사면권 통제방안

        고문현(Koh Moon-Hyu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2

        이명박 정부이전의 우리나라 역대 사면의 실태를 보면 국민화합형, 과거청산형, 폭정은폐형, 끼워넣기형, 자기사면형, 헌정파괴형 등의 유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바, 종래 권위주의 정권하에서는 폭정은폐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가 최근에는 끼워넣기형과 자기사면형이 남용되고 있다. 특히, 국민화합형 사면의 범주에 포함되는 교통법규 위반자 사면조치의 대부분(74.7%)이 생계형 운전자가 아니라 비사업용운전자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인기영합적인 정책이어서 문제이다. 이러한 사면권의 자의적인 남용에 대한 비판으로 사면권의 적정성을 심사하기 위하여 2007년 12월에 사면법을 개정하여 사면심사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한 것은 바람직하나 사면심사위원회의 구성에서 외부 심사위원을 ‘4인’ 이상으로 규정하여 과반수미만이 될 수 있는 소지를 부여하였는바, 실제로도 외부 심사위원을 4인으로 위촉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통제를 하지 못하고 있다. 더 나아가 2009년 12월 국익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헌정사상 처음으로 이건희회장 1인을 위한 사면을 단행할 정도로 더 남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이 특별사면을 남용하지 못하도록 특별사면시에도 국회의 동의를 얻게 하고, 탄핵을 받은 경우에 사면에서 제외하며, 국민들의 지탄을 받는 사람이 사면을 받은 직후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된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이러한 사람에 국한하여 ‘국민소환제’를 도입하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우리헌법은 경성헌법이어서 헌법개정이 매우 어려우므로 보다 더 용이한 사면권행사의 통제방법으로 사면법을 다시 개정하여 사면심사위원회의 외부 심사위원의 비중을 현재의 4인 이상에서 5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로 법원의 판결이 바뀌는 것이므로 위원회의 공무원인 위원 중 1인 내지 2인은 대법원장이 추천하는 법관으로 위촉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사면심사위원회 심사위원의 명부는 물론이고 심의서와 회의록도 즉시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사면권의 행사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대통령의 사면권행사에 대한 견제장치의 일환으로 헌정질서파괴범, 반인륜범, 권력형 부정부패사범 등을 포함하는 ‘사면대상배제조항’, 대통령 측근과 관련되는 자기사면형 사면의 금지조항, 최소한 형기의 2분의 1이상이 경과하여야만 사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면기간의 제한조항’, 사면에 있어서 ‘삼진아웃제’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 하겠다. 사면제도는 법치주의에 대한 중대한 제한이므로 위와 같은 사면권 행사에 대한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에 대한 절제 및 국민들의 사면권 남용에 대한 비판적 감시 등이 합력하여야만 대한민국이 사면공화국이 되지 않을 것이다. We can classify presidential pardoning power which had been exercised before Lee Myung-Bak government into six types by way of looking back real state analysis on exercise of presidential pardoning power. Six types of presidential pardoning power are national reconciliation type, liquidation type, tyranny concealment type, embedding type, self-interested type and constitutional government destruction type. Formerly, tyranny concealment type had taken up the largest part of six types of presidential pardoning power. Recently, however, abuses of embedding type and self-interested type are major problems. The situation becomes more serious in that most of those who violate the traffic laws are included in national reconciliation type, are non-business drivers. This is typical populism. It is desirable that pardon committee is established to review appropriateness of pardon as a result of abuse of pardoning power at the time of revision of pardoning power law in Dec. 2007. But it is a problem that external examiners who are not public officials shall be more than four. In this case, pardon committee can be composed of only four external examiners. Actually, pardon committee was composed of only four external examiners for the last two years and it did not control arbitrary abuse of pardoning power effectively at all.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o be revised that the Minister of Justice should appoint more than five external examiners as deliberating pardon committee members to guarantee fairness and neutrality of pardoning power. Into the bargain, pardoning power is more abused only for president of Samsung Group Lee Geun_Hee for the first time in our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refore, this kind of pardoning power should be prohibited in the existing pardoning law. Abuse of pardoning power, especially abuse of special pardoning power can demolish the basis of rule of law which is a key part of the constitutionalism. In the end, special pardoning power should be granted strictly to such compelling cases as a conscientious prisoner and a livelihood prisoner with sincere repentance for what he or she has done. It is necessary to revise Constitutional Law like this. President shall get consent from National Assembly in granting special pardoning power. President shall have power to grant pardons, except in cases of impeachment.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National recalling system to severely criticized politician. And then, it is necessary to revise pardoning power law as follows. it is recommended to be revised that the Minister of Justice should appoint at least one judge or two judges among public officials who compose of pardon committee. One judge or two judges shall be appointed on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s recommendation. List, deliberating paper and minutes of pardon committee shall be immediately released. New provisions such as ‘pardon exclusion article’, ‘ban on self-interested pardon’ article and ‘three strikeout article’ etc., shall be made so as to control arbitrary abuse of presidential pardoning power.

