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日本漢字 · 漢字語彙教育の研究動向

        蔡京希(채경희)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3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일본한자 및 한자어휘 교육관련 연구의 주된 흐름을 조사하여, 선행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의 시점에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방법은, 1)이한섭의 [한국일본어문학관련연구문헌검색시스템]과 2)고려대학교일본연구센터의 [일본연구자료검색시스템]으로 검색한 논문에, 3)전국 규모의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한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범위는, 1)2)의 조사 키워드로 <1漢字/2漢字?育/3漢字語/4漢字語?育/5漢字語彙/6漢字語彙?育/7語彙/8語彙?育/9漢字or漢字?育or漢字語or漢字語彙or語彙?育>의 9개 검색어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대상 논문의 테이트로 보면, 일어일문학 관련 연구논문 중에서 검색분야별 논문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일어학 53.84%>일문학26.68%>일본학 12.87%>일어교육 6.61%의 순서이다. 또한, 일본어교육 분야에서 한자·한자어휘 교육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02%에 지나지 않는 점에서도, 타분야 연구에 비하여 그 연구가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충분하지 못한 것을 알 수가 있다. 하지만, 최근에 일본어교육 분야와 한자·한자어휘교육 분야의 연구가 서서히 증가해 오고 있으며, 90년대 한자·한자어휘 교육의 연구비율은 3.20%로서 일본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나, 2000년 이후의 연구는 11.49%로 증가하고 있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점차 활성화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장마당세대의 의식 특성 비교 연구

        채경희(Kyung-Hee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 장마당세대가 많은 사회학적 범주들인 계급, 학생, 민족, 젠더 등을 넘어서 실제세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교육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11월부터 12월 말까지 국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5년 이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상에서 장마당세대의 주요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낮으며, 경제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장마당세대의 교육의식과 준법의식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장마당세대는 객관적 세대위치로서 청소년기에 ‘고난의 행군’과 ‘공교육의 붕괴’를 경험하였다. 기성세대와 다른 장마당세대의 세대위치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세대의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공교육을 제대로 받은’ 기성세대에 비해 ‘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장마당세대는 전반적으로 기성세대에 비해 의식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이렇듯 장마당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세대의식을 갖는 집단으로 하나의 세대로 구성될 가능성을 가진다. This study poses a question on whether the Jangmadang Generation, which has been the focus of the sociological interest, can form an actual generation by transcending the social classes, status of students, ethnicity, and gender, etc.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consciousnes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in terms of politics, education, society, compliance with law, and education with their preceding generation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defected within the past five years over the perio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in order to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perform frequenc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in politics, society, compliance, and education was lower, while the economic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earlier generations. As their objective generational status, the Jangmadang Generation had experienced the "March of Ordeal" and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while they were still teenagers. Such a difference in their generational statu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fferent consciousness as a generation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who received "proper public education," the Jangmadang Generation, who did not receive "decent public education" shows a generally lower level of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earlier generations. As such, the Jangmadang Generation has the potential to form a separate generation with a different generation consciousness from that of earlier generations.

      • KCI등재

        온라인 원어연극(原語演劇) 및 紙芝居 실천사례 연구 -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의 일본어학습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

        蔡京希 ( Chae¸ Ky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5

        본 연구는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스킬 및 미래 융합인재 육성에 요구되는 핵심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공연예술 콘텐츠 도입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법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비대면 교육 학습자를 위한 언택트 및 콘택트의 경험을 제공하는 온택트 교육환경에서 실천한 일본어 원어연극 및 가미시바이 전공비교과 수업실천 사례연구를 보고하고, e-Learning 환경과 대면 환경에서의 학습효과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9개 조사항목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가 87.98%(총평점 4.40점)이고, 원어연극은 85.62%(총평점은 4.28점)를 마크했다. ‘흥미와 적절성{1)~4)}’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 90.45%(총평점 4.52점), 원어연극 84.33%(총평점 4.22점)이다. ‘학습유용성{5)~8)}’의 평균만족도는 가미시바이 85.74%(총평점 4.29점), 원어연극 85.68%(총평점 4.28점)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함을 알 수 있다. 기타, ‘가미시바이워크숍전반{9)}’ 평균만족도는 87.07%(총평점 4.35점), ‘원어연극워크숍전반{9)}’ 90.50%(총평점 4.53점)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둘째, 과대표/출연자/관객을 구분하고 참여자 역할별로 파악한 결과,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만족도가 역할별로 눈에 띄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대면·온라인 가미시바이와 원어연극 콘텐츠를 활용한 일본어교육 실천사례를 통해 다수의 긍정적인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performance art contents and to share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It is part of a study to improve Japanese communication skills and key skills critical for fostering future convergence tal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case studies of Japanese Native Language Drama and Kamishibai major extra-curriculum class practice conducted in a 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experience for onlin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s in the postCOVID- 19 er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the total 9 survey items was 87.98% for Kamishibai (total score of 4.40) and 85.62% for Native Language Drama (total score of 4.28).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Fun and Adequacy {1)~4)}’ for Kamishibai was 90.45% (total score of 4.52 points) and 84.33% (total score of 4.22 points) for Native Language Drama.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Usability {5)-8)}’ for Kamisibai was 85.74% (total score of 4.29 points) and 85.68% (total score of 4.28 points) for Native Language Drama, indicating that it arouses both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er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Overall Kamishibai Workshop {9)}’ was 87.07% (total score of 4.35 points), and the average sartisfaction level for Overall Native Language Drama {9)}’ was 90.50% (total score of 4.53 points), which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for guest lecturers and actors/representatives was high. Second, the result of a detaile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oles of participants and the division of representatives/actors/students is as follows: A noticeabl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as found. We divided the roles of groups into one group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the other that did not participate. Third, many positive opinions were obtained through practical cas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sing non-face-to-face and online Kamishibai and stage performances of Native Language Dra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