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ky Diving시 Sky Diver의 심리적 불안요인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강명숙(Kang, Myoung-Sook),변상해(Byun, Sang-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Sky Diving시 Sky Diver가 지각하는 심리적 불안요인과 자신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Sky Diving의 자신감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된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ky Diver 150명에 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123부를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v.21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ky Diving시 Sky Diver의 스트레스 관련 징후에 따른 행동 대처방식에서 스트레칭과 호흡을 주요 대처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ky Diver의 심리적 불안요인과 자신감은 종교의 유무와 연령, 강하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Sky Diver의 심리적 불안요인은 자신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Sky Diving시 Sky Diver 의 심리적 불안요인을 낮추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대처기술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how psychological anxiety factors perceived by sky divers at the time of sky diving affect self-confidence. To that end, a survey was executed on 150 sky divers and 12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SPSS v.21.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ky divers use stretching and breathing the most to cope with stress-related symptoms; second, psycholog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were different in religion, age and the number of sky diving; third, sky divers’ psychological anxiety affects self-confidence negative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 program to help sky divers enhance psychological coping techniques to reduce anxiety while increasing self-confidence at the time of sky diving.

      • KCI등재

        일제말기 학생 근로 동원의 실태와 그 특징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일제말기의 학생 근로 동원의 실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 이후 학교에서는 학교근로보국대를 조직하고 학생들을 근로봉사란 이름으로 여름방학중에 10일간 도로 공사 및 토목 공사 현장에 집단 동원하였다. 1940년 근로보국협력령 공포 이후에는 근로동원이 상시화 되었으며, 동원 대상 및 동원 기간이 확대되고 동원 영역도 다변화되어 학생근로동원이 점차 전시 노동력 부족을 보완하는 노동력 착취의 수단으로 그 성격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엄격한 규율 통제하에 체력을 단련하고 근육노동의 신성함을 체험하게 한다는 근로동원의 명분에 관한 교육적 수식마저 의미를 잃었다. 일제말기 학생근로 동원에서는 학생은 언제나 동원 가능한 노동인력으로 간주되었고, 학업 중단은 언제든지 가능하며, 나아가 노동 그 자체가 바로 수업이고 교육임이 강조되었다. 동원 그 자체가 학교 교육의 기능으로 위치되었고, 이점이 식민지시기 학교교육의 또 다른 특질이 되었다. In this paper, It was researched the actual conditions and peculiarity of the student labor mobiliz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ir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School Labor Corps for Repaying Country`s Favor was organized at the every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All student were mobilized for ten days in summer vacation, with the name which was a student labor service. And They did civil engineering works, road building and road repairs works. From the day of promulgation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in 1940, Student mobilization was accomplished at ordinary times. And The subject and period for mobilization was extended. The student mobilization was characterized by compulsory labor exploitation of students. Consequently, Educational justification to student labor mobilization became insignificant. At the Student labor mobiliz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always possible for student to be mobilized and to be stopped a class. What is more worse, Labor mobilization was regarded as education itself and function of the school.

      • KCI등재

        일제시대 제1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학제 개편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9 한국교육사학 Vol.31 No.1

        이 연구에서는 제1차 조선교육령에서 학제가 어떠한 논의 과정을 거쳐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고, 학제 개편에 따른 중등학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일제는 종래의 학제는 계통이 복잡하고, 현실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학제를 통일하고 시세와 민도에 맞게 하고자 조선교육령을 제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용적이고 간편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제도를 새롭게 재편성하고, 교육의 종류를 보통교육, 전문교육, 실업교육으로 정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통감부시기에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다시 제1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고등보통학교로 명칭이 변경되는 과정을 통해 완결교육의 성격을 지닌 보통교육기관으로 위치 지워졌다. 조선교육령에 따라 관립학교는 말할 것도 없고 종교계 학교를 포함하여 사립학교조차 법으로 규정된 학교제도상의 학교로 인가받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사립 및 종교계 학교는 학제상의 학교 급 위치를 분명히 하고 일제의 교육 통제 권한을 인정하여 보통학교-고등보통학교 체제로 포섭되거나 인가 받지 않은 방계학교로 남아 식민지교육체제에서 부차적 주변적 지위로 밀려났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school system at the law making process of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observed the change of the secondary school which follows in school system reorganization.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judged that hitherto school system was complicated and not suitably for Korea. So enacted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to establish the new school system which is \to unify school system and to meet condition of times and the level of the people. The new school system to feature utility and simplicity was reorganized and the new school system composed three kinds of education, hich are common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Industri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middle educational institution changed the nam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in the Residency-General period, and secondly changed from high school to higher common school in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Through the process of retitling, The middle educational institution was characterized as a complete and comm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The private and the religious schools had to receive national accreditation. Therefore they settled school grade and concede an control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for accreditation. but which results in the inclusion of the private and the religious school in colonial school system. Otherwise, the private and the religious schools must be remained as anon-accredited, collateral school and marginal status in the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영화 「수업료」를 통해 보는 전시체제기 교육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2

