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연발표 : 자동면역염색기의 유용성 평가

        김영혜,심미나,경보호,박지홍,소선기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검사는근래에 들어서 많은 병원들이 수작업(manual)에서 자동면역염색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전환하고 있다. 자동면역염색기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검사는 수작업에 비해 염색 소요시간이 적으며 일정한 조건에서 염색을 할 수가 있어서 면역염색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술적, 기계적, 기타 오류에 의해 염색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본원에서는 자동면역염색기를 이용하면서 발생되었던 오류를 분석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자동면역염색기(ventana의 BenchMarkⓡXT)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 4,190건을 실시하면서 발생된 기술적, 기계적, 기타 오류 등을 정리한 면역조직화학검사 질관리(정도관리) 업무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35개월 동안 자동면역염색기를 이용하면서 기술적 오류, 기계적 오류, 기타 오류로 총 25건이 발생하였다. 오류는 염색감도가 너무 짙거나, 옅은 경우, 위음성 결과, 조직절편 탈락, 조직 절편의 부분적 염색, 기기 작동 불능등이 있었다. 그 원인으로 기술적 오류는 항체 선택 과실, 시약 kit 장착 과실, 프로그램 선택 과실, 장비사용 과실등이 있었으며, 기계적 오류는 barcode 인식 오류, vortex mixer의 잦은 고장, air cylinder 이상, backup error, sensor 이상 등이 있었고, 기타 오류는 조직의 불충분한 고정, coating slide 선택 오류가 있었다. 고찰: 각 항체마다 최적의 조건을 찾아낸 자동면역염색기는 수작업에 비해 높은 재현성, 검사의 표준화, 검사 소요시간 단축, 인력 활용 증가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일련의 장점을 유지하며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면역조직화학검사의 질관리를 실시하여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또한 maintenance를 정기적으로 실시해서 기계적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 구연발표 : Melanoma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있어 AP red kit의 유용성 평가

        박지홍,김영혜,경보호,심미나,진영조,소선기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9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9 No.-

        배 경 Melanoma는 피부의 색깔을 나타내는 세포들이 변화하여 공격적으로 재생할 때 발생하게 되며 주로 melanin세포가 많이 분포된 피부나 점막에 나타나며 전이되기가 쉽다. Skin에는 melanin pigment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표피층에 가까울수록 흑갈색을 띠고 진피층에 가까울수록 적갈색을 띤다. Melanoma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한다. 이때 갈색을 띠는 melanin pigment는 발색제인 DAB에 의한 갈색의 양성반응과 혼동을 일으켜 위양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위양성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melanin pigment bleaching 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지만, 검사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항원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원에서는 melanin pigment bleaching을 실시하지 않고, 붉은색으로 발색되는 AP red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방 법 본원 병리과에서 진단된 melanotic melanoma 5예를 사용하였으며, melanin pigment bleaching 후 염색한 표본과 AP red를 사용하여 발색한 표본을 제작하여 표본의 염색성 및 검사 소요시간을 비교분석 하였다. *Bleaching 방법은 melanin pigment 표백액(H2O2 4ml+ammonia water 4drop)에 36`C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충분히 수세하였다. *면역염색은 Ventana사의 Bench mark® XT를 사용하였다. 결 과 Melanoma진단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DAB로 발색했을 때는 자동염색기(Ventana사의 Bench mark® XT)에 의한 소요시간을 제외하고도 melanin pigment bleaching하는 시간이 추가되어 검사 소요시간이 길어졌다. AP red를 사용했을 때는 melanin pigment bleaching단계가 생략되어 검사 소요시간도 짧아졌고 항원력의 소실도 거의 없었다. 또한 background도 깨끗해서 melanoma에 있어서는 DAB를 사용했을 때보다는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고 찰 현재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발색제로서의 장점 때문에 DAB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melanin pigment와 같은 위양성을 보이는 조직에서는 제약이 받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직에는 AP red를 발색제로 사용하였고 염색성향상과 검사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AP red kit는 DAB kit에 비하여 고가이나 AP red의 특이성을 살려 melanin pigment가 있는 조직에만 국한하지 않고 흑갈색의 particle이 많은 폐조직등에도 사용한다면 검사진행에 있어 효율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 학술논문발표 : 제목: 동결절편 검사에서 brain tissue의 ice artifact 해결방법