      • KCI등재

        CCS 환경관리에 대한 입법 동향 연구

        고문현(Koh Moon Hyun),유태신(You Tai Shi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6 No.-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규모는 연간 8억 8천만 톤으로 전 세계 7위를 차지하며 매년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 감축 문제가 인류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숙명적 과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미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CCS를 기존 유전사업, 자원사업 등의 연계선상에서 연구 및 실증 사업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중국과 일본 등도 기술종속국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하여 CCS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대책마련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는 아직까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먼저 CCS의 개념과 기술에 대한 개관, 해외주요국의 CCS 입법례 순으로 살펴본 후에 우리나라 CCS에 관련된 법률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입법 방향 및 입법안의 골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요컨대, 개별법을 개정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CCS의 포집, 수송, 저장이라는 전 과정의 측면에서 볼 때 현존하는 개별법의 개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통합된 CCS 단일법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CS 연구 및 개발의 성공적 연착륙을 위하여 국민들 사이에 대중소통을 구축하는 것 또한 대단히 필요하다. The amount of South Korean greenhouse gas emission is approximately 880 million tons a year as it ranks 7<SUP>th</SUP> in the world, and its annual rate of increase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average temperature of South Korea has risen about 1.7℃ resulting in damages by typical climate change, such as flood, drought, and ecosystem change. At this point, it is a fateful challenge of a country to reduce large scale of CO2 emission for human life. the largest task. To this end,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other CCS advanced countries proceed research and demonstration projects in connection with an existing oil industry, and resources industry. Therefore, China and Japan make bold investments to CCS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not to be a failure in technology competition. Korean government also makes every effort to prepare for measures by formulating a ‘national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plan on CCS’ but legislation to support these policies is not made yet. In this paper, bearing these problems in mind, this writer firstly give an overview of concept and technique of CCS and then legislative examples of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Canada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In the end, this writer tries to examine Korean individual laws on CCS and then suggest direction of desirable legal framework on CCS and gist of CCS bill. In short, it is a solution to amend individual laws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individual laws that need an amendment. But there is limitation in amending existing individual laws in aspect of life cycle management of CCS.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prepare for CCS unified single law. It is also very necessary to construct public understanding among people for successful soft landing of CCS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환경보호조항의 헌법적 수용

