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돈분액비의 시용시기가 녹비작물의 생육과 양분생산에 미치는 영향

        강세원,장광진,구현정,최장남,Kang, Se-Won,Chang, Kwang-Jin,Koo, Hyun-Jung,Choi, Jang-Nam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16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18 No.1

        In order to obtain the optimum application time of liquid pig manure (LPM) for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green manure crops (GMCs), the growth and nutrient characteristics of GMCs were evaluated under different application times of LPM in pot experiment. GMCs were sown in Sept. 1, 2012. LPM was treated in soil surface at 15 days before sowing (15DBS), at 0 days after sowing (ASD) and at 25 days after sowing (25DAS). At 60 days after seeding, plant heights of barley and hairy vetch were higher in 15DBS treatment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Biomass of barley was higher in the order of 15DBS (50.2g plant<sup>-1</sup>) > ASD (49.8g plant<sup>-1</sup>) > 25DAS (48.5g plant<sup>-1</sup>) > control treatment (37.5g plant<sup>-1</sup>). Biomass of hairy vetch in 15DB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treatments. Nutrient contents of barley and hairy vetch were not different regardless of LPM application time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s of nutrients uptake in 15DBS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Therefore, in considering growth status and nutrient contributions of GMC, the optimum application time of LPM was 15DBS.

      • 토양환경 분야PS-17 : 농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biochar의 비료학적 특성 평가

        강세원 ( Se Won Kang ),서동철 ( Dong Cheol Seo ),박주왕 ( Ju Wang Park ),허종수 ( Jong Soo Heo ),조주식 ( Ju 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농업부산물 중 볏짚은 규산, 칼리 및 질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대부분 퇴비로 제조되어 경지에 환원되고 있지만, 볏짚 외에 대부분의 농업부산물은 그 활용도가 매우 낮은 편으로 이들의 농업적 재활용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농업부산물은 질소, 인 및 칼리 등 비료학적 성분이 풍부하여 농업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논, 밭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농업부산물을 이용하여 biochar로 제조한 후 각각의 biochar의 비료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Biochar 토양개량제 제조에 사용된 농업부산물은 왕겨(RH), 보릿짚(BS), 고춧대(PS), 옥수수대(CS)를 이용하였으며, 400℃에서 4시간동안 열분해하여 biochar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biochar의 질소 및 칼리 함량은 PS > CS > RH > BS biochar순으로 높았고, 인 함량은 PS > CS > BS > RH biochar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농업부산물 biochar 토양개량제의 B, Cu, Fe, Mn, Ni 및 Zn 함량은 토양개량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각각 0.1~11.5, 3.7~24.2, 7.6~322, 83.8~1,331, 0.7~3.6 및 63.1~305 mg/kg 범위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제조한 biochar를 토양에 주입한다면 토양개량효과와 함께 질소, 인산, 칼리 및 미량성분을 공급할 수 있어 비료학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Biochar 시용이 배추 재배지 토양에 미치는 영향