        김영혜,심미나,경보호,박지홍,진영조,이다솔,소선기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 경 : 동결절편 검사는 수술실에서 오는 검체를 냉동시켜서 신속하게 표본으로 제작하여 수술 범위 및 치료방침을 결정하고 악성세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동결절편 검사는 20분 이내에 결과보고까지 마쳐야 하는 검사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하려면 업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른다. 여기에는 시간의 제약, 협의부족, freezing artifacts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본원에서 연평균 brain tissue의 동결절편 검사 건수는 30건 내외인데 ice artifact로 인한 진단의 어려움이 종종 있었다. ice artifact는 물이 얼음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어서 검사할 조직의 빠른 급속동결을 위해서 quick frozen spray를 뿌려보기도 하고, mobile heat extractor를 눌러서 얼려보기도 했는데 미비하게 개선이 되었다. 그래서 급속 동결을 할수 있는 초저온수조를 도입하여 검사에 활용하였다. 방 법 : 얼음결정으로 인한 조직상해를 가능한한 줄이기 위해 초저온수조에 들어가는 시약은 isopentane을 사용했으며 isopentane은 액체질소로서 어는점이 -160℃이고 무색의 알코올 냄새가 나는 시약이다. <Isopentane을 이용한 초저온수조에서의 급속동결법> 1) Brain tissue의 동결절편 검사가 접수가 되면 tissue의 물기를 거즈를 이용해 최대한 빠르게 제거한다. 2) Disc 위에 OCT compound를 올리고 물기를 제거한 tissue를 올린 후 그 위에 다시 OCT compound를 올린다. 3) Isopentane이 들어 있는 초저온수조에서 넣고 급속동결 후 박절한다. 결 과 : 뇌종양은 뇌종양을 구성하는 세포에 따라서 신경교종, 뇌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종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원에서 검사한 케이스 중 신경교종에서 악성인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괴사와 혈관내피세포증식, 다형성유사분열, 핵의 울타리모양배열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여야 하며 이 중 괴사와 혈관내피세포증식은 아주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뇌를 둘러싸고 있는 지주막세포(arachoid cell)에서 기원하는 종양인 수막세포 수막종(meningothelial meningioma)은 세포와 세포사이가 뭉쳐있는 syncytium과 사종체(석회화)가 있으면 수막세포수막종으로 확진할 수 있다. 이렇듯 동결절편 검사에서도 위와 같은 종양들의 특징적인 소견들이 보여야 진단이 가능한데 기존 동결방법(-20℃)으로 검사하면 ice artifact로 인해서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세포와 세포 사이가 많이 비어있고,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고 핵이 한쪽으로 밀려나 있어서 각 진단들의 특징적인 소견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그러나 급속동결(-70℃) 방법으로 검사한 케이스에서는 종양들의 특징적인 형태가 잘 보이고 있고, 핵의 모양도 밀려나 있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고 찰 : 초저온수조를 도입하여 급속동결을 이용한 brain tissue의 검사방법은 현재까지 잘 이루어지고 있다. brain tissue 동결절편 검사가 오면 즉시 검사하는 것보다는 조직에 뭍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급속동결을 하는 것이 더 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급속동결 후 박절시 부서지는 현상은 조직 표면을 조금 따뜻하게 한 뒤 박절하면 좋아졌으며, 초저온수조를 도입함으로서 동결절편 검사 시간이 많이 단축되는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조직 동결시 사용하는 시약인 isopentane은 유독성, 휘발성 물질이므로 취급시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 후 사용해야 하며 초저온수조의 설치도 배기장치가 되어있는 곳에 설치하길 권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