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분과 : 식생 및 야생동물 ; 서로 다른 유형의 습지 내 미국흰두루미(Grus Americana)먹이원 유용성

        강성룡 ( Sung Ryong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수문학적 조건의 변화 속 먹이원 밀도, 무게, 에너지값을 바탕으로한 섭식지 적합성 모델은 미국흰두루미 서식지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 줄 것이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유형동물은 번식기, 이주, 월동기에 미국흰두루미의 중요한 먹이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유형동물 군집생태에 대한 연구는 미국흰두루미 복원사업의 중요한 초석이 되는 섭식지 적합성 모델를 발전 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되어줄 것이다. 본연구의 목적은 담수, 기수, 해수습지 연못들(PCP: 수로와 영구적으로 연결된 연못, TCP: 수로 혹은 습지초지와 일정 기간동안만 연결되는 연못)내 미국흰두루미 먹이원 밀도, 무게, 에너지값에 대해 조사하여, 서로다른유형의 습지들내 섭식지들(PCP, TCP)이 미국흰두루미의 하루 에너지 요구량를 충족할 수 있는지에 대해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연결이 환경요인들(염분, 용존산소량, 수온, 수생식물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요인들이 미국흰두루미 주요 먹이원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과 유형동물 밀도, 무게, 에너지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성 무척추동물 밀도, 무게, 에너지값은 담수습지가 기수 및 해수습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동물 밀도, 무게, 에너지값은 모든 습지유형에서 봄과 여름이 가을과 겨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해수습지 PCP를 제외한 모든 유용한 섭식지들이 0.1헥타르당 미국흰두루미 한개체의 하루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성

        강성룡(Kang Sung Ryong),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에서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교육사(art educator)'의 역량을 규명하고, 그 역량 중에서도 특히 창의성과 관련된 역량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역할은 무엇인가',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한 역량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질적 접근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25명, 기획관리실무자 아홉 명이었다. 예술분야별 전문가 그룹에 대한 서면 질의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예술강사와 기획관리실문자를 대상으로 세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은 기획, 운영, 평가, 관리 등 네 가지 역할로 정의되었고, 역량은 예술전문성역량 두 가지, 교수역량 19가지, 관계관리역량 20가지로 총 41가지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중에서 창의 관련 역량에는 창의성, 창의적 교수법 개발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프로그램개발능력 등 네 가지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explain the role and competency of culture and art educator who performs a role of artist and educator, especially to define the competency related to creativity. For this purpose, following two issue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one was 'what is the concept of culture & art educator?', and the second one was 'what are the culture & art educator's competencies that make to perform his or her role well?'. For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like these. Fist, the roles of culture & art educator were defined as planning, operating, evaluating, and managing. Second, as the competencies of culture & art educator, two art-specialty competencies, 19 teaching-specialty competencies, and 20 relationship-management competencies, totally 41 competencies were driven. Among these competencies there were four competencies related to creativity: creative competency, creative teaching method development competenc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creative program development competency.

      • KCI등재

        공공기관 비형식 생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윤지현(Jihyun Yoon),강성룡(Sung-Ryong Kang),주은정(Eunjeong Ju),김재근(Jae Geun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공공기관의 경영 특성을 반영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운영 특성을 반영한 절차를 기반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비형식 교육기관으로 갖추어야 할 교육적 절차 요소를 반영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쟁점사항을 점검하여 수정된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국립생태원 ‘2018 글로벌 생태협력 아카데미’ 적용하여 절차 단계별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고 반영하여 최종 절차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P-D-C-A를 기반으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시범운영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비형식 교육기관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등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that consider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institute (i.e.,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The first procedure was the selection of the foundation model that reflect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institute. Secondly, the educational procedure elements that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have selected through a prior study review. Later, the revised procedural model was developed by examining the issues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public institute. As a case study (fourth procedure), the model applied to the ‘2018 Global Ecology Cooperation Academ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he final procedure was presented by checking and modifying the complements of the procedures. Based on the P-D-C-A model (i.e., foundation model), the case study could supplement the model’s availability and develop the procedure model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se analyse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pplying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e.

