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鄭喜淑(ZHENG XI SHU)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조선족 민족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필자는 그 답을 문화변동이론으로 접근하여 해석하려 한다. 다시 말해, 조선족 문화변동에 따른 조선족의 황무지개간, 벼농사 등 농경문화의 적응, 조선족의 언어, 문학, 음악, 무용, 조선족의 의식주, 의례와 놀이문화사례 등의 관찰을 통해 조선족문화가 한국이나 조선의 문화도 중국의 문화도 아닌 조선족 그 자체 문화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조선족사회에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조선족문화”설을 <일본조선족문화 심포지엄>에서 경험한 바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조선족문화에 대한 이해가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서술하고, 조선족의 ‘사과배’ 문화와 조선족 언어문화에 대한 규범화에 따른 사례로 ‘조선족문화’란 바로 “조선족 그 자체 문화”라는 황유복의 이론을 확인했다. 나아가 조선족문화도 21세기에 맞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야 하며, 그 발전 대책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제안한다. To the question—“Who are we?”—about Chinese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essay tries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 theory of culture change. That is, the present writer explains that ethnic Korean culture in China is the Chinese Korean culture itself, neither Korean nor Chinese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ethnic Korean cultural cases such as cultivation, rice farming, language, arts, the necessities of life, rituals, pastime culture and so on. Remembering the experience of the emerging issue of Chinese Korean culture at a symposium in Japan, the writer describes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Korean culture and confirms Youfu Huang's opinion that the Chinese Korean culture is “Chinese Korean its own culture” as a model case for standardization of the ethnic Korean “apple-pear”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for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culture should create a new sustainable culture; and the writer suggests promotion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measures for its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중국조선족문화자원과 관광문화산업 기획 :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사례로

        鄭喜淑 在外韓人學會 2009 在外韓人硏究 Vol.20 No.-

        중국조선족은 중국토착민족이 아닌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소수민족으로 조선민족의 전통문화 가운데 우수한 부문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주변 민족들의 문화를 흡수, 소화하면서 주변환경에 알맞은 조선족문화를 창출했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최대 관광자원은 조선족의 문화이다. 조선족문화는 민족관광자원의 핵심이다. 관광업의 경쟁은 실질적으로 문화의 경쟁이다. 현재 연변조선족자치주는 관광 경쟁의 잠재력을 구비하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자연관광자원과 문화관광자원을 유기적으로 결합해야만 독자적인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연변조선족자치주만의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민족 신분이 관광의 주요한 마크가 되는 관건은 독특한 풍속과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관광문화산업을 발전시키려면 반드시 창신개발로서 문화자원으로부터 문화자원의 시장화, 상품화를 이루어야 한다. 문화자원의 시장화, 상품화는 관광문화산업 생산과정의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전 방위적인 문화기획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Ethnic Koreans in China, as a minority that has the history of 150 years or so, have created their own culture by combining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neighboring cultures. This culture begins to be thought of as an important tourism asset. Especially the ethnic Korean culture of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Community) is now one of the most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tourism. In order to be more competitive, the Korean-Yanbianian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s a unique tourist product, and it could utilize its unique customs and cultural landscapes for experiential tours. In this context, multilateral culture-planning is crucial in the market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this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