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강스텔라(Stella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관점에서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주 관련 제재곡과 제주민요의 특징, 제주어의 분포와 표기 및 문화와 축제에 대해 파악하고, 문화 정체성의 바탕 위에 제주문화의 전승, 보존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교과서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다. 방법 초등 3~6학년 총 4개 학년 2015 개정 음악교과서 34권을 분석, 서술하고 있는 제주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추출하였고, 악보가 있는 제주 관련 제재곡, 악보와 무관하게 서술된 제주관련 모든 곡을 확인하고. 제주어를 포함한 제주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추출하여. 현황 및 문제점 도출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과서 한 곳을 제외하고, 제주 관련 내용이 비교적 충실히 수록되어 있고, 일노래가 많으며, 주로 음악적 특징을 규정하지 않고, 제주도 특유의 사투리로 구성된 향토색이 짙은 민요로 서술하고 있다. 다양한 제주어의 쓰임과 교과서마다 제주어에 대한 해석과 표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제주 칠머리당영등굿과 제주해녀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결론 다름을 인정하고, 다양성의 관점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부정적인 역사적 고립이 아닌 보존에 있어 긍정적이었던 다양한 제주문화의 교육적 의미를 생각하며, 향후 음악교과서 편찬에서의 제주어, 제주민요, 제주 신화를 명확히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Objectives From a regional perspective, Jeju-related songs and Characteristics of Jeju folk songs included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notation of Jejueo, culture and festivals. Based on cultural identity, we seek the direction and tasks of textbook revision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Jeju culture. Methods Analysis of 34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a total of 4 grades from 3rd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ll contents related to Jeju being described were extracted, Jeju-related songs with musical scores, and all songs related to Jeju described regardless of musical scores were checked. By extracting all contents related to Jeju including Jeju language. It was analyzed by concentrating on deriv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Results Except for one textbook, Jeju-related contents are relatively faithfully recorded, there are many work songs, mainly musical characteristics are not defined, and they are described as folk songs with a strong local color composed of Jeju-do's unique dialect, and various Jeju words are use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and notation of Jejueo in each textbook and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and Jeju Haenyeo culture. Conclusions Differences must be acknowledged, education must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Thinking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various Jeju cultures that were positive in preservation, not negative historical isol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scribe Jejueo, Jeju folk songs, and Jeju myths in the compilation of music textbooks.

      • KCI등재

        제주어 창작동요의 노랫말 분석과 제주어 보존

        강스텔라(Kang Stell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UNESCO에서 제기하고 있는 소멸 하는 언어의 보존을 위해 제주어 창작동요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114곡의 창작동요를 통해, 제주어 창작동요를 확인하고, 주제별로 분류하고,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고, 제주어 창작동요의 한 면인 국악 창작동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결과 첫째, 총 114곡의 제주어 창작동요를 추출하였고, 제목이 제주어인 창작동요는 96곡이다. 둘째, 주제별로 보면, 자연환경 관련이 38곡, 제주 문화와 생활양식 관련은 각 21곡, 19곡이다. 놀이와 관련된 곡은 14곡, 학교와 관련하여 7곡, 제주어 관련은 10곡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빈도 단어로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할머니이다. 자연과 동요의 밝음과 어울림을 표현하는 단어, 놀이와 관련한 표현이 있다. 넷째, 제주어 창작동요 작사가는 총 52명이고, 국악 창작동요는 16곡이 제시되었다.결론 다양한 제주어가 창작동요를 통해 불리며, 초등 음악교육을 통한 제주어 보존의 긍정성을 확인하고, 제주어 사용의 다양성을 위한 제주어 창작 동요의 보급 및 활용으로, 향후 제주어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to preserve the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proposed by UNESCO Methods Through a total of 114 Creative Children s song, We identified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categorized by subject, analyzed frequent words, and investigated and One aspect of Jeju Creative Children s songs, investigated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ongs. Results In conclusion, first, a total of 114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were extracted, and the Jeju-language titled Children s songs were 96. Second, by them, there are 38 thematic song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21 songs and 19 songs for Jeju culture and lifestyle, respectively. It was classified into 14 songs related to play, 7 songs related to school, and 10 songs related to Jeju language. Third, mother were the most frequent words, followed bt grandmother, words that express the brightness and harmony of nature and nursery rhymes, and expression related to play. Fourth, a total of 52 lyricists for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and 16 song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lusions As a suggestion, various Jeju-language are sung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s, confirming the affirmation of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through elementary music education, and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nservation of Jeju-language in the future by disseminating and utilizing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for diversity in the use of Jeju-language, I think it will do.