      • KCI등재

        인과순환구조 분석을 통한 큰고니 서식환경 유지방안 -을숙도를 중심으로-

        최윤의 ( Yun Eui Choi ),유수진 ( Soojin You ),강성룡 ( Sung Ryong Kang ),최병구 ( Byoungkoo Choi ),전진형 ( Jinhyung Ch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을숙도 큰고니 서식지의 생태계 건강성 유지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스템 사고를 통해 큰고니 서식환경 변화 현상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분석하였다. 을숙도 내 큰고니와 기타 수조류의 개체수에 대한 인과지도를 통해 을숙도 큰고니 개체수는 휴식환경 및 먹이환경 변화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큰고니의 휴식환경 인과지도에서는 탐조 및 탐방활동, 수위, 소음에 의한 휴식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고니의 먹이환경 인과지도를 통해 담수의 면적, 수면동결, 을숙도 염분, 새섬매자기 밀도에 의한 먹이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인과지도를 통해 낙동강하굿둑 방류량과 건설행위가 큰고니의 휴식환경과 먹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큰고니 서식환경 관리를 위한 전략지점으로 선정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을숙도의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edback structure of habitat changes of the Whooper Swan in Eulsukdo using system thinking to suggest a management plan for ecosystem health. Using the causal loop diagrams of population changes between Whooper Swan and other bird species in Eulsukdo,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roosting and foraging area affect the Whooper Swan’s population. The causal loopdiagrams of the Whooper Swan’s roosting area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e.g., water level, noise, bird watching, and other experience activities) may influence their population density variation. In addition, the casual loop diagrams of the Whooper Swan’s foraging area showed that the Whooper Swan’s population wa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that included area factors such as surface area of freshwater, frozen water, salinity, and density of Scirpus planiculmis. Furthermore, through the integrated causal loop diagram, cumulative discharge of Nakdong estuary weir and build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opulation of the Whooper Swan. Thus, we selected this area as the strategic point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for the Whooper Swan’s habit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n decision making of a long-term management plan for sustaining the environmental health of the ecosystem in Eulsukdo.

      • KCI등재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 개발 및 제언

        윤지현(Jihyun Yoon),김재근(Jae Geun Kim),강성룡(Sung-Ryong Kang)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 개발을 위해 글로벌 지식공유 플랫폼들을 분석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 하였다. 글로벌 지식공유 플랫폼 분석결과 플랫폼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활발하게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재정지원과 2) 지식 결과물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분석 결과 3가지 주요사업(① 한- 아세안 지역의 습지 인벤토리 비교분석, ② 습지 연구동향 지식격차 분석, ③ 습지 관련 정보공유 웹인프라 구축)이제안되었다. 문헌분석과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은 국제협약(람사르협약, 생물다양성협약)의 목표와 정합성을 갖도록 정의하였고, 생물다양성과학기구를 기반모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플랫폼은 생물다양성과학기구와 동일하게 지식관리, 지식평가, 역량강화, 정책지원, 의사소통과 참여를 핵심목표로 선정하였다. 지식공유 플랫폼은 한-아세안 지역 내에 같은 유형의 습지생태계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과학기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global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nd collected stakeholder’s suggestions to develop the Korea-ASEAN Wetland Knowledge Sharing Platform (KS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① financial support and ② knowledge outcome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KSP and conduct the platform sustainably. Stakeholder suggest three significant projects (①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ventory of wetlands in the Korea-ASEAN region, ② knowledge gap analysis in wetland research trends, and ③ establishing a web infrastructure for wetlands information sharing). The Korea-ASEAN Wetland KSP defined to be consistent with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e.g., Ramsar Conventio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goal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iterature analysis and stakeholder suggestions.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 selected as the fundamental model of the KSP. As with IPBES, knowledge management and assessment, capacity building, policy suppor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dopted as the platform’s core objectives. The KSP will be able to share knowledge related to the same type of wetland ecosystem within the Korea-ASEAN region an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cience-based policies.

