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에 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강보람 ( Kang Bo-ram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미술치료를 통해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의 과정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과다한 목표 지향 활동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과 관계 망상적 사고로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을 겪으며 반복되는 우울과 무기력을 호소하고 있는 21세 여대생이다. 연구는 2023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4회 진행되었다. 측정 도구는 집-나무-사람(HTP) 검사이고 각 회기의 활동내용과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는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 과정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는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조증과 우울증 그리고 대인관계에서의 관계 망상적 사고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 과정과 조증, 우울, 관계 망상적 사고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self-perception in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facilitated through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The participant is a 21-years-old college student who wa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during her senior year of high school. She reported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hyper-goal-oriented activities induced by her manic episodes and experienced conflic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paranoid delusional thinking, along with recurrent episodes of depression and letharg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23, with sessions occurring once a week for 60 minutes totaling 14 sessions. The House-Tree-Person(HTP) test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activities and changes of each session were docu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was a positive change for the self-perception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Second,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the reduction of manic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paranoid delusional think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s effective in the self-perception precess and the reduction of manic and depressive episodes in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 KCI등재후보

        MBTI 성격유형과 포커싱적 태도의 관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보람 ( Boram Kang ),주은선 ( Eunsun Joo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MBTI 선호지표와 태도지표, 심리기능이 포커싱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MBTI 성격검사와 포커싱적 태도검사를 설문지로 사용하였으며,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이 응답한 총 40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선호지표는 포커싱적 태도 ‘알아차리기’, ‘여유 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형(E)은 ‘알아차리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감각형(S)과 판단형(J)은 ‘여유 갖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사고형(T)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형(E)과 사고형(T), 판단형(J)은 ‘표현하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외향형(E)과 감각형(S)은 ‘되새겨보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BTI 태도지표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는 ‘표현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외향적판단형(EJ)과 외향적인식형(EP)이 내향적인식형(IP)보다 ‘표현하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MBTI 심리기능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는 ‘여유 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감각감정형(SF)이 포커싱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BTI preference, attitude and psychological function index are related with focusing manners of college students. MBTI and focusing manners test were used as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401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nalyz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BTI preference index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ticing',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expressing', and 'reflecting' of focusing manners. The type 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ticing', and the type S and the type J had negative effects o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Type T had a positive effect o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Type E, T and J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xpressing' and the type E and S had negative effects on ‘reflecting’, significantly. Second, focusing manners according to MBTI attitude index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xpressing'. Type EJ and EP were higher than type IP. Third, focusing manners according to MBTI psychological function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expressing', and 'reflecting'. Overall, type SF was lower in focusing mann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펄스전류활성 가열에 의한 나노구조의 4Cr-3ZrO2 복합재료 급속소결과 특성

        강보람 ( Bo Ram Kang ),손인진 ( In Jin Shon )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201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3 No.5

        Despite of many attractive properties, the low fracture toughness of ZrO2 limits their wide application. One of the most obvious tactic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has been to make fabrication of a nanostructured material and composite material. Nano-powders of Cr and ZrO2 were synthesized from Cr2O3 and Zr powders using high energy ball milling. Nanocrystalline 4Cr-3ZrO2 composite was consolidated by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method within 2 minutes from mechanically synthesized powders of ZrO2 and Cr. The relative density of the composite was 98.5%. The fracture toughness and hardness of 4Cr-3ZrO2 composite in this study are simultaneously higher than those of monolithic ZrO2.

      • KCI등재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가정교과 ‘건강한 가족 관계’ 수업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강보람(Kang, Bo Ram),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3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건강한 가족 관계’ 수업을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후 그 결과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씽킹에 기반 한총 5차시의 슬기로운 ‘집콕’생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수업 후에 학생들의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슬기로운 ‘집콕’생활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인지적 공감능력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특히, 인스타그램으로 공감하기, ‘부캐’ 만들기 등의 활동이 흥미로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COVID-19로 인한 시간의 부족 및 모둠활동 제약으로인해 수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해 학습 환경이 변화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위해 대면과 비대면 상황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가정과교육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감의 인지적 요인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Healthy Family Relations’ of the home economics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significant difference is displayed in terms of empathy ability impro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Wise ‘stay-at-home’ life” program comprised of five class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students empathy ability was examined by a pre- and post-test comparison. As a result, the developed program was found to have gene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empath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generally positive. In particular, many students mentioned that t hey were i nterested in a ctivities such a s ‘empathiz ing through Instagram’ and ‘ creating a sub-character’. However, there also was an opinion that the lesson activities were difficult to complete due to the lack of time and restrictions on cooperative activities due to COVID-19.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be used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ituations in order to flexibly deal with situations where the learning environment changes due to COVID-19. An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particularly in that it confirmed that home econom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y, particularly the cognitive factor of empathy.

