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근종과 기타 양성 부인과 질환에 있어서 Levonorgestrel 함유 자궁내 장치(미레나(R))의 임상적 효능성에 대한 연구

        강병문 ( Kang Byeong Mun ),정의 ( Jeong Ui ),주원덕 ( Ju Won Deog ),권혜은 ( Kwon Hye Eun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김정훈 ( Kim Jeong Hun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Mirena^(??)의 자궁근종 크기 및 기타 양성 부인과 질환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1년 2월까지 Mirena^(??)를 삽입한 자궁근종 환자 31명과 단순 관찰 환자 62명의 자궁근종 크기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Mirena^(??)가 기타 양성 부인과 질환의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Mirena^(??)를 삽입한 9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 Mirena^(??)를 삽입한 군과 삽입하지 않은 군 사이에 12개월후, 자궁 전체 및 제 1, 2 자궁근종의 용적 변화는 유의한 차기아 없었다. 기타 양성 부인과 질환에서는 총 99명의 환자에서 첫 3개월부터 53.5% 여성이 월경출혈량 감소를 보였고, 무월경은 3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6개월 이후에 나타났다. 삽입 12개월 후에는 월경출혈량 감소(57.1%), 또는 무월경(28.6%)을 보였다. 간헐적인 질 출혈은 첫 3개월간 약 67%의 여성에서 보고되었지만 그 빈도는 감소하여 12개월 후에는 28.6%에서 지속되었다. 결론 : Mirena^(??) 사용이 자궁이나 자궁근종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이미 알려지 대로 월경출혈량과 월경곤란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컸다. 주 제거 이유인 질 출혈은 대부분 삽입 후 첫 6개월 내에 발생하므로 충분한 상담을 거친다면 양성 부인과 질환의 비수술적 치료로서 효과적이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rena^(??) on the size of uterine myoma and clinical effect on benign gynecologic disease. Design : First, we prospectively examined 31 women with myoma who was inserted Mirena^(??) due to menorrhagia and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DUB) from May 1999 to February 2001. The control group was 62 women with myoma without treatment. Twelve months later, we analyzed the change of volume of uterus and myoma in both groups. Second, we performed chart review of 99 women with Mirena^(??) insertion from September 1999 to December 2001. They were examined about bleeding patterns and complications and other clinical effects at 3,6,12 months after Mirena^(??) insertion.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volume of uterus and myoma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group. More than half of women(53.5%) experienced decrease of menstrual bleeding during first 3 months, and 12 months later, 57.1% of women experienced decrease of menstrual bleeding and 28.6% of women became amenorrhea. Intermittent vaginal bleeding or spotting was reported by most women(67%) during the first 3 months but this usually stopped within 6-12 months(28.6%). Women requiring removal of the device due to vaginal bleeding or spotting were concentrated in the first 6 months. Conclusion : There is no reducing effect of Mirena^(??) on the size of uterus and myoma but Mirena^(??)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of menorrhagia, DUB, dysmenorrheal.

      • KCI등재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난포액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2,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과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

