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서해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육안판별법과 GSI판별법에 의한 성숙체장 추정

        강희중 ( Heejoong Kang ),마지영 ( Ji Young Ma ),김현지 ( Hyeon Ji Kim ),김한주 ( Han Ju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2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3 No.1

        Determination of the precise size at sexual maturity is very important for science-based stock assessment and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In this study, two different models, (1) a visual method and (2) a gonadosomatic index (GSI) method, were employed to estimate length at sexual maturity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Yellow Sea of Korea. The visual method is a common qualitative method using visual gonadal identification. Conversely, the GSI method is a quantitative method using the GSI, which can be easily and precisely collected. We compared results from these methods to determine the best approach, and to examine the practicality of the GSI method. Logistic regression of the maturity ogive was conduct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GLM) with the R statistics program. Also, the bootstrapped 95% confidence intervals of all estimates were calculated. The best-fit model was the visual method (R<sub>Mc</sub> <sup>2</sup> =0.805, AUC=0.989, L<sub>50</sub>=15.1). Among models using the GSI method, the model computing GSIref=0.94 was the best-fit model (R<sub>Mc</sub> <sup>2</sup> =0.792, AUC=0.989, L<sub>50</sub>=15.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evidencing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GSI method.

      • 공장자동화를 위한 지식처리형 작업계획 시스템 도구의 개발

        강희중(Heejoong Kang),김진형(Jin H. Kim) 한국정보과학회 198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4 No.2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주문으로부터, 임의 주문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문제는 그 문제가 지닌 시간적 복잡도와 실행적 불확실성 때문에 매우 어려운 문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장자동화를 이루기 위해서 컴퓨터에 의한 작업계획 생성 및 제어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계획 전문가시스템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작업계획 전문가시스템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법인 지식처리형 기법으로 지식베이스, 작업계획 문제 해결기(Planner and Scheduler), 추론 기관, 그리고 윈도우와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지식처리형 작업계획 시스템 도구를 개발하여, 모형적 지식처리형 작업계획 시스템을 구현하고, 작업계획 전문가 시스템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