        강세원 ( Se-won Kang ),김현태 ( Hyun-tae Kim ),서동철 ( Dong-cheol Seo ),조주식 ( Ju 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작물 생육을 위한 토양의 질 평가는 크게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iochar 시용이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보릿짚을 이용하여 biochar로 제조하였으며,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에 위치한 배추 재배지에서 진행되었다. 배추 재배는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토양채취는 배추 이식 후 75일째에 채취하여 입도, pH, EC, O.M, T-N, Avail. P2O5 및 CEC를 조사하였다. 처리조건은 대조구(Cn)와 biochar 처리구(BC), 무기질 비료 처리구(IF), 그리고 biochar와 무기질 비료를 동시에 시용한 처리구 (BC+HIF)를 두었다. Biochar + 무기질 비료 처리구는 무기질 비료의 시용량은 기존시비량 대비절반으로 줄여서 시비하였다. Biochar 시용에 따른 토양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Cn 및 IF 처리구의 경우에는 0.1 mm 미만의 입도가 약 40%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biochar를 시용한 처리구에서는 0.1 mm 미만의 입도가 약 29% 정도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biochar 시용 처리구의 토양 입도는 0.1-0.5 mm의 입도가 증가되어 토양입단화가 향상되었다. 토양내 pH 및 EC 는 5.36-5.78 및 0.33-0.55 dS m-1 범위로 biochar 시용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되는 경향으로 조사되었고, 유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biochar를 시용한 처리구에서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토양의 T-N 및 Avail. P2O5 함량은 각각 1.39-1.68 g kg-1 및 123-142 mg kg-1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Cn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큰 차이 없이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토양내 CEC는 BC+HIF ≥ BC > IF > Cn 처리구 순으로 biochar 시용 처리구에서 높은 CEC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biochar의 경우 CEC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토양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biochar의 시용은 토양의 입단을 형성하고, pH 및 CEC를 증가시켜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판단되어, 토양 비옥도가 낮은 우리나라 농업환경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A Stud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of the trade expert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Won Kang(강세원),Hee-Cheol Kim(김희철)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17 産經論集 Vol.37 No.2

        Purpose - Facing the FTA era,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and the expansion of support policies to industrial companies and trade basis system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bout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conduct trade-related business efficiently because Jeju is suffering from the lack of the infrastructures of human resources for trade. In this thesis, theoretical approach and empirical approach are used to study about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of trade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e theoretical approach, economic trends and employment trend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investigated about statistical data from 2004 to 2016. In the empirical approach, a questionnaire survey is performed to analyze the employment status of trade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s are export companies and university students in Jeju.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show the export companies highly require more trade professional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want the jobs which meet their conditions. The major reasons for this employment mismatch are the lack of practical business abilities and the disagreement over pay conditions. Results -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mployment and the sense of employment between the exporters and undergraduates in Jeju area shows the major key point is the awareness gap between employer and job hunter , and the political institutional problems. Conclusions - To overcome these problems, four method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re proposed. First, Jeju local government should expand the support poli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include educational trade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about export mind of Jeju local government. Third,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be improved and practically experienced experts shoulde be invited to inspire the university students. Fourth, industry- government-university collaborations should be enhanced to mainta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during the long-term. This stud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of the trad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rade infra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KCI등재

        한.중 FTA 발효 이후 무역량 변화와 주요 품목의 경쟁력에 관한 연구

        강세원(Se-Won Kang),조일림(Yi-Lin Zhao),라공우(Kong-Woo La)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한중 FTA가 체결 발효된 2015년 시점을 기준으로 한국의 주요 대중 수출 품목의 경쟁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중 20대 수출 품목을 HS 4단위로 분류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 RCA와 SRCA 및 TSI를 산출하여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한국 대 중국의 품목별 SRCA지수를 보면, 역시 2015년에는 HS8471 품목 하나만 음수(-)로 나타났으나, 2020년에는 4개 품목으로 나타나 한중 FTA이후 경쟁력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15년 대비 경쟁력 약화 부분에서는 - 1 < TSI < 0, 사이에 위치한 품목은 7개 품목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한․중 FTA이후 수출특화에서 수입특화로 전환된 품목은 5개 품목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TA발효 이후 경쟁력이 급격하게 낮아진 산업에 대해서는 정책 당국의 지원정책과 기업의 해외 거래선의 다변화 등의 내부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s major export items to China has changed as of 2015, when the Korea-China FTA took effect. For this study, Korea s top 20 export items to China were classified into 4 HS units, and RCA, SRCA, and TSI were calculated from 2011 to 2020 to analyze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oking at the SRCA index for each item of Korea versus China, only one HS8471 item was negative (-) in 2015, but there were 4 items in 2020, indicating that competitiveness has weakened after the Korea-China FTA. And after the Korea-China FTA, 5 items were converted from export-specialized to import-specialized. In conclusion, for industries whose competitiveness has rapidly decreased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FT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ponse strategy such as support policies from the policy authorities and diversification of overseas business partners.