        이 글은 최근 1940년 제작된 영화 「수업료」의 발굴을 계기로, 식민지기 학교교육의 현실을 이해하는 자료로「수업료」를 소개하였다. 영화 「수업료」는 경일소학생신문 글쓰기 작품 공모에서 수상한 광주북정심상소학교 4학년 우수영의 작문을 토대로 영화화한 것이다. 초등학생 글쓰기 공모는 제3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일본어 교육의 강조라는 정책적 배경에서 학무국 후원으로 이루어진 의도된 기획이었다. 수상작은 일본의 조선 통치와 교육의 성과로 선전되며, 모범 작문집의 배포, 아동극화, 영화화되었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바탕으로 식민지기 수업료에 관련된 교육 현실을 소개하고, 영화를 통해 재현된 현실의 의미, 당시 현실과의 괴리, 아동작문과 영화화의 간격 등을 논의하였다. 영화 「수업료」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식민지 교육의 다중성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아동 작문, 문학 작품 등과 비교하며 교육사 수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film “Tuition” which was produced in 1940, and found out recently. The film’s scenario was based on a composition of a primary student, who was a prizewinner of Writing Competition organized in 1938 by the Gyoungil Primary Student Newspaper(경일소학생신문). The background of Writing Competition was the enactment of the Thir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which focused on strengthen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 Competition was supported by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Honor prize-winning essay was touted as an accomplish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was made into a film and a play for children. This paper explains the system of school fe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film, then analyze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eir difference from the reality at the time and, finally, the gap between the original composition and its adaptation into the film. Film “tuition” could be a good material to study colonial education, and could be useful in the History of Education lessons as compared to children writing, literature.

      • KCI등재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 연구

        강명숙(Kang, Myoung-S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에서 조선인들의 교육 요구,일본 본국 정부의 식민지 통치 정책,조선총독부 학무관료들의 정책 시행이 서로 대립 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에서 조선인들의 교육 요구는 실질적으로 반영되지는 못했지만 교육칙어 조항 폐지,교육목적 조항 누락,일선공학의 소극적 도입 등에 영향을 미쳤다.식민통치의 이상과 원칙이라는 입장과 식민지 교육현실과 특례라는 입장의 차이로 인해 일본인과 조선인을 동일한 교육제도로 같이 교육한다는 일본 본국 정부의 내지연장주의 방침은 이름뿐인 원칙에 머물렀다.그 결과 조선 교육령 개정을 통해 조선에는 일본인 학교와 조선인 학교가 별도의 계통으로 존재하는 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flict and adjustment in the law making process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enac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was made as a result of mediation between the Japanese Cabinet and officials of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between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and the intention of Japanese rule.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was not accepted but had slightly effected on the policy such as abolition of provision about Imperial rescript concerning education and provision about need of the times and condition of the people. The difference in standpoint between the Japanese Cabinet and officials of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was resulted in making the separate educational system. As a result, the idea of the same school system and co-education between Korean ad Japanese people were remained unrealized.

