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 개발

        강차선,허희임,정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is a model that parents teach their parents about the contents of sexual education by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They were deployed in a hybrid environment to facilitate such training. The M-M midwives are placed in a hybrid environment where parents can help their children open their minds to guidance of their children, and the techniques of midwifery include the ident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pre-assessment, learning, result evaluation. The contents of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are combined with these procedural steps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hese models can establish strategi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boundaries, and functions in family relationships as well as attitudes related to performance, gender attitudes that reveal individual's sexuality, reliable value to child, an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anifested in a dangerous manner so that personal boundary control can be secur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y of home sex education and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o improve the time efficiency of dual - income families and to resolve the sexual conflicts in adolescence. Moreover,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and reducing the potential attackers and victims of child sexual abuse, which is a social problem, and contributing to the family, the society, and the national interest.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델은 부모가 가르치는 성교육으로서 부모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으로 I-M 산파술을 활용하여 성교육의 콘텐츠 내용으로 교육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이브리드 환경에 배치하였다. I-M 산파술은 하이브리드 환경 안에 배치되어 부모가 자녀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자녀가 자신의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산파술의 기법에는 교육목표확인, 사전평가, 학습, 결과평가의 절차적 단계가 있다. 이에 가정성교육의 내용을 갖고, 이러한 절차적 단계를 접목시켜 하이브리드 가정성교육 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모형은 가족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의 관계, 경계 및 기능,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또한 성과 관련된 마음가짐이나 자세, 개인의 sexuality를 드러내는 자세인 성 태도, 자녀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가치, 그리고 지식 등의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위험에 처한 관계를 나타나게 할 수 있어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으로 개인적 경계 조절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가정 성교육 이론 확립과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맞벌이 가정의 시간 효율성을 높이고, 학령기 아동들이 겪게 되는 사춘기 시기의 성적갈등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성인식 함양으로, 사회문제가 되는 아동성폭력의 잠재적 가해자와 피해자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어 안심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제주지역 중학생의 부모의사소통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강차선,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7 out of 5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coeducational middle school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by employing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and ego resilience sca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go resilience and also between ego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model’s goodness of fit index (GFI) was found to be favorable as χ²(N=417)=94.58(df=32), NFI=.959, RFI=.943, TLI=.961, CFI=.973, RMSEA=.069, and RMR=.0412. Also, concerning the mediating effect, not in the study model but in the competitive model, ego resilience was found to show full mediation in correlation between parent-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p<.001. This implies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does not influence self-directedness directly but indirectly with th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In the end, this research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500명중 83명을 제외한 417명이었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 탄력성 및 자아 탄력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모델 적합도 지수 χ²(N=417)=94.58(df=32), NFI=.959, RFI=.943, TLI=.961, CFI=.973, RMSEA=.069, RMR =.0412로 적합하고, 매개효과는 연구모델보다 경쟁모델이 p<.001에서 자아 탄력성의 부모-의사소통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주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아지고, 높은 자아탄력성은 다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할 수 있게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폭력피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강차선(Kang, Cha-Sun),박정환(Park, Ju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폭력 피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600명 중 408명((남, 127명, 여, 281명)이었으며,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허용도, 성폭력 피해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폭력 피해경험은 성폭력 허용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 념과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성폭력 허용도가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성폭력 허용도였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와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본연구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성폭력 허용도 (29, p=.000)로, 성폭력 허용도에서 성폭력 피해경험(42, p=.000)으로 가는 영향력을 보여줬다. 매개의 효과성에서 간접효과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폭력 피해경험(11, p=.01)에서 나타났고, 직접효과는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성폭력 허용도(28, p=.000)로, 성폭력 허용도에서 성폭력 피해경험(40, p=.000)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으 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성폭력 허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성역 할 고정관념과 성폭력 허용도를 낮추어 성폭력 피해를 감소하게 해야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성평등적 인식이 높을수록 성폭력 허용도가 낮아져 성폭력 피해가 예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administered to 408 (male, 127, female, 281) out of the 600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Jeju with the inventory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in (conjunction with the)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Second, the relationship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es of gender role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giving rise to sexual violence in dating.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quation coefficients and path-mediated effect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of influence in this study, viz. gender role stereotypes to permissiveness (29, p=.000) of sexual violence and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to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42, p=.000),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In an indirect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arameters showed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11, p=.01), direct effects were demonstrated from stereotypes of gender role to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28, p=.000) and from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to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40, p=.000). In the end, this implies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does not influence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directly, but indirectly by mediating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and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need to be reduced, so that sexual violence can be prevented. In other words, a high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ill lower permissiveness of sexual violence and this, in turn, will also prevent sexual violence.

