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나의 역사와 현황

        강인선(Kang In-sun)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7

        본고에서는 현재 일본에서 쓰이는 문자 가운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상을 다루고 현대 문자생활의 일단을 살펴본다. 한문 훈독의 세계에서 가타카나가 9세기 초에 나타나 11세기에 1음절 1글자로 고정되었고 12세기 초에 현대인도 읽을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히라가나는 9세기 초에 나타나 10세기에는 1음절 1글자가 고정되어 일본어문 표기를 하고 11세기 초에 현행 글자체 대부분이 나타났다. 한자의 보조적 위치에 있던 가타카나가 11세기부터 일본어문을 표기하게 되면서 이후 학술적 연구 사전 등 저술에 쓰이게 되었다. 화가, 설화, 소설, 일기류에 쓰이던 히라가나의 구어적 서민적 특성이, 16세기에는 한자에 히라가나로 발음을 표기하도록 했고 이후 사전의 히라가나본이 나오도록 했다. 한 사람의 저작도 대상에 따라 가타카나를 쓰거나 히라가나를 쓰는 일이 있었다. 19세기 후반 메이지유신 이후 한자 가타카나문이 공식문이 되고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는 문자도 가타카나였다. 그러나 히라가나의 대중성이 확대되어 신문, 소설 등은 히라가나를 많이 쓰게 되었다. 1946년 국어 개혁으로 히라가나 문어체로 법령문, 공문서 등이 작성되고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는 문자는 히라가나가 되었다. 가타카나는 외래어 표기에만 쓰이게 되었다. 21세기 현대 일본인의 문자생활에서 외래어의 홍수는 가타카나의 범람으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가타카나가 가지고 있던 학술적 성격에서 오는 비일상성, 현학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oot of Hiragana, Katakana character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also, it covers how these letters are used today. The Katakana, introduced first at the early 9th century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fixed into one syllable to one letter in the 11th century, later became recognizable to the moderns in the 12th century. The Hiragana, meanwhile, was shown in the 9th century and formed into one syllable to one letter, and the most of present Japanese fonts appeared in the early 11th century. The katakana, utilized only as a subsidiary of Chinese characters before, became commonly used in the academic research, dictionary and such writings from the 11th century. The colloquial popular characteristics of the hiragana being used for Japanese poem, narrative literature, novel, diaries had revealed in the writing pronunciation by a hiragana letter for a kanji in the 16th century and made it possile to publish the hiragana version of the dictionary. Many authors chose the katakana for writing or the hiragana depending on who read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Chinese Katakana Sentence has become the official one and Katakana was the first letter to lear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 popularity of the hiragana has expanded in the newspaper and novels. At last 1946 language reform legislation has made an official documents in hiragana colloquial style written statement and changed the first letter in elementary school to hiragana from katakana. Thus katakana has strictly used only in foreign words and so on. In the 21st Century, a flood of foreign words in the modern life has led to the flooding of the Japanese Katakana. It might be a phenomena revealing the unusualness which comes from the academic, ped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atakan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실시간 축산냄새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 악취포집기 개발

        서일환 ( Il-hwan Seo ),강인선 ( In-sun Ka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도시화로 인하여 축산시설과 거주시설은 점차 가까워지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 및 주거환경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 증대로 인하여 축산냄새로 인한 민원이 지역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축산냄새를 평가하기 위하여 악취공정시험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악취는 굴뚝 배기 등 발생원이 명확하고, 발생 농도가 안정적이나, 축산냄새는 자연환기식 구조 등 배기구가 뚜렷하지 않으며, 풍향, 풍속, 온도, 습도, 대기안정도 등 외부의 환경조건에 크게 좌우되어 포집 및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민원이 발생하는 시기와 포집시기의 차이로 인하여 축산냄새의 확산경향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니터링 장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한 냄새 유발가스의 농도를 바탕으로 악취를 자동 및 무인으로 포집하는 장비를 개발하였다. 통신기술의 개선과 함께 현장 공기를 이용하여 자동세척한 후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포집 시간을 10L를 기준으로 기존의 1∼1.5분에서 10초 내외로 단축하여 순간적인 악취를 포집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하였다. ICT, IoT 기반으로 개발된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는 향후 축산냄새의 관리방향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강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악취평가를 환경조건에 따른 빈도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축산냄새 평가방법은 규제 중심의 관리를 컨설팅 중심의 관리로 전환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 산욕기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영아지각과의 관계