      • KCI등재

        인간존엄의 시각으로 본 한국 근 학교교육

        강명숙(Kang Myoung S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1

        이 에서는 인간존엄의 시각으로 한국 근 학교 교육의 이념과 제도, 교육 실천을 역사 으로 검토하고자 하다. 근 학교 교육 제도는 존왕애국과 부국강병의 국가주의 심에서 도입되었다. 일제 식민지기에 보통학교 교육의 기회가 확되었으나 교육칙어를 바탕으로 충 량한 신민을 기르기 해 일본어 교육을 하는 것을 학교교육의 목으로 삼았으며, 수업료 징 수, 통제주의 규율 등 반인간인 학교 행이 뿌리내렸다. 더구나 일제 말기에는 교육이라 는 이름조차 붙이기 어려운 연성훈련의 연속이었다. 해방 후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은 일종의 슬로건 으로, 법에 명시된 교육이념일 뿐 정권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정권에 의해 홍익인간의 의미는 반공 도의 교육, 사상개조 교육, 인간개조, 제2경제, 조상의 빛난 얼 등으로 해석되었다. 가장 극인 사례는 국민교육헌장의 제정이다. 인간 존엄과 자유, 평등의 민주주의에 한 사회인 문제제기는 4・19명을 통해서다. 4・ 19명 이후 교육 분야에서 인간 존엄 담론이 개되기 시작했다. 1960년 5월에 결성된 교원 노조연합회 그리고 오늘날 한국교총의 신인 한교육연합회도 인간존엄의 근본이념을 내세 우며 교육과 교원 조직을 운할 것을 주장하다. 1970년 반 이후 교육장에서 교육의 비인간화 상에 한 문제 제기가 활발했다. 정 의 교육, 교사와 학생의 인간인 계 형성 등을 강조하며, 지 등의 교육 비리나 체벌 등 의 비인격 우의 개선을 주장하다. 1980년 들어 교육 인간화 논의는 국교직원노동조 합의 주장을 비롯하여 인간성 상실과 소외 극복을 한 개개인의 내면 성숙뿐만 아니라 사 회에 한 역사 통찰과 정치 경제 등 구조인 문제와의 련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되 었다. 국교직원노동조합에서는 인간성 회복으로서의 인간화 교육, 면인 인간발으로서 의 인간화 교육을 주장하다.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istorically the ideology,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practice of the Korean modern school education in term of Human Dignity. Modern school education was founded on the statist concern which includes the loyalty to king and nation and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lthough the opportunity of common schools for Koreans was expanded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to upbringing Loyal imperial subject on the basis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Furthermore, unhuman school cultures took roots, such as charging tuition fee or disciplines focused on regulation and control. In the late stage of Japanese Occupation, school education was replaced with training, which was hardly able to be named “education”. After liberation, Korean educational ideology of Hongikinkan(弘益人間) was introduced. However, it was an nominal educational ideology specified by law, it wa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by regimes. They made it anti-communist morals, thought reform, remaking human, the Second economy or the illustrious spirit of our forefather’s et al. The most dramatic example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4ㆍ19 Revolution, The social claims were raised for the democracy of human dignity, liberty, and equality. Henceforth, the human dignity discourse started to be developed in education. Teachers’ Union Associations and even the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 Associations asserted that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human dignity. After the mid-1970s, dehumanizing of education was actively discussed in educational practi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ere emphasized. Therefore, it was insisted that educational corruption, corporal punishment, and other inhumane treatment should be eradicated. In the 1980s, the humanization of education discourse proceeded towards the structural problems related to the historical insights on society and political economy, as well as individual internal maturation. For instance,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argued for humanization of school as a mean of full development and recovery of humanity.

      • KCI등재

        조선교육회 기관지『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제2차 조선교육령기를 중심으로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일제시대 대표적 교원단체인 조선교육회와 그 기관지 『문교의 조선』에서 조선인이 어떠한 위치였으며 무슨 활동을 전개했는지 제2차조선교육령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교육회 조선인 교원 회원은 전체 회원의 60%정도였지만 조선인 간부진은 20% 내외였고, 그것도 주로 관리들이어서 조선인 교원의 의견을 대변하기는 어려웠다. 기관지 『문교의 조선』에서의 조선인 기고활동을 살펴보면 조선인 필자의 글은 전체 편수의 10%미만이었으며 다루는 주제영역들 역시 제한적이었다. 요약하자면 조선교육회는 다수의 회원이 조선인이고 그들의 회비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인적구성면이나 조선교육회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발간한 기관지『문교의 조선』발행 면에서 본다면, 조선인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어려운 구조였다. 그리고 기고된 내용의 성격을 살펴보면 일제의 교육시책을 선전하거나 내선융화, 교육칙어 강조, 수신 및 덕육교육 강화 등의 내용으로 일제 식민지배 교육담론을 유포하고 있어 식민지배 협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activity of the Korean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which was representative by teacher`s organization and its bulletin 『Education of Chose n』, specially focused on the Korean`s position and role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and 『Education of Chosen』. The Korean teacher members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was 60% degree of the whole member. And Korean executive members was 20%, of which the official kept mainly and the Korean teachers executive was very small. The number of the Korean author`s article was below 10% and the Korean author`s article was also very restricted in their subjects. In a word, It was difficult system for Korean teachers member to act a role, because of Korean`s scanty position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and 『Education of Chosen』 But It tries to observe the contents of the Korean author`s article, which were centered on propagandizing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the merger between Japan and Korea, Imperial Decree concerning Education, moral training and cultivation one`s mind and so on. Through this contents, We could find that Korean author played a negative role to spread Japanese colonial education discourse, namely they co-worked with the colonial policy.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조선 교육제도 약사」 에 대한 일 고찰 - 일제강점기 조선 거주 일본인의 한국교육사 연구와 그 한계 -