        고문현(Koh, Moon-Hyun),안태용(Ahn, Tae-yo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論叢 Vol.34 No.-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보호는 현대 국가의 숙명적 과제이다. 전지구적 관심사인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세계의 헌법역사를 볼 때 환경보호에 대한 논의가 시작하던 시기에 헌법에 직접적으로 환경보호를 기본권 조항의 형태로 명문화했던 국가는 스페인, 우리나라 등 많지 않았다. 대다수 국가는 헌법에 환경보호를 기본권조항의 형태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이제는 국제적으로도 환경문제가 중요 의제인 만큼 이를 위한 헌법상의 논의와 본질적인 질문이 다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보호의 헌법적 수용을 논의할 때, 국가목표조항으로서의 환경보호 조항과 기본권조항으로서의 환경보호 조항 중 어느 형태가 환경보호라는 목적달성에 유리하게 작동하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양 조항을 비교분석하였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헌법조항에 반영되었다는 공통점이 보이면서도 그것이 국가목표조항으로 규정되었는지 기본권조항으로 규정되었는지에 따라 국가행위의 방향과 의무, 조항의 규범력, 국민의 소구가능성 유무가 달라지므로 양자는 구별의 실익이 있다. 그래서 독일에서도 헌법상 환경보호 조항을 어떤 형식으로 규정할 것인지를 놓고 20여년 이상 첨예하게 논쟁을 벌인 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목표조항과 기본권조항의 일반적 성질을 분석하고 비교해 본 후 어떤 형태를 어떤 기준으로 헌법에 수용하는 것이 환경보호라는 목적달성에 적합할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국가목표조항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목표와 방향을 특정하여 국가의 구체적 행위를 의무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독일 기본법 제20a조는 “국가는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으로서, 헌법 질서의 범위 내에서 입법에 의하여 그리고 법률과 법의 척도에 따라 집행권과 사법권에 의하여 자연적 생활기반과 동물을 보호한다.” 라고 규정하는데, 이 조항은 국가가 자연적 생활기반과 동물을 보호하는 행위, 곧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구체적 행위를 하도록 적극적인 의무를 부여한다. 기본권조항의 핵심은 국민의 소구가능성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헌법 제3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라고 하여 국민의 기본권으로서 환경권을 규정하는데, 이 경우 환경권 침해를 구제받기위해 소송으로 다툴 수 있게 된다. 국가마다 정치 · 사회적 상황이 다르고 헌법의 규범력도 다르다. 따라서 모든 국가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형식은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환경헌법 조항의 수용방법의 각 특징과 파급효과에 관한 일반적인 논점은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경보호를 위한 헌법의 특정한 형태의 결정과 개정에 관한 논의가 중요한 의제로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rotection of environment is a fateful task of modern state in order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CCS) technique is in the world limelight as one of important means for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Reviewing history of constitutions of the world, there were few cases including Spain and Republic of Korea in which environmental protection was provided as a form of fundamental right in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look into type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constitution. We tried to analyze which type is more suitable between article of goal of state and article of fundamental right in this essay. Common interests at the environmental issue were reflected in constitutional articles but there is practical necessity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articles because direc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ctions, normative power of an article. That’s why much discussions were made in Germany surrounding typ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rticle in constitution for more than 20 years. We compared general natures of article of fundamental right and article of goal of state and then analyzed which type is more appropriate to achieve conservation of environment without hampering normative power of Constitution. An article of goal of state is focused on obliging specific action of state with specifying the directions and goals that state should pursue. For example, in German Basic Law, Article 20a states that “The state, also in its respon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protects the natural foundations of life and the animals in the framework of the constitutional order, by legislation and, according to law and justice, by executive and judiciary.” and grants the active duty of the state to do concrete actions in order to protect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 protection of rights is essential point of article of the fundamental basic right. For example, article 35 in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states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The State and all citizens shall endeavor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all citizens can raise a lawsuit against the state in case of viol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The article 35 (2) states that “The substance of the environmental right shall be determined by Act.” as an abstract sentence, so it can be interpreted that article 35 (2) is considered as an exhortative article rather than a specific obligation that state should conserve environment.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each country are different and normative power of constitution of each country is different also. Therefore, an absolute appraisal standard which can apply to every country might not exist. Systematic study and consistent interest in constitutional environmental article should be made with open minded.

      • KCI등재

        문화헌법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와 헌법개정안

        고문현(Koh, Moon Hyu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3 No.-

        본 논문은 헌법상 문화에 관한 규정, 즉 문화헌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비교헌법적으로 살펴보고 문화헌법개정안을 제시한 것이다. 문화헌법은 국가목표규정, 기본권 규정, 종합 내지 기타 규정 등의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문화기본권에 대한 관심이 과거보다 점증하면서 문화헌법의 개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국가목표규정은 전통문화 또는 민족문화를 강조하는 경우, 문화적 다양성의 보장을 강조하는 경우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내용은 국가마다 전통문화의 진흥과 문화적 다양성의 진흥이라는 측면에서 각 국가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문화에 대하여 기본권의 형태로 규정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것은 근대 입헌주의 헌법에서 등장한 기본권 체계의 영향으로 문화에 관한 규정이 보편적인 헌법사항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문화의 속성상 국가의 문제로 보기보다는 사회의 자율성문제로 보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문화가 인간다운 삶의 핵심적 내용으로 포함되게 되면 국가의 문제로 대두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시각을 지양하고 이에 대비하여 바람직한 문화헌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문화헌법개정방안으로 헌법 전문이나 총강규정에 문화국가원리를 신설하는 방안과 기본권장에 문화권을 별도로 규정하는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on the cultural articles of the Constitution, namely the Cultural Constitution, and it has been examined in a comparative constitution and proposed a revised cultural constitution. The Cultural Constitution is classified into national objectives, basic rights, and general regulations. As economic standards rise and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interest in basic cultural rights is reflected more actively in the revision of the Cultural Constitution. The state goal articles are divided into types such as emphasizing traditional culture or ethnic culture, and emphasizing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 seems to reflec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in terms of promoting traditional culture and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There were relatively few cases where basic rights were prescribed for culture. This is becau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sic rights system that emerged from the Constitution of modern constitutionalism, the articles on culture are not considered universal. Also, this may be because the nature of culture makes people see it as a social issue rather than a national one. As the people`s economic level increases and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in near future, culture can become a national issue if it is included as a core part of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It is high time that we should avoid the traditional view on culture and prepare for a desirable revision proposal of cultural constitution. As a way to revise the Korean Cultural Constitution, the writer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cultural constitutional principle in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an independent provision for the basic rights of culture.