      • KCI등재

        대학생의 성폭력 인식도가 성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강차선(Kang, cha-sun),정민(Jung, Min),염순정(Yoem, Soon-Joung),박정환(Park, Je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폭력 인식도 및 성폭력 피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내 위치한 4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08명이었으며, 성폭력 인식도척도, 성폭력피해경험척도, 성폭력 허용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허용도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과 역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성폭력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허용도와 성폭력 피해는 낮아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으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성폭력 인식도는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고, 성폭력 허용도를 매개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완전매개 모형인 연구모형이 선택되었다. 즉, 성폭력 허용도가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인식도가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성폭력 허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폭력 인식도가 잘 정립될수록 성폭력 허용도가 낮아지고, 결국 낮아진 성폭력 허용도 때문에 성폭력 피해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폭력 인식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 예방교육은 데이트 관계에 있는 남녀 대학생들이 개인의 성폭력 허용도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의 인권적으로 성숙해지고, 정서적으로 적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줌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을 실시하여 일반화 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광범위한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in relation to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sexual assault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 The subjects were 408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Jeju island. Sexual assault awareness measures, sexual violence experience scale, and the scale of sexual violence allowance scale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violence awareness and sexual violence. Also, sexual violence awareness and sexual violence allowance scale showed a considerable nega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sexual assault awareness, the lower the sexual damage and sexual violence allowance scale. Second, after analyzing the division of the subject into research model and competition model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in relationship of the sexual violence awarenes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 it was clear that sexual awaren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xperience of sexual damage. It rather mediated the sexual violence allowance scale. Therefore, the research model, which is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selected. In other words, sexual assault awareness appear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ssault awareness and sexual assault experience. This means that sexual assault perception has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sexual assault allowance rather than a direct effect on the sexual assault experience. Thus, the more well established that sexual assault awareness is, the lower the sexual assault allowance scale. Finally, the lowered sexual assault allowance scale could reduce the sexual assault harm. To improve the sexual assault recognition, a systematic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exual assault prevention education would allow students in dating relationships to become mature in their human rights and maintain the proper emotional relationship and enable a reduction in the harm sexual assault as a result of giving them the consideration. Finally, this study had a limitation in selecting the subjects as the college students living in Jeju.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limitation,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with a sample of generalized and various research subjects.

      • KCI등재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따른 자기효능감

        김정옥(Kim, Jeong-ok),강차선(Kang, cha-sun),박정환(Park, Je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에서부터 만 60세 미만의 성인장애인 총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남성장애인 1명을 2015년 5월에 3회에 걸쳐 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해석에 대한 보충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장애인의 경제활동은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 냈고,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는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영역이 자기효능감 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본 결과에 대해서는 장애인의 경제활동여부와 마찬가지로 자신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 냈고,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영 역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Scheffé 검증한 결과, 업체취업(M=23.48, p<.04)과 강사활동(M=22.06, p<.04)은 미취업 (M=18.93, p<.04)보다 높지만 업체취업과 강사활동의 차이는 밝혀지지 않았다. 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total of 57 adults with disabilities from 60 years old to more than 20 years old residing in Jeju Island in which they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in May 2015. Supplementary data was provided by one of the male adults with disability who acts as a lecturer and helped to improve our awareness of the disabilit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research: First, as regards the effect of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disabled on their self-efficacy, their economic activity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ut does have an effect on their self-confidence. Third, according to the Scheff?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s in the self-efficacy of the disabled depending on their economic activity, employment (M=23.48, p<.04) and lecturer activities (M=22.06, p<.04) (had a greater effect?) than unemployment (M=18.93, p=<.04)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ir employment and lecturer activities was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