      • 열분해 온도에 따른 담뱃대 biochar의 비료학적 가치 평가

        강세원 ( Se Won Kang ),서동철 ( Dong Cheol Seo ),이상규 ( Sang Gyu Lee ),서영진 ( Young Jin Seo ),박주왕 ( Ju Wang Park ),최익원 ( Ik Won Choi ),허종수 ( Jong Soo Heo ),조주식 ( Ju 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농업 부산물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매우 낮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어 농업 부산물의 자원화 및 재활용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담뱃대를 biochar로 제조하여 토양개량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열분해 온도별 (300, 500 및 700℃)로 제조된 담뱃대 biochar의 비료학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담뱃대는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채 취하였으며, 단위면적 (m2)당 biomass는 430 g m-2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94.6%이었고, T-N 함량 은 1.27%이었으며, T-P 및 K2O의 함량은 각각 0.23 및 1.84%이었다. 담뱃대 biochar의 수율은 열 분해 온도가 증가될수록 biochar 수율은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단위면적 (m2)당 생산량은 열분 해 온도가 300, 500 및 700℃ 조건에서 각각 170, 127 및 104 g m-2이었다. 담뱃대 biochar의 열 분해 온도별로 표면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열분해 온도에 상관없이 biochar의 표면은 불균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크기의 돌기들이 나타났다. 열분해 700℃ 조건에서는 표면이 녹아내 려 다른 열분해 조건에 비해 매끄러운 형태로 관찰되었다. 열분해 온도별로 제조된 담뱃대 biochar의 표면성분을 분석한 결과 열분해 온도에 상관없이 K, C, O, Mg, P, Ca 및 Si 등의 다양 한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성분비에 따른 원자량은 전반적으로 C가 가장 많았다. 담뱃대 biochar의 pH 및 EC는 열분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으로 700℃ > 500℃ > 300℃이었 다. 특히 담뱃대 biochar의 EC는 열분해 700℃ 조건에서 500℃ 조건에 비해 급격히 높았다. 열분 해 온도별 담뱃대 biochar의 T-N 함량은 열분해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열분해 온 도가 300℃ > 500℃ □ 700℃ 순으로 많았다. 담뱃대 biochar의 T-P 및 K2O의 함량은 T-N 함량과 반대되는 경향으로 700℃ □ 500℃ □ 300℃ 순으로 열분해 온도가 증가할수록 T-P 및 K2O의 함 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담뱃대 biochar는 비료학적으로 가치가 충분하였으나 열분해 온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토양개량제로 활용하면 농업부산물의 자원화와 재활용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겠다.

      • KCI등재

        벼-자운영 윤작재배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강세원(Se-Won Kang),서동철(Dong-Cheol Seo),서영진(Young-Jin Seo),이상규(Sang-Gyu Lee),최익원(Ik-Won Choi),전원태(Weon-Tai Jeon),강위금(Ui-Gum Kang),손보균(Bo-Kyoon Sohn),허종수(Jong-Soo Heo),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2