      • KCI등재

        실용음악을 통해 바라본 2015년 개정 초등음악 교과서 분석 :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스텔라(Kang Stell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문화적 변화의 흐름이 우리 음악교육에도 반영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실용음악의 영역에서 바라본 관심과 발전이 실제 음악교과서에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분석을 보면, 첫째,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실용음악으로 분류된 곡은 총 42곡이었다. 이 중 영화음악이 16곡, 애니메이션 음악이 9곡으로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실용음악과 향후 음악의 미래에 대한 내용 설명이 되어있는 부분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셋째, 초등 음악교과서 내 37곡에 대한 핵심역량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핵심역량은 중복을 포함 총 64항목이 언급이 되었으며, 음악 정보처리역량이 20회로 가장 많이 언급이 되었으며, 자기 관리역량에서 13회, 음악적 감성역량 10회, 음악적 창의 융합 사고 역량에서 10회, 음악적 소통역량은 9회, 문화적 공동체 역량은 2회에서 언급되었다. 넷째,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간의 편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전 개정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 시 실용음악 영역에 대한 소개가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ether the flow of cultural change is reflected in our music educa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interest and development seen in the field of practical music are reflected in actual music textbooks, textbooks of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Studying at the analysis of textbooks, first, 42 songs were included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classified as practical music. Of these, film music is 16 pieces and animation music is 9 pieces. So those pieces account for more than half. Second, the key competencies of 37 songs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 were examined.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a total of 64 items were mentioned, including duplication, and the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20 times. And Self-regulation competence was 13 times, musical sensibility competence was 10 times, musical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ies was 10 times,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9 times, 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was in 2 times. Third, various parts of practical music and future music are explained. Fourth, through textboo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textbooks. When it was compared to textbooks in the previous revision period,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music field was gradually expanding.

      • 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임은정(Eun-Jung Lim),이근영(Geunyeong Lee),강스텔라(Stella Kang ),김지연(Jiyeon Kim),박정우(Jeongwo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주 창세 신화 ‘천지왕본풀이’를 학습주제로 하는 국어, 영어, 과학, 음악 교과 간 융합학습 방안을 탐구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에듀테크로서 메타버스의 특징과 기능을 조사하고, 메타버스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역 기반 융합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 결과를 토대로 4개 교과의 융합수업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성 및 실행하여 실용성 있는 지역 중심의 교과융합 학습방안을 모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융합학습은 교육현장 적용의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지왕본풀이’ 설화와 같이 주제 중심의 융합학습에 적절한 학습 도구로 활용 가능하였다. 메타버스 학습 방안의 구성은 온라인으로 구현 가능한 학습주제와 학습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활동의 주요 주제와 활동 조직을 구상하여 준비 활동, 설화 이해하기, 설화 탐구하기, 설화 바꿔보기, 설화 표현하기, 마무리 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활동의 내용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온라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주제 중심의 교과 융합 수업은 교실 수업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 결정이 가능하며, 연계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 관련 탐구 활동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천지왕본풀이’의 융합 교육을 통해 설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 발전시킴으로써 메타버스를 활용한 융합학습의 독자적인 지역사회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 데 있어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t learning method using a Metaverse platform that integrates four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Science and Music, based on the choice of common learning topics of a myth of Jeju creation, Cheonjiwangbonpuri.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Metaverse as edu-tech through bibliographic research and carried out the case study about community-based convergence learning that could use the functions of Metaverse effectively. Based on the bibliographic research results, the study found out useful ways of community-based convergence learning, by building a platform suitable for convergence learning of four subjects, and implementing it. Results In this paper, the learner-centered convergent learning plan through Metaverse was designed and made it applicable to the classrooms appropriately. In order to study the myth Cheonjiwangbonpuri, learning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were selected, and the major topics of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organization were designed and they were presented in a sequence of six steps, such as warm-up, understanding, deepening, transforming, expressing, and closing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heme-based convergence learning using an online Metaverse platform makes students determin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es beyond the limited time and space of classroom practices, and it helps them do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a variety of themes connected with several programs. Thu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moves towards the autonomous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local curriculum, by understanding and deepening the contents of Cheonjiwangbonpuri under the integration of four subjects.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성취목표의 관계에서 내재동기의 조절효과

        조윤정 ( Cho Yoonjung ),황소리 ( Hwang Sori ),심성민 ( Sim Sungmin ),강스텔라 ( Kang Stella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가 교사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의 내재동기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교사의 성취목표를 예측하는 학교목표구조(환경변인)와 내재동기(개인변인)의 독립적 효과뿐만 아니라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총 246명의 교사들이 성취목표(숙달, 수행접근), 학교목표구조(숙달, 수행), 그리고 내재동기 문항에 응답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숙달목표구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학교수행목표구조는 교사의 수행접근목표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내재동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내재동기 간의 상호작효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내재동기가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숙달목표,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수행접근목표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의 목표구조가 모든 교사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교사 개인의 내재동기에 따라 더 강력한 영향을 행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학교의 목표구조가 어떤 조건에서 어떤 동기적 특성을 가진 교사에게 차별적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This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in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A total of 246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achievement goal for teaching (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mastery,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mastery goals, while perceived performance goal structures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In addition, the two types of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Firs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mastery goals for teach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mastery goals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an those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found for teacher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while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help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under what conditions and for whom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has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