      • KCI등재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전시회 개최를 위한 방역 표준 지침 개발

        강보람(Kang, Boram),안선주(Ahn, Sunju)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팬데믹(Pandemic) 을 선언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중 비상사태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고강도 조치를취함에 따라 이벤트 및 전시산업계 또한 직격탄을 맞았다. 예정된 전시회에 대한 무기한 연기 및 잠정적 취소는심각한 고용 및 재정적 손실로 이어졌다. 전 세계 전시 컨벤션 및 이벤트 산업은 질병관리본부의 지침에 따라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의 프로토콜과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온라인 개최와 오프라인을 병합하는 하이브리드개최를 통해 전시회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면대면이라는 전통적 가치를 지닌 전시산업계의 코로나19에대한 회복은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에도 신종 감염병은 계속해서 출현할 것이며 인수공통감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 EID)과 매개감염병(vector-borne emerging infectious disease)의 출현 주기도 짧아질 것으로 예측된다(박은철, 2020).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 감염병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전시사업자 방역정책기반 가이드라인 개발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가이드라인 개발에는 포괄성과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세계 주요 국가 별 가이드라인 및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전시회 개최를 위한 감염병 대응 표준가이드라인에 대한 중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clared COVID-19 a pandemic in March. COVID-19 pandemic has had a major impact on event and exhibition industries as a number of nations have taken extreme step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due to COVID-19 Public Health Emergency (PHE). The indefinite postponement and tentative cancellation of the scheduled events resulted in severe financial hardships and employment losses. The exhibition and event industry around the world have implemented a number of possible measures to combat the outbreak based on the different protocols and circumstances, such as hybrid or large-scale virtual events, in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owever, recovery from Covid-19 will be a lengthy process, and face-to-face events are immensely valuable in the event and exhibition industries.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it is expected that the frequency of th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EID) and vector-born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ill increase. In this regard, it is critical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exhibition organizers to preemptively respond to th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standards should be based on comprehensiveness and expertise.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nd identify how global exhibition industries coped with the pandemic and provide standardized guidelines tailored to the exhibitions and event industries.

      • KCI등재

        하프늄카바이드 코팅을 통한 2종형상의 탄소/탄소복합재의 내삭마성 향상연구

        강보람 ( Bo-ram Kang ),김호석 ( Ho-seok Kim ),오필용 ( Phil-yong Oh ),최성만 ( Seong-man Choi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0 Composites research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기상화학반응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카바이드가 코팅된 2종형상의 탄소/탄소복합재 위에 진공플라즈마용사를이용하여 하프늄카바이드를 코팅하였다. 코팅 전/후 시편을 5.06 MW/m2의 열유속에서 120초동안 산화 및 삭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전/후의 질량 변화량을 통해 질량삭마율을 계산하였고 캘리퍼스와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길이삭마량을 계산하였다. 시편 단면의 FE-SEM 및 EDS 분석을 통해 산화 및 삭마거동을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풍동 시험결과 코팅된 시편이 무게감소 및 길이변화가 적어 내산화 및 내삭마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동일조건에서 시험한 반구형과 원통형의 산화 및 삭마정도는 상이하였고 원통형에서 더 높은 내산화 및 내삭마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this study, HfC was coated on two types of carbon/carbon composites coated with SiC by vacuum plasma spraying(VP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a plasma wind tunnel with heat flux of 5.06 MW/m2 for 120 s heat flux before and after the coating. The mass ablation rate was calculated through the mass change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the length change was measured by using calipers and high speed camera. The oxidation/ ablation behavior were observed by FE-SEM with EDS analysis of the specimens cross section. The plasma wind tunnel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ated specimens had low weight loss and length change, and high oxidation/ ablation resistance. However, two types of the specimens tes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were different in the ablation behavior and ablation rate,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cylindrical type had higher oxidation/ablation resistance.

      • KCI등재

        전력계통 주파수응답 실적 기반의 국내 AGC 주파수 바이어스 설정치 산정에 관한 연구

        강보람(Bo-Ram Kang),권한나(Han-Na Kwon),국경수(Kyung-Soo Kook) 대한전기학회 2015 전기학회논문지 Vol.64 No.7

        This paper presents Frequency Bias setting for the adequate AGC(Automatic Generator Control) operation based on the frequency response of power system in Korea. AGC frequency control recovers the frequency up to 60Hz following a primary control when the frequency suddenly drops due to a fault in power system. AGC can compensate an appropriate amount of generation by calculating ACE(Are Control Error) from the frequency deviation with the AGC frequency bias set from the actual frequency response in power systems. An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ed AGC bias setting is verified through case studies employing the simul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