        강명숙 ( Kang Myo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4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를 중심으로 1920년대 조선 거주 일본인 관료 및 연구자들의 조선 교육사 연구 실태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우선 1920년 「조선 교육제도 약사(朝鮮の敎育制度略史)」 를 저술한 高橋亨의 개인적인 이력 및 조선에서의 활동과 연구 상황을 조사하고, 조선 교육제도 약사 의 시대구분, 서술 항목의 선정과 서술 내용 및 논리를 분석하였다. 다카하시 도오루는 정체성론, 사대성론, 당파성론에 입각하여 관학 위주로 조선교육사를 서술하면서 조선 교육 문화를 부정적 시선 일변도로 바라보았다. 조선의 교육과 학문이 피폐하였다고 판단하고, 피폐의 근본 원인은 과거 때문이었다고 하는 조선교육사 상을 제시하였다. 이는 교육사 서술에서 나타나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특징으로, 이후 제도화된 관학 아카데미즘을 통해 추종과 극복 양 측면 모두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며 전파, 유통, 확대되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ditions and implications of 1920s` Chosen educational history studies, written by Japanese researchers who lived in the colony then. This article searches personal history and academic career of Takahashi Toru, who wrote “A Short History of Chosen Educational System” in 1920. It focuses on analysing the periodization, the selection of contents, the logics of his narratives in his 1920`s paper. Toru`s public-school-centered description assessed the educational culture of Chosen negatively, based on stagnation theory, toadyism, and partiality theory. Furthermore, he suggested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ailure in Chosen education is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perspective which represents the typical features of colonialist historical studies induc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national school academism. It spreaded to educational history academy, forming multifarious variations both in its advocative and opposing camp.

      • KCI등재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연희전문학교의 학칙을 통해 본 교육 운영

        강명숙(Kang, Myoung Sook) 교육사학회 2018 교육사학연구 Vol.28 No.2

        제국대학과 전문학교라는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체제의 구조적 특징을 보다 세밀하게 드러내기 위해 사립 전문학교의 설립 운영의 실상을 연희전문학교의 학칙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희전문학교는 1917년 문과, 상과, 신과, 수물과, 응용화학과, 농과의 6개 과로 구성된 종합형 전문학교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제2차 조선교육령기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문과, 상과, 수물과의 3개 과로 운영되었다. 일제가 사립대학 설립 운영을 인가하지 않고, 관립 전문학교와 중복되는 과나 자격증을 부여하는 전공 과에 대해 견제하는 가운데 개설 학과가 축소되었다. 하지만 증과 대신 증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사립 전문학교에 대한 법제적 차별로 인해 연희전문학교 졸업자는 관립 전문학교와는 달리 자격과 학력에 대해 별도의 지정을 받아야 했다. 문과는 1924년부터 실업학교, 사립 고등보통학교 교원 자격을 부여받고, 1928년부터 고등학교 고등과 혹은 대학 예과와 같은 동등 학력 인정을 받았다. 상과는 1926년부터 교원 자격을 부여받고, 1927년부터 학력 인정을 받았다. 수물과는 1928년부터 교원 자격을 받았다. 전문학교 가운데서도 관립 전문학교와 사립 전문학교의 위계적 서열이 제도적으로 구축되어 있었다. 연희 전문학교의 교육과정은 학년 학급제로 운영되었고, 영어와 수학, 특히 영어가 강조된 교육과정이었다. 제2차 조선교육령기부터 성서와 조선어를 필수 교과로 개설하였고, 교육학 과목의 강화를 통해 중등교원 양성 기능을 강화하였다. 교과목의 세분화와 선택 교과제의 도입 및 강화로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사립 전문학교의 취약한 제도적 기반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a private colle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charter of Chosen Christian College(C.C.C 延禧專門學校). Chosen Christian College was founded in 1917 as a comprehensive college constituted of six departments. However, it operates only 3 departments after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regulation; the literary department, the commercial department and the science department. The reduction was due to the non-approval and a check on the departments that provided the same courses as government colleges or licences. Unlike government colleges, the departments of Chosen Christian College needed to be qualified separately. It implies that there was a structural hierarchy between government colleges and private colleges. The curriculum of Chosen Christian College, based on three-term-system, was focused on English and mathematics, especially more on English. The college opened a bible course and a Korean language course as compulsory in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regulation period. It also subdivided its courses and introduced elective cours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ak institutional basis of a private college as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