      • KCI등재

        녹색성장의 개념과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고문현(Koh, Moon-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49 No.-

        At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15. 2008, President Lee proclaimed “Low Carbon, Green Growth” as Korea's new national vision. This vision aims to shift the current development paradigm of quantity-oriented, fossil-fuel dependent growth to quality-oriented growth with more emphasis on the us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Using less energy and ensur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Low Carbon, Green Growth” aims to simultaneously pursue three objectives by creating a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1) to promote eco-friendly new growth engines for the national economy, (2)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3)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fight climate change.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the new vision,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09. “The Basic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was passed on Jan. 13th 2010.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concept of green growth and to analyze the Act. The Act is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for the climate change and the promotion law for the new growth power to overcome global economic crisis. The Act will provid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aligning all national and local rules and regulations under the overarching vision of green growth. Besides, the Act requires gradual reduction of the use of fossil fuel fostering green technology and green industry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cope of the Act is quite broad, including the legislations on environment, land, industry, energy and livelihood construction, with the principle of the balance between the land development and environment protection. But there still remain some legal and administrative homeworks to shap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and governmental projects. And it is more desirable that definition of science-technology related term such as greenhouse gas should be delegated to Presidential decree rather than the Act. And there are too many obscure terms such as ‘green’. And it is a pity that there are too many concessions surrounding enactment of the Act without principle and standard. Green growth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industry and people.

      • KCI등재

        독일의 비상사태에 관한 연구

        고문현(Koh, Moon-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4 土地公法硏究 Vol.66 No.-

        바이마르(Weimar)헌법 제48조가 히틀러의 나치 집권을 가능하게 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1949년 5월 30일에 제정된 구서독의 본(Bonn) 기본법에서는 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하여 바이마르헌법 제48조와 같은 대통령 독재를 허용하는 강력한 규정을 두지 않았다. 이 사실로 미루어보아 전후 독일에서 바이마르헌법 제48조에 대한 반성이 얼마나 강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당시 연합국(미, 영, 불)에 의해 점령당한 상태에서 비상상태에 대한 처리권한이 점령군에게 유보되어 있었고 독일인에게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아 그에 관한 헌법규범화는 필요가 없었던 것도 기본법에서 비상사태에 대한 규정을 제외한 이유가 된다. 그런데 우리가 주목할 것은 바이마르헌법 제48조에 대해서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점이다. 즉 바이마르헌법 제48조 제5항을 보면 바이마르헌법은 비상사태에 대한 구체적 대처를 법률에 유보하고 있는데 실정법은 제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비상사태에 대한 실정법 부재가 반드시 바이마르공화국의 붕괴에 직결된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헌법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걷잡을 수 없는 최악의 헌법파괴 즉 국가붕괴의 상태에까지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독일에서는 국가의 비상사태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구제수단이 더욱더 불가결한 수단이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규정한 것은 대단히 의미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1968년 비상사태 헌법을 알아본 뒤, 독일의 기본법에서 나타난 방위상의 헌법원리를 살펴본 후에 비상사태법의 법리로부터 한국의 국가긴급권 및 계엄법에 참조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onsidering historical background that Hitler took power by the article 48 of Weimar Constitutional Law, Bonn Basic Law of 1949 did not provide powerful articles that give president power to dictatorship. We can tell from this that German people regretted the article 48 of Weimar Constitutional Law. It was also held under Allied Army to take an emergency power. Therefore, they don't need constitutionalization on an emergency power. By the way, it is noteworthy that we neglect an important fact on article 48 of Weimar Constitutional Law. That is to say, concrete measure is delegated to a law by article 48 of Weimar Constitutional Law. But a law was not made by the parliament at that time.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conclude that absence of a law on an emergency power brought about destruction of Weimar Republic directly. But it can fall that a state can be destroyed in case of disruption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ly, this kind of provision casts a long shadow to us in that institutional remedial means is indispensible to overcome emergency of a state in post-war Germany. In this article, we examine German Constitutional Law on a state of emergency of 1968 first, and then constitutional principle on defence in Bonn Basic Law, and finally draw some implications from jurisprudence of German Basic Law on a state of emer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