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및 유전학적 특성

        강은옥,조만재,양창희,Eunok Kang,Man Jae Cho,Chang Hui Ya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4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9 No.2

        살모넬라균은 가장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간 위장염, 설사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병원체이다. 식품 및 환경 검체, 식중독 또는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vitek2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검사, PFGE를 이용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의 식품 또는 환경 검체에서 26주와 인체검체에서 313주로 총 339주가 분리되었다. 월별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가장 많이 살모넬라균을 분리되었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은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10-19세 사이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적게 분리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8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26.9%), S. Rissen (23.1%), S. Thompson (19.3%)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검체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27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S. Enteritidis (11.5%) 순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되었던 살모넬라균 혈청형은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이 있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에서는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났으며, 일부 살모넬라균에서는 다제내성이 나타났다. 살모넬라균은 17개의 혈청형에 따라 다양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살모넬라균의 유행을 예측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역학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ella spp. is among the most important water-borne and food-borne pathogen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human gastroenteritis and diarrheal diseases globally. In this study,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environmental samples, and patients with food poisoning or diarrhea were investigated Salmonella serovars, antibiotic resistance using Vitek2, and genetic characteristics through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Salmonella spp. of 339 strains, including 26 strains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and 313 strains from patients, were isolated from Jeju Island of South Korea between 2020 and 2023. The monthly number of isolated Salmonella spp. gradually increased from March, with the highest number being in Augu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according to gender was observed. However, Salmonella spp.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from people aged 70 years or older and least frequently isolated from those between ages 10 and 19 years.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were distributed among eight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26.9%), S. Rissen (23.1%), and S. Thompson (19.3%).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were distributed among 27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and S. Enteritidis (11.5%). The main cause serovars of Salmonella spp. outbreaks are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 Antibiotic resistance tests indicat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and some Salmonella spp. exhibited multidrug resistance. Salmonella spp. showed various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17 serov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by predicting the appearance of Salmonella spp. and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 KCI등재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강은옥(Eunok Kang),전혜성(Hyeseong Jeon)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2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3월 25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40세-59세에 해당되는 유배우자 기혼남성으로 서울, 경기, 충청도, 강원도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응답이 불성실한 1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 332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심리적 위기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기성찰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간 긍정적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간 부정적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부정적 상호작용이 더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심리적 위기감을 경험하는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기성찰의 수준을 높이고, 부부간 부정적 상호작용을 낮출 수 있는 부부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upon psychological well-being targeting married middle-aged men, and a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a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Method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and 33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in married middle-aged men upon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Second, a negative (-) impact that the psychological crisis ha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an be considered to be increased more by negative interaction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s, but the positive interaction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s did not yiel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stem fro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emotional negative interaction found 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up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iddle-aged men.

      • KCI등재

        제주지역 해수, 수족관물, 유통수산물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만재,강은옥,허예슬,고은아,Man Jae Cho,Eunok Kang,Ye-seul Heo,Eun A Koh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4

        V. parahaemolyticus causes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 such as acute diarrhea. In this study, V.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seawater, fish tanks, and distributed fishery products in Jeju were investigated for potential toxin or species-specific genes (tdh, trh, tlh, and toxR) using RT-PCR and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Overall, V. parahaemolyticus of 90 strains (36.7%), including 33 strains from seawater, 8 strains from fish tanks, and 50 strains from fishery products, were isolated from 245 samples. All V. parahaemolyticus strains did not detect the tdh gene, whereas all strains detected tlh or toxR genes. In addition, trh genes were detected in 3 strains from seawater and 1 strain from fishery products. Monthly quantitative testing of seawater revealed that V. parahaemolytic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he 90 strains of V. parahemolyticu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by gene homology between types, ranging from 64.0-97.3%. Among these, thirteen types showed 100% homology between g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to facilitate food poison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because some isolated V. parahaemolyticus strains harbored toxin genes and V.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seawater, fish tanks, and distributed fishery products showed genetic simi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