        이영은 ( Young Eun Lee ),강양희 ( Yang Hee Kang ),박혜선 ( Hae Sun Park ),강인선 ( In Sun Kang ) 부모자녀건강학회 2006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tress in postpartum period and perception of infa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04 to October 15, from one women`s hospital and three facilities for taking care of women`s health after delivery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by SPSS/12.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rate, mean, standard deviation, average, the maximum value, the minimum value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1. The degree of stress of subjects was 75.6±38.3(0-376) in average, and .8± .4(0-4) of average point,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infant was -5.8±5.6(15-75) in average and - .4± .4(1-5) of average point. The relationship of degrees between the stress of subject and conception of infants that showed weak reverse relation(r=.210, p=.030). That is, the more the stress of subject was high, the more the perception of infant is relatively indefinite. Conclusion: As a result, The stress of mother in postpartum period was a level to be in need of management and the perception of infant was slightly negative. thus, the introduction of nursing assistance program is necessary to relive the stress of mother in postpartum period to promote the affirmative perception of infant.

      • 延喜式 祝詞의 漢字 索引

        강인선 성공회대학교 1999 성공회대학논총 Vol.- No.13

        여기 소개할 자료는 일본 고대 율령격식의 하나인 延喜式 第八의 祝詞본문과 글자 색인이다. 祝詞 개관과 표기법에 관하여는 필자의 다음 논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강인선(1999), 延喜式 視詞의 用字法에 관한 고찰, 언어의 역사(成百仁敎授 定年退任 紀念論文集), 太學社. 필자가 택한 본문 텍스트는 九條家本 延喜式 第八을 底本으로 한 아오키 기겐(靑木紀元)의 『祝詞』 (東京 櫻楓社,1975) 本文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ㅎㆍㄴ글'(한글과컴퓨터사) 2.1로 전산 입력하고. HGREP.EXE(국립국어연구원)를 이용하여 거기에 쓰인 769字의 11.657용례(大字 8668. 小字 2689. 註釋字 300)에 대한 3어절 길이의 문맥 색인을 작성하였다. 가급적 원문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검색과 이용의 편의를 위해 다음 몇 가지 조정이 있었다. 1. 축사 본문은 제1~7행의 式文과 28편의 祝詞(附 1篇 포함)로 되어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祝00>과 <祝01~28>로 나누어 各篇의 題目行에 표시하고, 색인 용례의 출전 표시 약호로 삼았다. <祝00> 「延喜式 卷第八(神祇八)」〔001〕 「祝詞」〔002〕 <祝01> 「祈年」祭〔008〕 <祝27> 出雲國造神賀詞〔510〕 <祝28> 延喜式 卷第八〔552〕『附』 中臣壽詞〔553〕 2. 