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일대학간 온라인국제교류학습 실천사례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朴孝庚 ( Park Hyo-kyung ),黄永熙 ( Hwang Yo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전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한일대학간 온라인국제교류학습을 실시하고 목표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과정의 이문화 소통능력의 향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온라인국제교류학습은 한국의 H대학교와 일본의 M대학이 3학기 3차례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양교 담당교원의 긴밀한 협의에 의해 만들어진 1차의 학습환경 디자인의 틀에 맞춰 오프닝토크, 소그룹 활동, 총괄의 체계를 수정 보완하면서 진행되었다. 이후 2,3차에서는 소그룹 활동을 늘리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내실을 다졌다. 출석률이 점차 상승하여 1차에 50%에 그쳤던 것이 2,3차에는 90%가 넘는 출석률을 기록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식 척도 선택과 자유기술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양교의 학생은 교류학습에 대해 긍적적으로 평가했으며, 교류학습을 통해 언어운용면과 이문화간 소통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변했다. KHcoder를 활용한 자유기술항목에 대한 분석에서는 양국 학습자들의 의식 변화를 읽어볼 수 있었다. 교류 학습에 관련된 긍정적인 단어들이 나타났으며 언어운용 면의 능력 향상을 교류회의 짧은 기간 동안에는 실제로 체감하기 어렵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양국 모두 ’자신감, 실력, 향상, 실제, 회화’ 등의 긍정적인 키워드가 나타난 것으로 교류 학습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국제화와 다문화공생시대를 맞아 다양한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해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온라인교류학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s online exchange studies between Korea and Japan, where majors who are learning Japanese and Korean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xamines the improvement of foreign 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lear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the third semester, and was conducted by revising the opening talk, small group activities, and general manager's system in line with the first exchange meeting's learning environment design framework. The students of both schools said that they positively evaluated exchange learning, and that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language management and foreign culture has improved through exchange learning.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cultural symbios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tinuous and effective exchange learning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needs and foster global talent who can act on the global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