      • 제3분과 : 식생 및 야생동물 ; 서오릉 식생구조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곽정인 ( Jeong In Kwak ),한봉호 ( Bong Ho Han ),염정헌 ( Jung Hun Yeum ),정진미 ( Jin Mi Jung ),강성룡 ( Sung Ryong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조선왕릉은 풍수지리에 따라 명당에 그 위치가 조성되었고 능 주위에 소나무와 오리나무가 주로 식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금표를 정하여 능침주변의 녹지 훼손을 제한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의식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왕릉이 입지한 산림과 녹지는 잘 보존되었다. 그 가치를 인정 받아 2009년 6월 27일 UNESCO 세계문화유산(카테고리 Ⅲ, Ⅳ, Ⅵ)등재 후 조선왕릉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과 지원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조선왕릉에 대한 연구는 역사, 문화재, 풍수지리, 식생관리 등에 관하여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연구대상지인 서오릉(UNESCO 세계문화유산, 사적 제198호)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산에 인접하여 고양시 외곽산림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고양시 야생동·식물보호구역 관리 조례에 의해 야생동·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서오릉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풍수지리 등인문학적 관점에서 이루어 졌고, 자연환경 분야는 식생의 생태적 천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식생관리논문에서는 주로 능역공간 소나무림의 역사적 가치에 따른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토지이용 및 식생관리유형에 따른 식생관리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왕릉 서오릉의 비오톱조사를 통한 유형별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오톱지도는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식생상관과 토지이용현황을 바탕으로 블록별 속성을 기록하였으며, Auto cad Map 2004와 ArcGIS 10.1프로그램을 사용하여현존식생도를 작성하고,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과 비율을 산출하였다. 현존식생 대표 유형별로 조사불가능지역인 동측을 제외하고 서오릉 일대의 능선 및 계곡부에 총 22개소(20m×20m)의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식물군락구조 조사는 조사구 내 목본 수종 대상으로 층위별로 수종명과 수목규격을 조사하였으며, 상대우점치와 수관층위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상대우점치를 구하였다. 그 외 조사구별로 흉고직경급별 분포,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서오릉 비오톱 조사면적은 1,976,620㎡로 크게 산림(89.3%), 초지 및 수역(3.5%), 조경수목식재지, 경작지, 조사불가능지, 시가화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산림은 굴참나무림이 25.4%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명릉과 경릉의 배후산림과 군사지역 인근에 주로 식생하였다. 신갈나무림은 19.2%로 홍릉과 창릉 주변 산림 북사면에 주로 분포하였다. 갈참나무는 12.5%이었고 대체로 능침공간 주변의 저지대에 분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까시나무림은 6.6%이었으며 대상지 경계의 북쪽에 위치하였다. 온대중북지방의 극상림으로 알려져있는 서어나무림은 0.5%로 대상지 중앙부 참나무류림과 소나무림 사이에 소규모로 분포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결과 소나무 식재림에서 교·아교목 소나무, 관목층에서는 갈참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주요 출현종 이었으나 지속적인 하층관리로 아교목층을 형성하는 기타종이 출현하지 않았다. 소나무-참나무류 혼효림 교목층에서는 소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 관목층에서는 진달래가 우세하였으며 교목층 소나무가 다수분포하는 한편 갈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2∼37㎝구간의 소·중경목에 고르게 분포하였고 DBH 62∼67㎝의 대경목 졸참나무가 출현하였고 팥배나무, 산벚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2∼17㎝에 세력을 형성하여 향후 현재와 같은 소나무-참나무류의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리나무림은 교목층 오리나무가 우점하였고 대경목 느릅나무 및 DBH 2∼12㎝의 신나무, 때죽나무 등 호습성 수목이 분포하여 지형 특성상 오리나무림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갈참나무림 교·아교목층에서는 갈참나무가 우점하고 DBH 7∼37㎝ 의 서어나무가 분포하고 팥배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출현하여 지속적인 천이가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굴참나무림 교목층에서는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DBH 12∼47㎝ 구간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나 갈참나무·신갈나무가 DBH 2∼12㎝에 출현하여 향후 참나무류림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갈나무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아교목층 팥배나무가 우세하였고 신갈나무가 DBH 2∼57㎝ 구간 36주 분포하는 한편 서어나무가 DBH 2∼27㎝에 출현하여 서어나무림으로 천이가 이뤄질것으로 판단되었다. 참나무혼효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 졸참나무의 비율이 높았다. 신갈나무, 졸참나무는 DBH 2∼42㎝ 구간에 각각 15주와 21주로 다수 분포하였고, 서어나무는 DBH 7∼47㎝ 구간에 출현하였다. 서어나무림은 교목층 서어나무, 귀룽나무, 아교목층 서어나무, 때죽나무가 우점하였고 서어나무는 DBH 2∼57㎝ 구간에 주로 분포하고 때죽나무, 팥배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DBH 2∼27㎝ 구간에 출현하였다. 8개 비오톱 유형별 단위면적 400㎡를 기준으로 종수 및 개체수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교목층 1종, 아교목층 1종, 관목층 1~10종 으로 가장 적은 종이 관찰되었고, 최대 개체수는 오리나무림이 교목층 10~19개체, 아교목층 5~8개체, 관목층 248~636개체가 분포하였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 분석 결과, 소나무림 종다양도지수는 0.2007~0.8747로 하층관리로 인하여 가장 낮은 편이었고, 종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군집은 신갈나무림 0.6913~1.0634로 균재도는 0.7356∼0.8693이었다. 서오릉의 식생구조를 종합하면 천이경향은 능침공간 주변의 관리된 소나무림을 제외한 산림식생은 소나무-참나무혼효림에서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림을 거쳐 서어나무림으로 천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를 살펴보면 소나무림은 능침공간의 지속적인 하층관리로 인해 단순림으로 관리되어 종다양도가 낮게 나타났고, 신갈나무림은 타 유형에 비해 종수 및 균제도가 높아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서오릉의 향후 관리방향은 능역 주변은 역사문화림으로 관리하고 그 외 산림지역은 자연천이 에 의한 생태적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아세안+3 습지 복원을 위한 법 제도 분석 및 제언

        박혜경(Hyekyung Park),정현진(Hyeon Jin Jeong),배영혜(Young Hye Bae),김재근(Jae Geun Kim),강성룡(Sung-Ryong Kang)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아세안+3 13개국의 습지 복원 관련 법 제도의 한계를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우리나라는 통합법 또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며 하구 복원을 위한 법 제도 기반이 미흡하다. 많은 국가가 습지에 생계를 의존하는 만큼 습지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 국가는 습지 정의를 구체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개도국은 국제협력을 통해 국가 역량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탄지와 맹그로브 숲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법 제도 기반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raw the limitations of wetland restoration related legal systems of ASEAN+3 countri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In the case of Korea, there is no integrated law or integrated management organization for wetland restoration, and the legal basis for estuaries restoration is insufficient. As many ASEAN countries depend on wetlands for their livelihood, public support for sustainable use and conservation of wetlands should be preceded through raising awareness about the value of wetlands. Some countries need to establish a specific wetland definition, while developing countries need to strengthen national capacitie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 legal basis is needed to eliminate the impacts on peatlands and mangrove forests and conserv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