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폭력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 인식 유형 연구

        강방글(Bang Geul Kang),한인영(In Young Han),이현정(Hyun Jung Lee),박정림(Jeong Lim Par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3

        본 연구는 성폭력 상담사들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여 상담사의 상담 후 후유증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지지전략과 문제해결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성폭력 상담사에 대한 심층면접과 대리외상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고, 성폭력 상담사 총 25명을 P표본으로 표집하여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첫째, 상담과정에 정서적객관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내담자 정서 과몰입형, 둘째, 개인의 가치관이부정적으로 변화하여 대인관계의 축소를 초래하는 가치관 변화형, 셋째, 상담사례를 통해 개인 및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염려하는 안전 중시형, 마지막으로 상담 후유증이 상담사의 신체와 정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심신 민감형으로 인식유형의 특성이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성폭력 상담사의 유형화된 대리외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대리외상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지원과 제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hat grouped to subjectivity regarding vicarious traumatization of sexual abuse counselors and suggest basic data to support strategy and problem solving to aftereffects and stress management after consultation of sexual abuse counselor as derive from a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The study utilizes Q methodology, and selected 33 sample Q from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sexual abuse counselors withi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also divided P sample into sampling 25 sexual abuse counselors. The analyzed result indicates grouping by following four categories: type of emotional involvement for clients, type of change of identity, type of emphasis on safety, and type of sensitive to the physical and mental. Based on the results, the aforementioned study examined support to relieve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arrange a systematic plan according to each group of sexual abuse counselors.

      • KCI등재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권위주의적 성격과 문화적 역량

        강방글(Kang, Bang-Geul),이영선(Rhee, Young-S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무자의 권위주의적 성격,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문화적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가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409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권위주의적 성격을 독립변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매개변수, 문화적 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가설분석을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권위주의적 성격과 문화적 역량 사이에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의 매개효과에 대해 독립변수의 직접경로가 포함되지 않은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권위주의적 성격은 문화적 역량에 직접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에 실무자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s which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on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service worker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authoritarian persona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409 social service work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AMOS 18.0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del fit of full mediation model which is elimination direct path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cultural competence is better than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only the indirect effect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cultural competence is statically significant but direct effect. Therefore,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was main factor to mediate between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about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to social service workers especially who has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관한 연구

        이영선 ( Rhee Young Sun ),한인영 ( Han In Young ),임정원 ( Lim Jung Won ),강방글 ( Kang Bang Geu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진단 및 치료 지연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암 예방 및 개입 방안에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인구사회학적, 의학적 요인,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지연 인식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 등이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87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경기 지역의 8곳, 지방 1곳의 종합병원을 택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환자들이 유방 이상 징후를 경험한 이후 유방암 진단을 받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2.8개월(SD : 8.4),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치료 기간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약 2.4개월(SD : 9.7)로, 진단 및 치료지연 모두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평균보다 낮은 환자는 진단 지연이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치료지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진단지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단 지연 인식 여부였으며, 치료 지연은 정서 정보적 지지가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지연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향후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지연의 장애요인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can provide a new framework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This study aims to 1) explor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and 2) investigate how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delay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 total of 287 adult women were recruited from nine hosptials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time taken from the discovery of an abnormality to obtaining medical care(diagnositic delay) was 2.8 months (SD=8.4), and the mean time taken from obtaining a diagnosis to cancer treatment (therapeutic delay) was 2.4 months (SD=9.7). Patient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was more likely tha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o delay in obtaining medical care; however, the therapeutic del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agnostic delay was perception of diagnositic delay, while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herapeutic delay.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reducing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 KCI등재

        유방암 검진 네비게이터 개입 효과성 연구: 서울시 1개 구 국가 암 검진 대상을 중심으로

        한인영 ( Han In-young ),임정원 ( Lim Jung-won ),이영선 ( Rhee Young-sun ),강방글 ( Kang Bang-geul ),이지은 ( Lee Ji-e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유방암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네비게이터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시 S구에 거주하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국가 암 검진 대상자 중 개입 당시 유방암 검진을 받지 않고 네비게이터 개입 이후 유방암 검진 수검 여부를 확인한 7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방암 검진 수검률은 69.9%로, 전국, 서울시, S구의 전년도 검진 수검률 보다 높았다. 둘째, 유방암 미검진 이유인 `시간적 여유 없음`(χ<sup>2</sup>=30.33, p<.001), `암 발견의 두려움`(χ<sup>2</sup>= 4.48, p<.05)에 응답한 대상자가 유방암 미검진 가능성이 더 많았다. 셋째, 대상자의 유방암 검진 지식(t=34.04) 및 검진 중요성 인식(t=-21.79)은 네비게이터개입 이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검진 관련 장애요인이 있을 경우, 장애요인이 없는 경우에 비해 수검을 할 승산(odds)이 0.16배로 줄어들었고(OR=.16, p<.05), 네비게이터 검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제공받지 않을 때에 비해 수검을 할 승산이 약 15배 증가하였다 (OR=14.68, p<.01). 본 연구는 네비게이터 개입을 통해 대상자의 유방암 검진 수검률 및 암검진에 대한 지식·인식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유방암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네비게이터 역할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navigation services to improve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The study samples are 730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women who were identified from S public health center, and were possible to confirm if the cancer screening has been conducted after the first interview. First, the breast cancer screening rate was 69.9%, indicating that this rate was higher than those of nation, Seoul, and S public health center. Second, participants who responded `I don`t have time` or `I worry that I have cancer` were less likely to screen the breasts for cancer. Third, knowledge and beliefs about breast cancer and screen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ctivities of navigators. Fourth,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patients who have barriers to screening were less likely to screen for breast cancer, and those who have experiences about navigation services were more likely to have breast cancer screen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cancer screening rate and knowledge/beliefs about breast cancer screening, and suggests navigator role to improve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 KCI등재

        유방암 수검률 향상을 위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보건소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임정원 ( Jung Won Lim ),한인영 ( In Young Han ),이영선 ( Young Sun Rhee ),강방글 ( Bang Geul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of navigators, a supervisor, and an agency staff who have been involved in navigation program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in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based on the paradigm of context, progress, and result. A total of 5 individuals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ata collection. Findings demonstrated that 6, 2, and 4 themes have been derived from navigator, supervisor, and agency staff, respectively. Practical findings derived from themes indicate that navigators came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navigator roles, acting in community health center with individuals who are required to get screened after participating as a navigator without conscious thought. A supervisor felt that the role of navigator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capacities. A staff agency wished to establish navigation program in the future, although he mentioned ambivalent thoughts about the navigation program, beginning a new journey.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The current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Korean navig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