        벼-자운영 윤작재배에서 돈분액비의 수준별 투입이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기별 토양내 주요 성분의 함량은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돈분액비의 투입과 자운영의 토양 혼입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이 돈분액비 투입 23일 후까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벼 생육이 진행될수록 토양내 질소, 유효인산,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토양내 주요 성분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돈분액비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벼의 생산량도 돈분액비의 투입량에 따라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APLM 0 처리구 대비 APLM 100 처리구에서 약 5.3% 증수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벼-자운영 윤작재배 실험 중 돈분액비의 수준별 투입은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토양내에 다양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토양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ice?Chinese milkvetch rotation.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APLM 0 (Chinese milkvetch + Liquid pig manure 0 L m<SUP>-2</SUP>), APLM 50 (Chinese milkvetch + Liquid pig manure 1.8 L m<SUP>-2</SUP>), APLM 75 (Chinese milkvetch + Liquid pig manure 2.7 L m<SUP>-2</SUP>) and APLM 100 (Chinese milkvetch + Liquid pig manure 3.6 L m<SUP>-2</SUP>),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O.M, T-N, Avail. P₂O5, K, Ca and Mg at different liquid pig manure levels in soil were generally high in the order of APLM 100 > APLM 75 〉 APLM 50 〉 APLM 0. Especially, T-N concentration of soil in APLM 100 was 1.4 times higher than APLM 0. The yield of rice in APLM 100 was 636 kg 10a<SUP>-1</SUP> (increasing yield 5.3%) compared with APLM 0 in rice-Chinese milkvetch crop rotation. Therefore,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was useful in rice? Chinese milkvetch crop rotation.

      • KCI등재

        녹비작물과 돈분액비의 혼용재배가 벼 생육에 미치는 효과

        강세원(Se-Won Kang),서동철(Dong-Cheol Seo),한종학(Jong-Hak Han),서영진(Young-Jin Seo),이상규(Sang-Gyu Lee),최익원(Ik-Won Choi),전원태(Weon-Tai Jeon),강위금(Ui-Gum Kang),허종수(Jong-Soo Heo),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본 실험은 화학비료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비작물 (자운영, 라이그라스)과 돈분액비 혼용이 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녹비작물의 biomass 생산량은 자운영 (site 1)의 경우 APLM 100 처리구에서 182 kg 10a<SUP>-1</SUP>으로 가장 많았고, 라이그라스 (site 2)의 경우 LPLM 100 처리구에서 978 kg 10a<SUP>-1</SUP>으로 가장 많았다. Site 1 및 2에서 녹비작물의 유무와 돈분액비 투입량에 따른 수확기 벼의 부위별 T-N, T-P, K₂O, CaO, MgO 및 SiO₂ 함량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 없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Site 1 및 2에서 수확기 토양의 OM, T-N 및 Avail. P₂O5 함량은 공시토양의 OM, T-N 및 Avail. P₂O5 함량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별 무기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돈분액비 투입량이 증가될 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수확기 벼의 1,000립중은 site 1 및 2에서 각각 APLM 100 및 LPLM 100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수확기 벼의 수량은 site 1의 경우 APLM 100 처리구에서 636 kg 10a<SUP>-1</SUP>로 control 처리구에 비해 약 10%가 증수 되었고, site 2의 경우 LPLM 100 처리구에서 775 kg 10a<SUP>-1</SUP>으로 control 처리구에 비해 약 12%가 증수되었다. 따라서 녹비작물과 돈분액비의 혼용재배는 벼의 증수효과가 우수하여 화학비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 of mixed cultivation with green manure crops and liquid pig manure on rice growth was investigated. Field experiment in site 1 (Astragalus sinicus L.) and site 2 (Lolium multiflorum Lam.) were designed with control (non-green manure crop), PLM 100 (non-green manure crop + liquid pig manure 100%), A(L)PLM 0 (green manure crop + PLM 0%), A(L)PLM 50 (green manure crop + PLM 50%), A(L)PLM 75 (green manure crop + PLM 75%), and A(L)PLM 100 (green manure crop + PLM 100%). The results of 1,000 grain in rice plant were in the order of APLM 100 ?APLM 75 ≒ PLM 100 ≒ APLM 0 ≒ APLM 50 ≒ control for site 1 and LPLM 100 ?LPLM 75 = LPLM 50 = PLM 100 ?LPLM 0 ≒ control for site 2. The yields of rice in site 1 and site 2 were 636 kg 10a<SUP>-1</SUP> (increasing yield 10%) for APLM 100 and 775 kg 10a<SUP>-1</SUP> (increasing yield 12%) for LPLM 100,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