본문의 〔001〕~〔590〕은 原文行番이다. 아오키(1975)의 원문은 底本의 행 구분을 유지하면서 그 行次에 연번을 부여하였으나, 본고에서는 행구분 없이 行末 위치에 연번만을 남기고, 그 대신 문장을 단위로 하여 文末에 。'를 붙인 다음 줄을 바꾸었다. 〔552〕까지는 아오키(1975)의 행번인데, 〔289〕와 〔290〕 사이에 缺番行이 있어 〔28A〕를 잠정 부여하였다 그리고 〔553〕부터는 필자가 아오키(1975) 원문 附篇의 行次에 붙인 것이다. 3. 원문에서 小字로 표기된 문자열은< >로 싸서 대자열과 구별하고, 파손 부위 복원은 「 」로, 탈락 부분 보입은 『 』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원문에는 36개의 2行 割註가 포함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 ) 안에 넣어 地文과 구별되게 하였다. 4. 본문 입력에는 'ㅎㆍㄴ글'의 제1, 2 수준 한자를 모두 이용하고, 일부 지원되지 않는 자형은 다음과 같은 異體字로 대신하였다. ( )는 원문 자형. 刈 (艸+刈) 杆 (木+牟) 嘗 (常-巾+甘) 觴 (酉+觴-角) 閉 (門+下) 盆(分+瓦) 추 (危-厄+鹿) 劒(金+인-手) 이 (이-人) 저 (弓+一) 재 (喪-衣+먹+貝) 이 밖에 '부(女夫), 장(瓦長), 상 (木上下)'은 ( ) 안의 글자들을 조합한 것이고, 원문에서 同字疊用符號로 쓰인 草休의 '二'는 그 部首인 주로 대신하였다. 5. 아오키(1975)의 祝詞訓本에 제시된 讀法을 참조하여 어절 단위의 띄어쓰기를 시도해 보았으나, 아직 잠정적인 것이다. 특히< > 안의 소자열은 모두 앞으로 붙이고 뒤로는 띄었는데(예: 高天原, 高天<乃> 原), 이 기준과 본문 讀法 사이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6. 글자 색인에서는 본문 各篇의 題目에 쓰인 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표제 문자로 하되, 大小字의 구분을 그 용례의 수효와 함께 표제문자 다음에 표시하였다. 예: {大123例}, {小45例}. 그리고 大小의 구별이 없는 註釋의 글자들은 {註6例}와 같이 하여 地文의 용례와 구별하였다. <祝00>과 <祝11>은 순한문체의 式文·祝文으로 祝詞의 문체적 특성인 宣命體는 아니나, 구별하지 않고 색인에 포함하였다. 7. 색인 표제와 용례는 한국 한자음의 한글 자모순으로 배열하되, 독음이 같은 글자들에 대하여는 자형의 코드순을 따르고, 같은 자형 안에서는 대자 소자 주석자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단, '주'(同字疊用符號)는 그 독음 〔주〕에 불구하고 맨끝에 두었고, '회'〔회, 수〕는 '須'의 俗字로 보아 '수'의 자리에 놓았다(아오키1975 訓本 참조). 8. 본고의 띄어쓰기가 잠정적임을 감안하여, 색인 용례의 길이는 표제자의 어절에 앞뒤 한 어절씩을 더한 3어절로 하였다. 각 표제 문자의 용례들은 표제 바로 앞글자와 뒷글자를 우선 소트한 다음 다시 3어절 전체를 소트하여, 가급적 그 실현 환경이 같은 용례들이 한 곳에 모이도록 하였다. 9. 색인 용례 속의 표제 문자 앞에 '´'를 붙이고, 용례의 출전은 이 표제 문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祝00:006)과 같이 축사번호와 行番으로 표시하였다. 표제 문자 앞이나 뒤에서 행번이 바뀐 경우에는 행번 앞의 :'를 각각 '-'와 '+'로 바꾸어 표시하였다. 가령 <祝14-394>과 <祝14+394>는 모두 <祝14>의 제〔394〕행에 표제 문자가 있으나, 용례 전체는 각각 제〔393~394〕행과 〔394~395〕행에 걸쳐 있음을 뜻한다. 10. 색인 표제와 용례에서는 본문의 「 」(파손 복원)이나 『 』(탈락 보입)과 같은 부호를 삭제하고, 그 대신 용례 일부에 파손탈락 부위가 포함된 경우에는 %를. 표제 문자 자체가 이 파손·탈락 부위에 있는 경우에는 *를 출전 행번 뒤에 붙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