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牛头宗东传朝鲜半岛史实考辨

        감심흠 한국선학회 2019 한국선학 Vol.0 No.52

        Originated from Mt. Niutou, the Niutou School gradually developed to its culmination during the following one hundred years. Its influence was so great that once was comparable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of Chan from the mid eigh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ninth century. The Niutou School was introduced into Japan also around this period. However, the academic circles haven’t reached a consensus about whether the Niutou School was brought into the Korean Peninsula,which lead t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the author introduces the arguments around Sunŭnghwasangchʼan (順應和 尚讚) of Chʼoechʼiwŏn(崔致遠). Secondly,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lief of Mt. Niutou and both the Huay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and Avataṃsaka Sutra. Thirdly, the author presents his new interpretations to Sunŭng hwasang chʼan under the background narrated above and provides other proofs in Shillagayasanhaeinsasŏnanjuwŏnbyŏk ki (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璧記) to the argument that the Niutou School has indeed been brought into the Korean Peninsula. 본 논문은 우두종의 한반도 전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 였다. 첫째, 최치원의 「순응화상전(順應和尚讃)」 중 “우두수겁 상망탐현(牛頭垂袷,象罔撢 玄)” 부분에서 ‘우두’가 중국 「강남의 우두산인지, 혹은 한국의 가야산[별명 우두산]인지에 대한 문제는 학계의 쟁점 사항이었다. 이 부분에서는 그 쟁론 내용을 소개하였다. 둘 째, 강남 우두산이 『화엄경』 및 중국 화엄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 였다. 『화엄경』에 기록된 수많은 보살의 거처 중 한 곳이 우두산이다. 『화엄경』 중의 우두산은 우전(于闐)의 우두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엄종 조사 법장은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에서 강남의 우두산을 『화엄경』에 있는 보살의 거처인 우두 산으로 보고 논증하였다. 이상의 관계를 바탕으로 셋째, 「순응화상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근거를 제시해 우두종의 한반도 전래를 입증하였다. 순 응이 강남 우두산으로 가게 된 계기에는 『화엄경탐현기』의 영향이 있다고 보인다. 최 치원의 「순응화상찬」 문구의 대장(對仗)에서 보면 “우두수겁” 중의 ‘우두’는 우두산에 거 주하고 있는 보살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상망탐현”에서 밝힌 ‘무심득도(無心 得道)’의 사상은 우두종의 핵심 관점인 ‘무심합도(無心合道)’의 전통과 일치하고 있다. 또 한, 최치원의 「신라가야산해인사선안주원벽기(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璧記)」 중에서 “문 노담(問老聃)”과 “심주산(尋住山)”이라는 문장이 있는데, ‘노담’은 노장과 현학에 가까운 우두종의 선법을 가리키며, ‘주산’은 보살이 거주하고 있는 우두산을 가리킨다.

      • KCI등재

        『법계도원통기(法界圖圓通記)』의 삼문구조 수용에 대하여

        감심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Uisang(義相) and Fazang(法藏) have established a typical structure of two gates which includes the gate of mutual-inclusion(相入門) and the gate of mutual identity(相即門). The gate of principal and subordinate(主伴門) in the structure of two gates is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of the gate of mutual-inclusion and the gate of mutual identity, and it is not the basic principle in parallel with the gate of mutual-inclusion and the gate of mutual identity. The old saying puts forward a structure of three gates which include the gate of mutual-inclusion, the gate of mutual identity and the gate of principal and subordinate. The structure of three gates think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 is mutual-inclusion and mutual identity, and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of manifestation of reality(性起) can be considered either principal or subordinate. This is a kind of structure which includes manifestation of reality and dependent origin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des, the Beopgyedowontonggi(法界圖圓通記) accepts the structure of three gates which is from the old saying. From the development of such structure of three gates,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e of two gates of Uisang has deepened into the structure of three gates in Silla and Goryeo Hwaeom(華嚴), a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structure of three gates has a certain position in the Hwaeom thought of Gyun-Yeo(均如). 주반은 법장의 『탐현기』 이전에는 십보법의 일종 또는 십보법과 같은 범주였으나, 『탐현기』에서는 십현문의 일종으로 되어있다. 의상과 법장은 모두 전형적인 상즉문·상입문의 이문구조를 성립시켰다. 이문구조에서의 주반문은 상즉문과 상입문으로 해석되는 대상이었으며, 상즉문·상입문과 병렬되는 기본원리는 아니었다. ‘고사’에서는 상즉문·상입문·주반문의 삼문구조를 제시하며, 상입문을 법중원문, 상즉문을 법중근문, 주반문을 법중즉문으로 여겼다. ‘고사’는 법장의 영향을 받아서 인연의 역용 관점에서 상입문을, 인연의 자체의 관점에서 상즉문을 논하였다. ‘고사’는 또한 의상의 성기 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성기의 인연을 따르지 않는 것[不從緣]을 강조하고, 이연성(離緣性)의 관점에서 주반문을 논함에 따라 주반문을 상즉문·상입문과 나란히 할 수 있는 기본원리를 성립시켰다. ‘고사’의 삼문구조에서는 연기 세계 가운데의 사물이 서로 상즉상입하고, 성기 세계 가운데의 사물이 서로 중심적 존재와 종속적 존재가 된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연기와 성기를 포괄하고 있는 구조이다. 『법계도원통기』는 대체로‘고사’의 삼문구조를 계승하고 있다. 단, 멀고·가깝고·곧바로[遠近即]의 세 뜻에 대해‘고사’는 법성을 기준으로, 『법계도원통기』는 진성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지만, ‘고사’를 수용한 결과라는 것은 틀림없다. 이와 같은 삼문구조의 전개를 통해 볼 때, 의상의 상즉상입의 구조가 신라와 고려 화엄에서 삼문구조로 심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며, 균여의 화엄사상에서 일정의 위상을 지녔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