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이 폐기능과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일기,윤진호,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남자체육전공 대학생 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 적용 유무 간의 폐기능 검사와 운동 부하검사를 통하여 폐기능(노력성호기량, 최대흡기류속, 최대호기류속, 최대수의적환기량)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최대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율, 분당환기량, 운동지속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유산소성 운동 전에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흉곽심호흡 스트레칭에 따른 결과로는 폐기능에 서 최대흡기류속(p=.046), 최대수의적환기량(p=.008)에서 유의한 증가가, 유산소성 운동능력에서는 호흡교환율 (p=.029), 분당환기량(p=.027), 운동지속시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흉곽심호흡스트레칭이 폐 기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도 의미 있는 단기 처치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 in physical education major. Lung function(FVC, PIF, PEF, MVV)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VO2max, RER, VE, Exercise Duration) were measured by pulmonary function test and Graded exercise testing before and after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program. All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stretching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mproved the result of lung function(PIF(p=.046), MVV(p=.008)) and aerobic capacity(RER(p=.029), VE(p=.027), Endurance Time(p=.001)). Therefore,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s a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improve lung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 KCI등재

        저항성 운동 참여 후 정리운동 방법에 따른 직장인의 수면의 질, 통증 및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일기,오재근,권일수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n efficient cool-down program by compa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ool-down exercise on the sleep quality, pain, and muscle function of office workers after resistance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aerobic exercise group (n=11), a foam roller group (n=12), and a static stretching group (n=10), and then performed lower extremity resistance exercise. After resistance exercise, each of the three cool-down exercises was performed, and sleepiness scale, muscle pain, and muscle function were measured 24 hours lat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leepiness scale after each cool-down exerci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and interaction effects in the pai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periods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and interaction effects in muscle function, only differences between periods (p=<.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ol-down exercise type after resistance exercise was insignificant for female office workers and that participation in the cool-down exercise itself was more meaningful than the type of the cool-down exercise. 본 연구는 저항성 운동 후 각기 다른 형태의 정리운동 참여에 따른 직장인의 수면의 질, 통증 및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정리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30대 사무직 여성 직장인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산소 운동그룹(n=11명), 폼롤러 그룹(n=12),정적 스트레칭 그룹(n=10)으로 무선 배정한 후 하지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 후 세 가지 정리운동을 각각 실시하였고 24시간 후에 졸음척도, 통증, 근기능을 측정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정리운동 후 졸음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통증에서는 집단 및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기 간 차이만 나타났다(p<.05). 근기능에서도 집단 및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기 간 차이만 나타났다.(p=<.01). 결론적으로 사무직 여성을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 참여 후 정리운동 방법에 따른 차이는 미비하며, 정리운동의 형태보다는 정리운동 참여 자체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