        권혜은 ( Kwon Hye Eun ),홍석호 ( Hong Seog Ho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김정훈 ( Kim Jeong Hun ),강병문 ( Kang Byeong Mun ),남주현 ( Nam Ju Hy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체외수정시술 시 난소의 미세 환경을 조절할 것으로 생각되는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인 난포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Ⅱ (insulin-like growth factor-Ⅱ, IGF-Ⅱ)와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3, IGFBP-1, 3의 임상적 의의와 이들과 누적배아지수 (cumulative embryo score)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과배란유도 (controlled ovarian hypersimulation, COH) 후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18명의 환자, 21주기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들로부터 난자채취 시 얻은 난포액을 원심분리한 상층액으로부터 IGF-Ⅱ, IGFBP-1, 3을 면역방사계측법 (immunoradiometric assay, IRM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이 결과를 임신군과 비임신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IGF-Ⅱ, IGFBP-1, 3의 난포 내 농도와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배아등급은 분할할구 (blastomere)의 모양과 크기의 균일한 정도, 절편 (fragmentation)의 퍼센트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였다. 높은 등급순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각 점수에 해당 배아의 분할구의 수를 곱한 후 이를 더하여 누적배아지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 난포액 내 IGF-Ⅱ의 농도 (ng/㎖)는 임신군 (중앙값 ; 668.0, 범위 ; 243.0-1019.0과 비임신군 (중앙값 ; 635.5, 범위 ; 301.0-885.0)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난포액 내 IGFBP-1의 농도 (ng/㎖)도 임신군 (중앙값 ; 100.0, 범위 ; 64.9-121.0)과 비임신군 (중앙값 ; 95.4, 범위 ; 13.3-131.0)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IGFBP-3 역시 임신군 (중앙값 ; 3242.0, 범위 ; 1006.0-4015.0)과 비임신군 (중앙값 ; 2926.0, 범위 ; 964.0-4977.0)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IGF-Ⅱ의 농도와 누적배아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IGFBP-3와 누적배아지수는 상관관계의 경향성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갖지는 못했으며 (p=0.053), 자유형 IGF-Ⅱ (free IGF-Ⅱ)를 반영하는 IGF-Ⅱ/IGFBP-1와 누적배아지수도 상관관계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6).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난포액 내 IGF-Ⅱ 그리고 자유형 IGF-Ⅱ의 농도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에서 향후 임신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 좋은 난자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e-like growth factor-Ⅱ (IGF-Ⅱ), insuline-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Ⅰ, 3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and the cumulative embryo score (CES) in the patient who underwent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21 cycles of 18 patients which underwent IVF-ET cycle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group.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and cumulative embryo score were evaluat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between the pregnant group and non-pregnant group. There were signifiant correlation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01). There might be correlations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BP-3, and free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53, p=0.05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follicular IGF-Ⅱ and free IGF-Ⅱ might have an influence to development of good-quality embryo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KCI등재

        정맥내 평활근종증

        이성훈 ( Lee Seong Hun ),박정열 ( Park Jeong Yeol ),주원덕 ( Ju Won Deog ),권혜은 ( Kwon Hye Eun ),홍승화 ( Hong Seung Hwa ),김대연 ( Kim Dae Yeon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강병문 ( Kang Byeong M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2

        Leiomyoma of the uterus is the most common benign uterine tumor affecting 40-50% of women older than 40 years of age. The pathogenesis of uterine leiomyoma is unknown, but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ach leiomyoma arises from a single neoplastic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정훈 ( Kim Jeong Hun ),홍석호 ( Hong Seog Ho ),이영진 ( Lee Yeong Jin ),홍승화 ( Hong Seung Hwa ),권혜은 ( Kwon Hye Eun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강병문 ( Kang Byeong M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과 정상 위치의 자궁내막 그리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VEGFR) 의 발현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양성 부인과 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통하여, 자궁내막증으로 확인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및 정상 위치의 자궁 내막조직과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내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의 전령리보핵산 (messenger ribonucleicacid,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응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Kruskal-Wallis test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군의 경우 정상 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내 혈관내피성장인자수용체-1, -2, -3 mRNA 모두 증식기와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다. 한편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은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의 경우엔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후기증식기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대조군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는 물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 자궁내막에서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증가가 관여되어있음을 시사하고, 이들중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 3은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 방식으로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의 증식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1, and -3 (VEGFR-1, -2, and -3) mRNA in the eutopic and ectopic tissue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Methods : At the time of laparoscopy or laparotomy for endometriosis, infertility or othe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a biopsy specimen was taken from the endometrial cavity and a peritoneal endometriotic implant simultaneously whenever appropriate. For control samples,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women without visual evidence of endomtriosis. We employe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to quantify VEGFR gene expression of these tissues. Comparisions between each group were made using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Kruskal-Wallis tes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R-1, -2, and, -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endometrial tissues during both proliferative and mid-secretory phase. In ectopic endometrial tissue, VEGFR-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phase. There was a marked increase especially in VEGRF-3 mRNA expression in ectopic endometriotic lesions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but its expression de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nclusion : mRNA for VEGFR-1, -2, and -3 in an endometriotic lesions might b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their expression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